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월호 내부조사까지 약 40일… 부식 어떻게 막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3.28
붙여 둔 아연판이 쇠 대신 먼저 부식되면서 선체를 보호한다. 아연은 철보다 반응성이
크기
때문에 두 금속이 서로 연결돼 있으면 철에서 나온 음(-)전자가 아연으로 전달된다. 철이 산소와 결합해 녹이 슬 여지가 사라지지만 대신 아연이 더 빨리 부식된다. 주기적으로 아연판을 교체해 주기만 하면 ... ...
[카드뉴스] 전략적으로 귀엽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28
무한히 커질 수 없었어요. 이에 따라 골반의 가운데 구멍으로 태어나는 아기의 머리
크기
도 정해졌지요. 인류가 미숙한 아기를 성인으로 온전히 키울 수 있었던 건 아기의 귀여움이 어른들의 관심을 불러 일으키는 아주 강력한 신호이기 때문이에요. 우리 두뇌에는 쾌락중추가 있어요. 쾌락중추가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① 사소한 것에 집착하는 나
2017.03.26
엄청난 강박을 보이지만, 또한 다른 것에는 아주 무관심하기도 합니다. 책장의 책을
크기
와 색깔, 종류로 나누어 질서정연하게 배치하였지만, 정작 음식물이 썩어가는 싱크대를 보면서는 심드렁한 태도를 보이기도 하죠. 가족들에 손에 이끌려 온 한 젋은 환자는 너무 오랫동안 씻지 않아 악취가 ... ...
애플은 왜 새빨간 아이폰을 내놨나
2017.03.25
벌써부터 뜨겁다. 캠페인의 의미도 있지만 애플이 뽑아내는 빨간색에 대한 기대도
크기
때문이다. 사실 소비자 입장으로서는 후자에 관심이 더 가게 마련이다. 제품을 실제로 보기 전까지는 이전에 내놓았던 아이팟 터치나 아이팟 나노 프로덕트 레드의 화사한 빨간색을 기대했다. 똑같이 ... ...
세월호 끌어올린 ‘잭킹 바지선’은 어떤 장비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3.25
어렵다고 판단해 잭킹 바지선을 동원한 것이다. 한 해양기술전문가는 “단순히 세월호의
크기
나 무게가 문제였다면 크레인 여러 대를 이용해 동시에 들어올리는 방법도 있다”며 “조류 등 여러 조건이 크레인을 쓰기엔 여의치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투입된 잭킹 바지선의 인양력은 ... ...
정교한 예술 작품, 도자기로 만든 꽃
팝뉴스
l
2017.03.24
맨의 도자기 꽃 작품은 수공예 전문 온라인샵 엣시를 통해 구매 가능하다. 가격은 작품의
크기
와 디자인에 따라 5만원에서 64만원 선.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 ...
청소 위성, 우주 쓰레기를 부탁해!
과학동아
l
2017.03.24
감시, 기상 관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어요. 구삼옥 박사님은 “좀 더 작은
크기
로 만들어 원양어선 등에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다”며, “군용 드론처럼 일반 드론도 바다 위에 떠서 이동하는 배와 같이 움직이는 대상에 정확히 착륙할 수 있게 연구하고 있다”고 말씀하셨어요. 기자단 ... ...
엄마 얼굴 쏙 빼닮았는데… 관상-성격은 왜 다르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3.24
있다. 학술지 ‘플로스 유전학’ 16일자에는 조상이 어떤 기후에 살았는지에 따라 콧구멍
크기
가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콧구멍은 숨이 드나드는 통로인 동시에 몸속에 들어오는 공기의 온·습도를 조절해 폐 등 장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진은 다양한 국가 출신 참가자 470명의 거주 ... ...
머리가 좋을 수록 잘생긴 배우자 고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23
두뇌
크기
가 작은 암컷은 수컷의 색과 상관없이 짝짓기 상대를 선택했습니다. 두뇌
크기
가 작은 암컷의 눈에 딱히 문제가 없음에도 이런 결과가 나왔습니다. 자연에서 수컷은 다른 수컷보다 더 돋보이기 위한 수단으로 화려한 외모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코랄-로페즈 박사는 “동물 집단의 ... ...
“규모3.3 지진발생/여진 등 안전에 주의바랍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22
지진의
크기
를 이야기할 때는 흔히 ‘규모’를 씁니다. 1932년 찰스 리히터가 지진의
크기
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 제안해 만들어졌습니다. 지진이 났을 때 발생하는 에너지 량을 이야기하지요. 흔히 뉴스에서 ‘규모 얼마의 지진’ 이라고 말할 때의 규모가 리히터입니다. 사람들에게 알리기 ... ...
이전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