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뉴스
"
우주
"(으)로 총 7,404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세먼지 추적자 천리안2B호 위성 발사까지 앞으로 한 달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일 항공운송을 통해 남미 기아나
우주
센터에 무사히 도착했다. 항우연 연구진들도 기아나
우주
센터로 이동해 발사 전 현지 준비 절차에 착수했다. 항우연 연구진은 위성본체 및 환경·해양 탑재체에 대한 정밀 점검을 통해 모두 정상 상태임을 확인했고 천리안2B호를 정지궤도에 올려놓을 발사체 ... ...
반짝이던 그 ★ 빛을 잃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60(Fe-60)’ 원소가 검출된 시기를 근거로 300광년 이내에서 폭발한 초신성에서 쏟아져 나온
우주
선 고에너지가 번개를 자주 일으켜 숲을 불태웠다고 추정했다. 그 결과 나무를 타던 고대 인류가 초원에서 두 발로 걷는 시간이 많아졌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베텔게우스는 폭발해도 지구와 멀리 떨어져 ... ...
[영상+]"첫 발사까지 앞으로 1년" 누리호 개발 산실 나로
우주
센터를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9
있다. 고흥=조승한 기자 조립동에서 발사대로 이어지는 도로는 공사가 한창이었다. 나로
우주
센터는 2013년 한국과 러시아가 공동 개발한 2단 발사체인 나로호에 맞게 설계됐다. 지금은 누리호에 맞도록 '체질개선'을 하고 있다. 고정환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개발본부장은 “나로호보다 길이가 14m 긴 ... ...
[영상+]퀸의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를 37년간 매료시킨 천문학 연구 '황도광'
동아사이언스
l
2020.01.18
넘어선 인간의 모험과 탐구 정신을 대변한다고 생각한다”며 “내일 발표할 주제곡은
우주
를 알아내고자 하는 인간의 끊임없는 노력에 대한 찬사를 담고 있다”고 말했다. 메이는 지난 2016년 9월 프레디 머큐리가 세상을 떠난 1991년 발견된 ‘소행성 17473’의 이름을 ‘소행성 17473 프레디 머큐리’로 ... ...
달 뒷면 착륙1년 맞은 '옥토끼'…"지금도 탐사中"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분리된 탐사로봇(로버) 위투(옥토끼) 2호가 달 뒷면 표면에 인류 최초로 발자국을 남겼다.
우주
강국으로 꼽히던 미국과 러시아, 일본을 제치고 이뤄낸 중국의 성과였다. 인류는 이전에도 여러 차례 달 탐사를 시도했지만 모두 앞면에 착륙하거나 달 궤도를 돌며 멀리서 달 뒷면을 바라봤을 뿐이다. 달 ... ...
문대통령, 미세먼지 관측 위성에 감탄…"진원지도 알 수 있나"(종합)
연합뉴스
l
2020.01.16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정지궤도 인공위성이다. 다음 달 19일 프랑스령 기아나의 기아나
우주
센터에서 발사될 예정이다. 설명을 듣고 감탄하며 손뼉을 친 문 대통령은 "미세먼지의 국경 간 이동상황을 세계 최초로 관측할 수 있게 된 것인가"라고 되묻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미세먼지의 진원지가 ... ...
R&D 24조 시대, 기초과학·AI·젊은·과학자 지원 더 속도 낸다
2020.01.16
지난해 1434억 원에서 올해 2246억 원으로 대폭 확대했다. 분야 별로는 바이오헬스와
우주
, 에너지, 소재부품, 양자기술 등 경제적, 사회적 파급력이 큰 5대 핵심분야에 정부 R&D를 집중 투자한다. 천리안2B호와 누리호를 발사하고, 소재 부품 장비 분야 핵심 품목 100개의 공급을 5년 내에 안정화시키기 ... ...
“아이들에게 영감 주려 도전… 꿈-열정 좇는게 인생서 가장 중요”
동아일보
l
2020.01.16
우주
인이 꿈인 청년들에게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일은 꿈과 열정을 좇는 일”이라며 “
우주
인이 되려는 열정을 경력과 일치시키고 그 꿈을 좇아라”라고 조언했다. 그는 “자신의 일에서 느끼는 행복은 삶의 가장 훌륭한 선물”이라며 “그것이 당신 주변의 모든 사람들의 삶도 풍요롭게 할 ... ...
한국 면적 태워버린 호주 산불…지구온난화 부추기는 '악순환'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0.01.15
대지를 태워버렸다. 하지만 여전히 사그라들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지난 11일 미국항공
우주
국(NASA)은 호주 산불에서 배출된 연기가 전 지구로 퍼지고 있다며 관련 위성영상을 공개했다. 이달 3일 기준 이미 연기는 남동부 해안과 호주와 뉴질랜드 서부 사이의 바다인 태즈먼해을 넘어 태평양까지 ... ...
태양계보다 더 오래된 물질 운석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1.14
46~49억 년 전 형성된 알갱이는 약 70억 년 전 만들어진 별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이 시기가
우주
베이비붐처럼 별의 생성이 활발했던 시기로 추측했다. 헥 교수는 “태양계가 시작하기 전에 평균보다 더 많은 별이 형성될 때가 있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헥 교수는 “운석은 지구에 도달하는 가장 ... ...
이전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