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뉴스
"
동물
"(으)로 총 6,023건 검색되었습니다.
치타가 빠른 이유는 적절한 체중 때문? 모든
동물
에 통하는 속도 분석법
동아사이언스
l
2017.07.18
시속 61.3㎞였다. 미리암 박사는 “새로운 분석법이 화석을 충분히 찾기 힘든 멸종
동물
들의 속도 예측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오차를 줄인 더 정확환 결과값을 얻기 위해 체중과 근섬유량 그리고 신진대사 능력 등의 관계를 면밀히 분석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미국 조지아, 허리케인에 희생된 악어
팝뉴스
l
2017.07.17
제공 미국 어류야생
동물
관리국(USFWS)이 지난 22일 페이스북에 공개한 사진이다. 조지아에 있는 ‘와소 국립 야생생물 보호구역’에서 촬영된 것이다. 지난 10월 허리케인이 닥쳤을 때 나무가 쓰러지면서 지나가던 악어를 덮쳤던 것으로 추정된다. 27일자 기사를 통해 이 소식을 전해 내셔널 ... ...
인류는 전염병과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16
특별 편(special issue)으로 실렸다. 마크 립시츠 미국 전염병역학센터(CCDD)장은
동물
시험을 통해 효능을 검증한 백신의 2~3분의 1이, 임상 3상 시험을 통과하지 못해 약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승인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 대해 지적하며 그 원인은 잘못된 ‘무작위 배정 시험’에 있다고 말했다. 특정 ... ...
[퀴즈] 사람의 피 냄새, 개보다 사람이 잘 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16
‘개코’라고 부릅니다. 그만큼
동물
의 후각은 민감하다는 뜻인데요. 하지만 사람이
동물
보다 잘 맡는 냄새가 있습니다. 어떤 냄새일까요. 아래의 퀴즈에서 만나 보세요. [냄새 관련기사] 1. 냄새 못 맡으면 살도 빠진다?2. 사람이 개보다 잘 맡는 냄새는? 3. 두리안 ‘X냄새’가 궁금하다!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⑪ 외국인 혐오증은 진화적 본성이다?
2017.07.16
애향심 때문이 아니라 바로 내집단 선호라는 원시적 인지 모듈의 결과입니다.
동물
종에선 네 가지 방법을 통해서 이러한 내집단 선호의 기전이 작동합니다. 지역(location), 친숙함(familiarity), 표현형 합치(phenotype match) 및 식별 대립유전자(recogition alleles)입니다. 즉 가까운 곳에 살고, 서로 친한 ... ...
당신은 행복하게 돈 쓰는 방법을 아시나요?
2017.07.15
결정임에도 자신의 결정이 아주 자연스럽게 느껴졌다고 한다. ‘사람이 덕질하다 보면
동물
원도 사고 그럴 수 있지’라고 생각해보니 왠지 납득되기도 했다. 한편 과연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행복을 위해 돈을 쓰는 방법을 알고 있는지 생각해 보게 되었다. 실제로 행복에 있어 돈을 얼마나 ... ...
[테마가 있는 영화] tvN 예능 ‘윤식당’에 영감을 준 ‘카모메 식당’
2017.07.15
공짜 커피만 마시는 토미에게 눈치를 주지도 않는다. 식당 밖에서 자신을
동물
원의
동물
보듯 구경하거나 흘겨보는 사람들에게도 미소와 인사를 건네 손님으로 만들어버리는 놀라운 포용력을 지니고 있다. 언제나 같은 자리를 지키며 다양한 사람을 맞이하는 일은 맛있는 음식을 제공하는 것 못지 ... ...
우주 최강 생명체 ‘물곰’ 죽이는 3가지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7.07.14
제공 완보
동물
이라고도 하는 물곰은 크기가 1㎜도 채 안 되지만 어떤 극한 환경도 견딜 수 있는 최고의 생명력을 자랑한다. 우주 최강 생명체로 꼽히는 ‘물곰’을 죽이려면 지구에 어떤 일이 벌어져야 할까. 국제 공동 연구진은 사실상 물곰을 포함한 지구의 생명체를 몰살시킬 천체물리학적 ... ...
뱀을 잡아 먹은 물고기 낚여
팝뉴스
l
2017.07.14
물고기 입 속에 뱀 한 마리가 자리 잡고 있다. 돌연변이 헐크 물고기일까. 작은 물속
동물
을 먹어야 할 물고기가 두려움을 상실하고 사냥에 나서고 있는 것일까. 생태계의 교란을 걱정하는 네티즌도 많지만 작은 뱀을 물고기가 잡아 먹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지적하는 댓글도 보인다. ... ...
‘황금박쥐’가 멸종위기종이 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7.13
DNA 시료를 얻어 게놈을 해독했다. 또 다른 박쥐 7종과 사람과 쥐, 소나 말 등 육상 포유
동물
6종의 게놈과 비교해 붉은박쥐의 고유 특징을 찾았다. 분석 결과 ‘황금박쥐’를 만드는 붉은 털을 만드는 유전자를 발견할 수 있었다. 독성 물질인 비소(As)에 저항하는 유전자도 발견했다. 그동안 ... ...
이전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