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404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신경 '피복' 벗겨지는 다발성 경화증, 줄기세포가 치료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1.28
장애나 증상이 악화되지 않았다. 연구를 이끈 스테파노 플루치노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수
는 “이번 연구는 다발성 경화증의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한 단계로 그 결과에 매우 흥분된다”고 말했다. 다발성 경화증은 중추신경계에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전 세계적으로 약 200만명이 ... ...
한국 연구진, 세계에서 가장 작은 고성능 '나노레이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1.28
불구하고 구조적 결함이 발생해도 빛의 손실이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았다. 박
교수
는 "디스클리네이션 공진기라는 새로운 레이저 구조를 개발하고 초소형 소용돌이 나노레이저를 처음 선보인 데 의의가 있다"며 “새로운 나노레이저는 편광 특성까지 원하는 대로 제어할 수 있어 새로운 고집적 ... ...
제5대 DGIST 총장에 이건우 서울대 前 공대 학장
동아사이언스
l
2023.11.27
권위자이기도 하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명예
교수
및 국민대 기계공학부 특임
교수
로 재직 중이다. 이 신임총장은 “DGIST는 지속적인 성장과 도약을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수준 높은 연구와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학문과 연구의 선봉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탐험하고 ... ...
"AI로 자폐아 2∼4세 조기 진단 한다"
연합뉴스
l
2023.11.27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로체스터 대학 아동병원 발달·행동 소아과 전문의 수전 하이먼
교수
는 자폐아는 MRI 스캔 중 가만히 있지를 못하기 때문에 뇌 MRI 찍기가 어려우며, 따라서 잠잘 때 등에 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니면 스캔 전에 의학적인 위험이 있을 수 있는 진정제를 투여해야 ... ...
뇌 시상하부 기능 조절해 살 뺀다
연합뉴스
l
2023.11.27
마우스 실험을 통해 HMBA의 대사 개선 효과에 필수적인 타깃 단백질을 밝혀냈다. 김은경
교수
는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HMBA의 효능과 신경세포 내에서의 조절 기전을 규명해 비만과 당뇨 등의 치료에 새로운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석재 연구원이 논문 제1 저자로 ... ...
"모바일 앱, 우울 치료 효과 높이는 데 도움 줄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1.27
우울증에 대한 최우선 사항으로 고려될 수준이었다. 연구를 이끈 허지원 고려대
교수
는 “이번 연구는 중등도 및 심도의 우울에 대한 앱 기반 개입의 효과를 메타 분석을 통해 처음으로 밝혀낸 결과"라고 말했다. 제1저자인 배하영 연구원은 “이번 연구가 적절한 치료에의 접근이 어려운 우울증 ... ...
의료계 “부실 의대 정원 줄여야” vs 정부 “국민 의견 수렴해 증원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3.11.27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동석 대한개원의협의회 회장은 ”기초학을 제대로 가르칠
교수
진 확보가 어려운 데 최대 3953명의 수요라는 허수를 써내다니 한심하다“며 ”복지부가 이번 조사에 대해 교육의 질이 담보되는 수준 점검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으니, 부실 의대는 정원 축소를 발표했어야 ... ...
과기협 '올해의 과학자상'에 김하일·선양국·한상욱…'대한민국과학기자상'에 정혜윤 YTN 기자
동아사이언스
l
2023.11.27
과학커뮤니케이터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심사위원장을 맡은 이재신 중앙대
교수
는 “올 한해도 과학언론계의 꾸준한 노력 덕분에 과학 분야의 중요한 이슈와 사안들에 대해 국민의 관심과 앎이 증가했다”라면서 “과학기술의 역할이 날로 증가하면서도 이와 관련된 다양한 위험 역시 늘고 있어, ... ...
쾌감 부르는 신경물질 '도파민' 실시간 측정 길 열어
동아사이언스
l
2023.11.27
뇌 속에 1년 이상 삽입해도 안정성이 유지되는지 검증할 예정이다. 연구를 이끈 장
교수
는 "기존의 탐침으로는 불가능했던 장기간 안정적인 초정밀 도파민 농도 측정이 가능하게 됐다"며 "추후 뇌질환 환자를 보조하는 탐침 개발에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장경인
교수
, 하정대 ... ...
스마트 SSD보다 똑똑한 '도커SSD'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1.27
데이터는 두 배 빠르게 처리하고 전력 소모는 두 배 줄어든다는 점을 확인했다. 정
교수
는 "불필요한 데이터 이동을 최소화해 빠르면서 에너지 절약에 최적화된 동시에 사용자 입장에서 편리하면서 우수한 호환성을 가진 메모리 모델을 확보했다ˮ며 "고성능·저전력 메모리 모델인 도커SSD는 ... ...
이전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