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뉴스
"
물리
"(으)로 총 5,295건 검색되었습니다.
[써보니]애플 아이폰7 속속들이 뜯어보기
2016.10.21
있었다. 그러나 애플 제품이 늘 그렇듯 아이폰7을 일주일 정도 쓰고 나니 기존의
물리
버튼보다 더 세련된 느낌이다. 손톱 등으로 눌리지 않지만 이미 애플은 터치ID를 통해 홈 버튼을 지문이 있는 손가락 끝으로 누르는 습관을 만들어 왔다. 또한 화면을 켜는 것도 전원 버튼이 아니라 홈 버튼으로 ... ...
가장 정밀한 합금 ‘인바’의 비밀 국내연구진이 풀었다
2016.10.19
수상하기도 했다. 하지만 1897년 처음 발견된 뒤 1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이 독특한 특성이
물리
적으로 규명된 적은 없었다. 연구진은 물질 내에서 원자가 일으키는 미세한 떨림인 ‘격자진동(Phonon)’이 인바의 열팽창을 막는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실험을 통해 규명했다. 연구진은 인바와 같은 ... ...
미래형 ‘양자컴퓨터’ 개발 성큼… 고성능 양자광원 개발
2016.10.18
실용화를 앞당길 차세대 반도체 원천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조용훈 KAIST
물리
학과 교수팀은 피라미드 모양의 고효율 ‘양자점(Quantum dot)’ 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양자점은 광자(빛의 입자)를 내뿜는 나노미터(nm·10억 분의 1m) 크기의 초소형 반도체다. 광자를 이용해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2016.10.18
과정이 아니라 양자
물리
학적 현상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어쩌면 광합성 연구로 노벨
물리
학상이 나올지도 모르겠다. 광합성은 이산화탄소를 고정하는 방식에 따라 C3 광합성과 C4 광합성 두 가지가 있다. 둘 가운데 원조인 C3 광합성은 여전히 벼를 비롯해 식물종의 95%가 채택하고 있다(위).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과학자들도 사랑한 ‘밥 딜런’
동아사이언스
l
2016.10.16
노벨위원회뿐이었을까. 과학자들도 딜런의 참신한 표현을 사랑했다. 미국 하버드대
물리
학과 교수는 2015년 출간된 그녀의 책 제목을 딜런의 노래 제목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Knockin' on Heaven's Door)’로 정하기도 했다. 올해 1월 영국의학저널(BMJ)에 발표된 한 논문에 따르면 기상학자들이 밥 딜런의 ... ...
“실험도 온라인으로 배울 수 있나요?”
2016.10.16
촬영하고 소프트웨어에 이를 업로드하면 움직임을 분석해 물체의 이동에 대한
물리
공식을 세울 수 있다. 워크래프트 같은 PC게임에서 쓰이는 다중접속(MUVEs) 기술을 접목해 팀플(팀플레이) 수업을 진행하기도 한다. 미국 하버드대의 환경공학 강좌 ‘에코무브(EcoMUVE)’는 온라인에서 수강생들이 팀을 ... ...
강의 온라인으로 듣고, 교실선 토론 발표…‘거꾸로 수업’ 확산
2016.10.16
교과목을 들으면 학점을 인정하고 있다. 이화여대 학생들은 케이무크에 개설된 ‘현대
물리
학과 인간 사고의 변혁’, ‘영화 스토리텔링의 이해’, ‘인간 행위와 사회구조’, ‘건축으로 읽는 사회문화사’ 등 4개 과목을 수강하면 대학에서 각각 3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다. 일반 신청자들과 ... ...
지극히 개인적인, 과학적 합리성의 3가지 요소
2016.10.15
붙여야 하는 이유가 무엇이지요?" 잠시 정적이 흐른 뒤, 건너편에 앉아 계시던 통계
물리
학자 김범준 교수님께서 말씀을 꺼내셨습니다. "좋은 질문이네요. 제 생각에는 과학적 합리성은 생각하는 당사자에게만 합리적인 것이 아니라,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의 시각에도,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도 ... ...
“세상을 바꾸는 건 내
물리
학”…끝장 토론 나선 과학자들
2016.10.14
접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토크콘서트는 무료로 진행된다. 참가신청은 한국
물리
학회 홈페이지(www.kps.or.kr) 또는 과학과사람들 홈페이지(www.sciencepeople.co.kr)에서 할 수 있다. ... ...
거대한 원형 돌기둥은 5000년 전 천문대!
수학동아
l
2016.10.08
돌기둥의 목적이 명확히 밝혀진 적은 없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호주 애들레이드대
물리
학과 게일 히긴바텀 연구팀이 5000년 전에 둥그렇게 세워진 돌기둥은 태양과 달의 움직임에 따라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연구팀은 돌기둥이 원형으로 줄지어 있는 영국 스코틀랜드 루이스섬의 ... ...
이전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