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중
곱
뉴스
"
2배
"(으)로 총 6,377건 검색되었습니다.
약물 피부에 붙이고, 초고속 분사… 주삿바늘 공포서 해방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0
‘니들프리’ 시대 눈앞 미국의 스타트업 포털인스트루먼츠가 개발한 제트 주사기기 ‘프라임(PRIME)’. 주삿바늘 없이 주사제를 고압으로 가늘고 빠르게 분사해 통증이 느껴지지 않는다. - 포털인스트루먼츠 제공 피부를 찌르는 뾰족한 주삿바늘의 고통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영유아나 ... ...
[메르스 비상] ‘사스’ 사촌 메르스…호흡기질환 중 가장 치사율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18.09.09
바이러스는 접촉 통해 감염 손만 자주 씻어도 대부분 예방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최근 지구촌 곳곳을 공포로 몰아넣고 있는 감염병이 확산되면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국내에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가 발생하면서 3년전 전국을 공포로 몰았던 감염병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 ... ...
당뇨병 통증 전기침으로 달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06
50% 이상 통증 감소를 보인 환자 비율도 치료군( 15.52%)이 치료를 받지 않은 집단(6.25%)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전침 치료를 받은 환자의 경우 통증 감소 효과가 치료 종료 후 최대 8주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 종료 후 치료를 받은 환자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수면방해정도’가 ... ...
땅위 인공태양 KSTAR 실험 2만회 돌파
동아사이언스
l
2018.09.05
KSTAR 최초 플라스마 발생 실험 성공 당시(2008년) - 동아사이언스 자료사진 한국형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를 이용한 ‘플라스마’를 발생 실험 횟수가 총 2만 회를 넘어섰다. 국가핵융합연구소는 지난 4일 기준으로 KSTAR 플라스마 발생 실험이 2만회를 돌파했다고 5일 밝혔다. 수소와 수소를 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중국 붉은 머리 지네 - 위키피디아 자료 용량이 독을 만든다. -파라켈수스 동물 진화에서 독액의 등장은 전환기적 사건이다. 독액은 먹는 자와 먹히는 자의 상호관계를 몸싸움에서 생화학전으로 바꾸었고 독액을 지닌 동물이 훨씬 큰 동물을 잡아먹거나 물리칠 수 있게 했다. - 만드 홀포드 외, ‘ ... ...
“간단한 구조물로 사막화 지역 녹지로 되돌려요”
동아사이언스
l
2018.09.03
국무총리상은 개감수 뿌리 즙의 유포르본 성분을 활용해 치약 효능의 지속 시간을
2배
이상 늘린 치약을 개발한 학생부문의 천안 도하초 안지후 양(도하초 4)과 최예근(도하초 5) 군 팀과 저렴한 판유리를 이용해 빛의 회절간섭 실험 장치를 고안해낸 교원·일반부문의 남현정 동명초 교사와 강창원 ... ...
피부 흉터없이 위벽 뚫어 췌장 치료… ‘수술 로봇’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18.09.03
국내 연구진 개발한 ‘유연 로봇’, 차세대 ‘무흉터 수술 로봇’ 기대 •KAIST 권동수 교수팀이 개발한 수술로봇 케이-플렉스(K-Flex). 사방 어느방향으로든 자유자재로 휘어지므로 단일공 수술, 무흉터 내시경 수술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수술을 하면 큰 흉터가 생기지 않을까요?” “그럼 최신 ... ...
소수 선진국 보유 위성영상기술 첫 국산화…11월말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18.09.02
차세대 기상위성 천리안2A호에 첫 적용 독자 개발 위성영상 보정 소프트웨어 우주의 별 관측해 일그러진 영상 보정 대기-구름 등 기상조건 제약 없어 “美, 佛 등 일부 선진국만 보유한 기술” 차세대 기상위성 ‘천리안 2A호’ 상상도.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이르면 오는 11월 말 차세대 기상 ... ...
[표지로 읽는 과학] 빛바랜 녹색혁명 ‘비료의 역설’ 풀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9.02
동원된 결과다. 1961년 7억4100만 t에 그쳤던 전 세계 작물 수확량은 1985년 16억2000만 t으로
2배
이상 크게 늘었다. 이 시기 개발된 작물들은 곡물 수확량이 많고 비바람에 휩쓸리지 않게끔 키를 작게 만들어 태풍, 호우 등을 잘 견딘다. 하지만 부작용도 나타났다. 키 성장 억제 단백질인 ‘DELLA’를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코끼리 후각의 비밀 개코는 정말 개코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8.31
비교한 결과, 놀랍게도 아프리카코끼리에게 후각유전자가 2000개나 있었다. 이는 개보다
2배
이상 많고 유인원과 인간에 비하면 5배에 달하는 숫자다. 코끼리가 후각 기능이 매우 발달한 동물이라는 얘기다. 과학 읽어주는 언니 제공 코끼리는 이렇게 많은 유전자를 다 어디에 쓰는 걸까? 사실 ... ...
이전
419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