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d라이브러리
"
직접
"(으)로 총 6,441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 차별시대 펼쳐지는 디스토피아 가타카
과학동아
l
200104
인간 유전자에 대한 특허가 가능하죠.홍박사_ 물론 특허낼 수 있겠죠. 하지만 본인이
직접
실험해야죠. 특허를 밝혀낸 사람한테 권리가 있는 것이지 유전자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할 수는 없어요.성래_ 갖고 있어봤자 소용이 없군요. ^^의준_ 게놈프로젝트는 영화에서도 돈과 상당히 밀접해 보이고, ... ...
PART 4. 프로펠러 달고 몸 속 누비는 생체기계
과학동아
l
200103
않았던 새로운 helicase의 모양을 찾아내고 여러 모양들 사이에 왔다갔다하는 반응률도
직접
잴 수 있었다. 모터 분자들이 어떻게 화학 에너지를 사용해서 작동하는지를 밝혀내는데 이 단일 분자 FRET가 큰 역할을 해낼 것으로 기대된다.100% 효율 자랑하는 모터분자많은 모터 분자들은 화학에너지를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1 인간게놈프로젝트 성공시킨 주인공
과학동아
l
200103
완성을 발표한 두 주체. 바로 다국적팀과 셀레라다. 다국적팀과 셀레라를
직접
이끌면서 인간게놈지도를 완성한 주인공들은 누구일까. 그들만의 이야기를 들어본다.인류의 진화와 발달의 미스터리를 풀기 위한 인간게놈프로젝트에 의해 인간게놈의 99%가 해독됐다. 이것은 하나의 끝이라기보다 ... ...
킥보드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0103
이 외에도 다른 재미있는 과학적인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를 읽고 있는 독자가 스스로
직접
찾아보는 것은 어떨까. 타고 놀기만 했던 킥보드를 주의깊게 눈여겨보자 ... ...
'사이빌'에 등장한 16개 인격체 가진 여성
과학동아
l
200103
선과 악을 분리해낼 수 있는 약품을 개발하는데 성공한다. 약의 효과를 테스트하기 위해
직접
실험대에 오른 그는 사악한 하이드로 변해 연쇄 살인을 저지르고, 나중에는 약을 먹지 않아도 하이드로 변해 지킬박사로 되돌아올 수 없는 상태에 이른다. 이 작품은 자살로 생을 마감하는 지킬박사의 ... ...
불에 그을린 명화 NASA 기술로 복원
과학동아
l
200103
화재로 그을린 두점의 19세기 유화가 잠들어 있었다. 이론상으로는 확실했지만 그림에
직접
적용해본 사례가 전무한 만큼, NASA 연구진들과 클리블랜드 미술관 측은 클리블랜드 소방국의 입회 하에 대규모의 모의 실험을 실시했다. 임시로 만들어진 거실의 벽면에 싸구려 유화를 걸고 일단 불을 붙인 ... ...
봄비와 함께 찾아온 누런 용
과학동아
l
200103
왕자들의 시기를 받아 남으로 도망해 고구려를 세웠다. 이 이야기를 고구려 사람들이
직접
적어둔 것이 있다. 바로 고구려 광개토왕의 왕릉에 세워둔 비석이 그것이다.광개토대왕릉비의 앞부분을 보면, 고구려의 건국자 추모왕부터 광개토왕까지의 역사가 짤막하나마 웅장하게 그려져 있다. 이 ... ...
광우병'은 소만 걸리는 병인가
과학동아
l
200103
대한 검역을 강화하고 아직까지 수입이 허용되고 있는 소 부산물에 대해서는 광우병과의
직접
적인 관련성이 알려질 경우 즉각 수입 판매 중지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한다.급성 동물 전염병 '구제역' 비상2월 21일 세계 모든 언론들은 구제역이 영국에서 발생했다고 일제히 발표했다. 영국을 ... ...
과학으로 풀어본 희로애락 - 울음
과학동아
l
200103
되는데, 우는 것과 눈이 붓는 것은 상관관계가 있을까. 사실 우는 것은 눈이 붓는 것에
직접
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다만 울고 난 후 눈이 붓는 것은 울면서 눈을 만지거나 비비는 등 눈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눈을 자극하면 눈꺼풀에 퍼져 있는 모세혈관의 벽을 통해 조직액이 상당량 흘러나와 ... ...
PART 3. 스타워스의 공간이동 가능성 연 나노소자
과학동아
l
200103
부피가 소자들이 차지하는 부피보다 커지게 된다. 이를 해결할 방법으로 스위치에 의한
직접
연결과 달리, 소자들을 그룹으로 묶고, 연결 부위에 판단 능력을 주는 논리가 주장되고 있다. 이를 ‘분산된 지능을 가진 메모리 소자’라고 부른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웃하는 나노소자 사이의 전자 ... ...
이전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