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드라큘라 백작이 알려 주는 피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살아 있는 동안 심장은 한시도 쉬지 않고 움직여. 70년을 산다고 하면 심장이 30억 번 이상을 뛰는 거지.피가 온몸을 끊임없이 도는 이유는 몸속 세포에 산소와 영양분을 전하기 위해서야. 심장에서 나간 깨끗한 피는 몸 곳곳을 돌면서 세포에 있던 노폐물과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전해줘. ... ...
- 너무 무서우면 병? 공포증 탈출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심장마비가 오거나 죽을 것 같은 생각이 들고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된다.※증상이 2개 이상 동시에 있다면 공포증으로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출처 : 정신의학편람공포를 이기는 비법난 단추가 너무 무서워서 단추가 달린 옷을 못 입는 것뿐만 아니라 단추만 봐도 속이 울렁거려. 어때? 공포증 ... ...
- 트랜스지방이 안 좋은 이유 밝혀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채운 다음 작전을 수행하기로 했지. 잠깐, 켁켁! 목이 막히는데? 아니, 햄버거 안에 이상한 녀석이 들어 있어. 손짓까지 하면서 나를 부르잖아. 뭐라고? 나에게 할 말이 있다고? 급한 얘기인 것 같으니 먼저 이 녀석의 이야기를 들어볼게.안녕? 음식 속에 들어 있는 너는 누구니?나는 트랜스지방이에요. ... ...
- 어린이 안전 지키으리~! 올백시큐리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발열, 설사, 복통을 일으킨다. 예방하려면 어패류를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고, 85℃ 이상에서 데워 먹어야 한다.눈으로 살피고 코로 킁킁~식중독은 음식에 들어 있는 독성물질로 두통이나 구토, 설사 등을 겪는 질환이다. 식중독이 여름에 많이 일어나는 이유는 날씨가 따뜻해 음식을 상하게 하는 ... ...
- 밀물 썰물로 전기가 찌릿찌릿 시화호 조력발전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줄었기 때문이야. 밀물이 계속 되고 바닷물이 더 빠져서 서해보다 시화호 해수면이 1m 이상 높아지면 수문이 열리면서 시화호에 있던 바닷물이 다시 서해로 빠져 나가. 이렇게 하루에 두 번 반복하면서 약 9시간 동안 전기를 만들 수 있다고 해.푸른 잔디와 나무가 있는 공원에서 친환경적으로 전기를 ... ...
- 무한도전 멤버도 몰랐던 카레이싱 사이언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때문에 두 차 모두 속도가 더 빨라진답니다. 슬립 스트림은 보통 차 속도가 시속 100㎞ 이상일 때 나타나요. 슬립 스트림 효과는 속도 제곱에 비례해요. 시속 100㎞일 때와 비교해 시속 150㎞에서는 2.25배, 시속 200㎞에서는 4배의 효과가 있답니다. 레이싱 특급 비법 ➍ 추월하기추월의 기본은 안쪽을 ...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일부에서만 분광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다.심지어 영화처럼 웜홀이라는 필터가 있는 이상 지구에서 사람이 살 수 있는 외계행성을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 영화처럼 인간이 직접 가서 무엇이 있는지 확인한 뒤, 웜홀을 통해 정보를 보낼 수밖에 없다. 김 그룹장은 “케플러우주망원경이 발사된 뒤 ... ...
- [knowledge] “산호를 보니 숨통이 트여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손사래를 쳤다. 평균 수심이 30m(최대 80m)밖에 안 되는 환초 안과 달리 바깥은 바로 1000m 이상 깊은 절벽이 펼쳐진다. 색깔부터 달랐다. 안쪽은 연한 에메랄드빛, 바깥쪽은 시커먼 파란빛. 환초가 방파제처럼 파도를 막아주어 그동안 호수처럼 잔잔한 바다에서 스노클링을 할 수 있었다는 것도 알게 ... ...
- [fun] “알고리듬이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많다. 산발적인 알고리듬으로부터 고도의 지능이 창발한다는 어느 SF영화의 소재가 더 이상 상상 속 이야기만은 아닐 거라는 생각이 드는 이유다.이해하지 못하는 알고리듬에 의해 움직이는 세상에서 윤리적으로 행동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전혀 의도하지 않았지만,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플라스마 유지 시간은 케이스타의 경우 300초를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30초대다.1억K 이상의 플라스마를 만드는 것도 쉽지는 않다. 현재 케이스타 등 토카막 실험장치에서는 외부에서 에너지를 넣어준다. 토카막 안으로 전자기파를 걸어주면 마치 전자레인지처럼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빠르게 ... ...
이전4204214224234244254264274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