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국제"(으)로 총 4,849건 검색되었습니다.
- [표지로 읽는 과학] 자가면역질환 치료의 새 희망 '비타민B6'동아사이언스 l2019.06.15
-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13일 분자구조가 세세히 드러난 단백질의 모습을 표지에 담았다. 파란 단백질이 노란 단백질을 감싼 모습의 이 단백질 복합체는 면역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세린 하이드록시메틸트랜스퍼라제 2’(SHMT2)-‘탈유비퀴틴 BRCC36 이소펩티다제 복합체’(BRISC)의 모습을 0.38 ... ...
- 印, 달에 부드럽게 착륙한 네 번째 나라를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2019.06.13
- 토대로 달의 극지방에 달 탐사에 활용할 수 있을 정도로 물이 많다는 연구결과가 지난해 국제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되기도 했다. 2014년 인도는 무인 화성 탐사선 ‘망갈리안’도 화성에 보내는 등 우주탐사를 꾸준히 진행해 왔다. 최근 재선에 성공한 나힌드라 모디 총리의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시황은 왜 도량형을 통일했을까2019.06.13
- 우표. 국가기록원 그래서 등장한 것이 이른바 ‘자연표준’이다. 1960년 10월14일, 국제도량형국은 미터원기에 의존한 1미터의 정의를 포기하고 다소 복잡한 새 정의를 내놓았다. 크립톤86 원자의 2p10과 5d5 에너지 준위 차이에서 나오는 진공 중 빛의 파장의 1,650,763.73배에 해당하는 길이를 1미터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 좁지 않아 그 값이 여성 평균인 1보다 큰 남성도 꽤 된다. 'V. Altounian/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달 7일 손가락 비율의 과학에 회의적인 입장을 담은 심층기사가 실렸다. 읽어보니 필자와 같은 생각을 하는 과학자들이 꽤 많은 것 같아 반가웠다. 사실 손가락 비율의 과학을 자세히 ... ...
- [표지로 읽는 과학] 항암·맞춤치료 혁명 가져올 '오가노이드'동아사이언스 l2019.06.09
- 병의 원인이나 진행 과정을 밝히거나 신약의 효과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7일 인간의 기도를 흉내 낸 오가노이드를 3차원 공초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을 표지로 담았다. 파란색이 DNA, 빨간색이 단백질이다. 사이언스는 이번 특집기사에서 십수년간 ... ...
- [표지로 읽는 과학] 천적이 가져온 생물 다양성의 변화동아사이언스 l2019.06.08
-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풀 속에 숨어있는 초록색 도마뱀의 모습을 6일 표지로 실었다. 초록 아놀리라고 불리는 이 도마뱀은 몸길이 12~18cm에 주로 미국 남동부에서 서식하며 평균 8년을 산다. 초록 아놀리에겐 천적이 있다. 바로 말린꼬리 도마뱀이다. 말린꼬리 도마뱀은 몸길이 15~20cm에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조 힌 치오,염색체와 매카시즘2019.06.06
- 알아본건 당시 빠르게 발전하고 있던 미국의 과학자들이었다. 1956년 코펜하겐에서 열린 국제인간유전학회에서, 레반과 치오의 연구가 발표된다. 페인터와 친분이 있던 초파리 유전학자 뮬러는 치오와 레반의 발견에 감명을 받아, 치오에게 미국행을 권한다. 하지만 치오는 당시 노벨상을 수상하고 ... ...
- '게임의 긍정적 힘' 324명의 게이머가 세상에 없던 단백질 56개를 창조했다동아사이언스 l2019.06.06
- 통해 시민 과학자들이 새로운 인공 단백질 56개를 찾아냈다는 연구결과를 이달 5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실었다. 폴드잇은 아미노산을 회전시키고 구부리며 단백질 분자 구조를 구성해가는 게임이다. 단백질 연구를 게임화하기 위해 2008년 개발됐다. 지금까지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을 ... ...
- '스마트시티는 미래 도시의 대안인가' 스마트시티MP·공학계 원로 '갑론을박'동아사이언스 l2019.06.05
- “스마트시티에서 창업한 스타트업은 전세계 10개 이상 도시의 지원을 받아 국제적으로 성장할 수 있게 하면 판교나 테헤란로에 가지 않더라도 이곳에 창업할 사람이 생겨날 것”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인 기술적 과업을 설정해 달성해 나가는 게 좋다는 의견에 대해서 MP들은 조금 다른 입장을 ... ...
- 사람마다 면역력·약효 다른 이유는 '장내 미생물'동아사이언스 l2019.06.04
- 연구 계획을 밝혔다. 사람마다 약효 다른 이유도 장내 미생물 탓 앞서 전날인 3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서는 사람마다 약물에 대한 반응속도가 다른 이유를 장내 미생물에서 밝혀낸 연구 결과가 실렸다. 비슷한 증상 때문에 같은 약을 먹더라도 어떤 사람은 바로 약효가 나타나는 반면, 어떤 ... ...
이전4214224234244254264274284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