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도"(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수학이 과학에 속한다?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오늘의 의뢰인인 수학이 얼마나 다양한 일을 하고 있는지는 차차 알아보도록 하죠.수학의 고민이 ‘과학의 달은 있는데 수학의 달은 왜 없는 건가요?’ 라는 거죠? 다들 아시다시피 과학의 달은 4월이죠. 특히 4월 21일은 과학의 날이고요. 그러고 보니 초·중학교에 다닐 때 과학의 달기념 포스터 그 ... ...
- Part 3. 삼각형으로 지도를 그릴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작은 것부터 도전해 보기로 했다. 우선 내가 사는 동네를 알아야 우리나라를 알고, 우리나라를 알아야 세계지도를 그릴 것 아닌가.마음의 준비를 단단히 하고, 매의 눈으로 주위를 둘러봤다. 가장 먼저 익숙한 학교가 보이고, 대형마트, 버스가 다니는 큰 도로, 조금 멀리 있는 산도 보인다.오늘의 최 ... ...
- Part 4. 지도는 몇 가지 색으로 칠할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우선 내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을 가장 좋아하는 노란색으로 칠했다. 마음이 아프지만 10년 뒤에는 통일이 될까? 북한을 파란색으로 칠했다. 얼마 전 지진으로 마음고생을 한 일본, 일본도 꼭 가봐야지.일본을 빨간색으로 칠했다.미국으로 건너갈까 하다가, 평소 아시아에 관심이 많은 한 사람으로서 ...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수학동아 l2011년 04호
- 2011년 3월 11일 오후 2시 46분 일본의 북동쪽 바다 밑에서 거대한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해일과 원자력발전소의 폭발 사고가 뒤따르며 피해는 눈덩이처럼 커졌다. 두려움은 잘 알지 못하는 데서 오는 법. 지진에서 방사선까지 자세히 파헤쳐 보자.지진에 이은 지진해일의 영향으로 마을 안쪽까지 배가 ...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과학동아 l2011년 04호
- 마치 영화의 한 장면 같았다. 아니 어떤 영화도 그렇게 무서운 장면을 담담하게 담아낸 적은 없었다. 해저 지진이 만든 집채만 한 지진해일(쓰나미)은 고속열차와 같은 속도로 돌진해 순식간에 평화로운 어촌을 집어 삼켜 버렸다. 목조건물은 산산조각이 났고 자동차들이 물살에 이리저리 휩쓸려 다 ... ...
- 가장 선명한 달 뒷면 사진과학동아 l2011년 04호
-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가장 선명한 달 뒷면 사진을 공개했다.달은 항상 지구를 바라보며 공전하고 있어 지구에서는 달은 항상 달의 앞면만 볼 수 있다. 우주탐사선 등이 달 뒷면의 사진을 찍은 적은 있지만 지금까지 공개됐던 사진은 대부분 해상도가 낮아 달의 정확한 뒷모습을 알기 어려웠다.NASA ... ...
- Intro. 일본 대지진 위협받는 원전 신화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지난 3월 11일 오후 2시 46분, 일본 동북부 미야기 현 동쪽 130km 바다에서 리히터 규모 9.0의 강진이 일어났다. 육지와 워낙 가까운 바다에서 일어난데다 진원이 24km로 비교적 얕았기 때문에 즉각 높이가 10m에 달하는 지진해일(쓰나미)이 일본 동쪽 해안에 들이닥쳤고, 심한 곳은 10km 안쪽까지 해일에 휩 ... ...
- 우주까지 반백 년, 그리고 우주에 다다른 지 반백 년…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지구는 푸르다. 이 얼마나 멋진가. 1961년 4월 12일 유리 가가린은 역사상 처음으로 우주선을 타고 지구를 내려다보며 이렇게 말했다. 그로부터 50년이 지났다. 그 동안 사람은 달에 다녀왔고, 수많은 우주인이 인류를 우주에 더욱 가깝게 이끌었다. 우리나라도 지난 2008년 처음으로 우주인을 배출했다. ... ...
- 직업에서 취미를 찾은 ‘기상의 달인’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좋아하는 일을 직업으로 삼지 말라는 말이 있다. 아무리 좋아하는 일도 직업이 되면 책임감을 느껴 즐거워지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류상범 국립기상연구소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장은 직업에서 취미를 찾았다. 그는 하루 종일 기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도 모자라 주말에는 기상을 테 ... ...
- 광펌핑 세슘원자시계 KRISS-1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손목시계는 1~2분 정도 틀려도 친구와의 약속시간을 지키는데 큰 문제가 없다. 스포츠 시합을 할 때는 100분의 1초까지 시간을 재는 정밀한 시계가 필요하다. 교통관리시스템의 시간 오차는 1000분의 1초, 휴대전화와 기지국은 10만분의 1초보다 작아야 한다. 인공위성항법장치(GPS)는 10억분의 1초 단위 ... ...
이전4204214224234244254264274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