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청사진
도면
평면도
도표
투시도
배선도
플랜
뉴스
"
설계도
"(으)로 총 4,636건 검색되었습니다.
60m 떨어진 CCTV가 당신을 보고 있다
2015.06.03
국내 연구진이 60m 떨어진 거리에서도 얼굴을 또렷이 확인할 수 있는 폐쇄회로(CC)TV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최만용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보안인지기술연구단 책임연구원팀이 2일 공개한 이 시스템에 따르면 3개 카메라를 연동시켜 기존보다 최대 64배 넓은 영역을 관찰할 수 있고 분당 최 ...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
과학동아
l
2015.05.29
REX 제공 ‘쾅’ 굉음과 함께 모든 것이 흔들렸다. 어리둥절해하는 순간 스마트폰에 경보 메시지가 울렸다. ‘규모 7.8의 강진 발생, 16초 뒤 2차 지진 주의’ 즉시 비상구를 따라 건물을 빠져나왔다. 건물 앞에는 이미 대피 버스가 대기 중이었다. 버스에 올라탔다. 대피 중인 차량은 많았지만 기사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
과학동아
l
2015.05.29
충남 태안 마도 근해는 6년 전 고선박이 발견된 이후 ‘바닷속 경주’라 불린다. 잠수사로 변신한 수중고고학자들이 지금도 바다 밑에 내려가 진흙을 퍼내고 고려, 조선시대 도자기를 건져 올린다. 그런데 이곳에 4월 16일, 느닷없이 거대한 로봇이 나타났다. 게와 가재를 닮은 해저로봇 ‘크랩스터 ... ...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5.29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 - 이윤선 기자 제공 자동차는 어떻게 움직이는 걸까요? 엘리베이터는 어떤 힘으로 오르내릴 수 있을까요? 다양한 기계들의 기본 원리를 한눈에 관찰할 수 있는 곳이 있어요.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지며 기계를 체험할 수도 있지요. 기자단 ... ...
탈모라구요? 모근세포 3D프린터로 찍어 이식하세요
2015.05.27
유전자 교정세포 3D프린팅 기술을 응용한 가상 사례(위)와 차세대 유전체분석 칩 응용 사례(아래)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2025년. 직장인 김 모씨의 출근길 발걸음이 가볍다. 유전적인 영향과 스트레로 심각해진 탈모를 최근 ‘유전자 교정세포 3D프린팅 기술’로 극복했기 때문이다. 탈모 유전자 ... ...
금속 가공공장 맏형 ‘프레스’ 성능 큰 폭으로 올렸다
2015.05.26
200톤급 기계식 서보프레스 기기의 모습 -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금속 가공 공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프레스 금속 가공장치의 성능을 한층 더 높이는 기술이 새롭게 개발됐다. 금속 성형 공정 과정에서 속도나 지연시간 조절이 자유로워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합금 등이 사용되는 미래형 자동차나 ... ...
50배 더 또렷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나온다
2015.05.25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빛의 파장을 선택해서 표시할 수 있다. - 서울대 제공 제공 TV나 컴퓨터용 모니터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질을 50배 이상 끌어 올릴 수 있는 원천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을 것으로 보여 미래형 디스플레이 개발의 단 ... ...
대학생들이 만든 ‘따뜻한’ 기술로 소외지역 돕는다
2015.05.23
(사)나눔과기술 제공 과학기술로 어려운 이웃을 돕는 ‘적정기술’ 경진대회가 22일 서울대에서 열렸다. 사단법인 나눔과기술이 개최한 ‘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설계 경진대회’는 소외된 국내외 이웃들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적정기술 및 아이디어 공모전이다. 적정기술이란 지역 주민들이 충분 ... ...
[로봇에 대한 모든 것] 로봇 반란 막으려면
2015.05.23
로봇의 사회적 역할이 커지면서 법과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어떻게 하면 로봇을 효율적으로 통제할 것인지 고민하자는 것이다. 가장 자주 거론되는 개념은 ‘로봇 3원칙’이다. 공상과학(SF) 소설가인 아이작 아시모프가 1942년 단편소설 ‘런어라운드(Runaround)’에서 처음 소개한 ... ...
억양과 발음 달라지면 이해력 떨어져
2015.05.18
교수가 낯선 억양(악센트)으로 말하면 수업 내용을 기억하기 더 어려울까. 크리스틴 반 엥겐 미국 워싱턴대 연구원은 어느 날 이런 의문을 떠올렸다. 엥겐 연구원은 의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워싱턴대 동료들과 실험을 설계해 진행했다. iStockphoto 제공 연구팀은 영어를 모국어로 쓰는 실험 ... ...
이전
419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