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d라이브러리
"
기존
"(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열기 시들해진 제5세대 컴퓨터 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실망했다. 병렬추론 머신과 논리형언어 프롤로그를 채택한 '마루치PSI'란 신제품은
기존
컴퓨터와는 별개의 구조를 지녔으나 기대했던 'AI컴퓨터'는 아니었다. 논리적 추론만으로는 직감적 사고와 무의식을 지닌 인간을 도저히 따라갈 수 없었던 것이다.혹자는 제5세대 컴퓨터에 대한 관심이 다른 ... ...
화산활동의 생생한 흔적 확인해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아니라고 봅니다.권영심 이제 3기 지형에 대해서 얘기를 해보죠. 3기의 대표적인 지형은
기존
논문들도 밝혔고 또 우리 눈으로도 확인한 대로 주상절리를 꼽을 수 있습니다. 주 구성암석은 애지린 오자이트 조면암인데요. 섬목을 바로 지나 두루봉으로부터 천부동 삼선암 딴방우 등 북쪽사면에 ... ...
차세대 풍력발전기 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이렇게 효율이 높아져 화석연료와도 가격경쟁이 가능해졌다고 개발자들은 자랑한다.
기존
의 풍력터빈은 늘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설계돼 있다. 즉 일반적인 가전제품들이 사용하는 60헤르츠를 지속적으로 만들어냈다. 따라서 더 빠른 속도의 바람이 불어 닥치게 되면 그 여분의 에너지를 ... ...
2. 신소재와 정밀설계기술 총동원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건물을 짓는다면 어느 정도 높이 지을 수 있을까. 건물의 형태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기존
의 설계 및 건설방법을 그대로 사용하여 3백층 건물을 지으려면 1층은 공간이 하나도 없이 콘크리트로 모두 채워야 한다. 콘크리트 보다 강도가 훨씬 큰 강철로 지을 경우(철골건물)는 어느 정도 올라갈 수 ... ...
2. 사람간의 대화처럼 자연스럽게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계산능력이 눈부시게 발전해 왔듯이 여러 종류의 입력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었고 또
기존
의 장치가 새로운 장치의 발명에 의해 역사의 뒤안길로 밀려나곤 했다.계산하고자 하는 자료를 종이카드에 천공해서 입력하는 펀치기는 다량의 자료를 처리하는데 적합했다. 홀러리스는 이러한 기계를 ... ...
5. 수첩크기 3백g짜리 초소형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FMR카드 등과 같은 노트패드(note pad) PC는 어디든지 휴대가 가능하고 계산처리 속도가
기존
AT급 PC보다 5~10배에 달하며 글자판을 없애버리는 대신 공책에 필기하듯 전자펜으로 쓰는 명령내용이 자동입력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두드리는 시대'에서 '쓰는 시대'로의 변화가 가능하게 되었지만 이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관측해 간섭계를 형성하면 이 경우 분해능은 물경 10만 분의 1초 정도로
기존
대륙간 간섭 계(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er:VLBI)보다 1백배 이상 증가하는 셈이다.자외선 가시광선 그리고 적외선 관측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초고분해능 광학망원경(Lunar-Optical-Ultraviolet-Infrared Synt ...
5.극심한 생물계의 수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알려져 있다. 오히려 대량절멸 후 신종의 형성이 급속히 이뤄진다는 학설도 있다.결국
기존
의 종은 대(代)를 이어가다가 없어지고 그 종의 어떤 갈래를 조상으로 삼아 새로운 종이 형성되는 것이 생물의 역사다. 이를테면 그런 대물림 과정을 통해 생물종의 다양화가 이뤄지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 ...
새로운 구조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어떻게 대용량 병렬처리 프로그램을 작성하는가 였다. 흔히 병렬처리기를 소개할 때
기존
의 직렬처리기에 비해서 몇배가 빠르다고 소개한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문제가 그 처리기를 통하면 바로 몇배로 속도 증가가 생기는 것은 아니다. 한 사람이 해서 10개월 걸리는 일을 열사람이 하면 한달정두 ... ...
1%만 절약하면 제주도에서 2년 쓴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만한 물주머니를 많이 얼렸다가 낮시간에 이를 녹여 냉방용으로 사용한다는 원리다.
기존
의 수축열냉방시스템에 비해 10배 이상 열효율이 높으며 전기 요금이 싼 심야전력을 이용한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시설비가 40% 정도 더 들어간다는 단점이 있다. 한전은 빙축열냉방시스템의 보급을 권장하기 ... ...
이전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