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d라이브러리
"
새로운
"(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남자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도입하면서 이런 진화 압력을 덜 받는다.이들은 올해 3월 1일 네이처를 통해
새로운
연구 결과도 발표했다. 이번에는 침팬지가 아니라 붉은털원숭이와 사람의 Y염색체를 비교했다. 붉은털원숭이는 2500만 년 전에 사람과 갈라져 진화했다. 결과는 희망적이었다. 사람이 잃어버린 유전자 중에서 ...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암흑광자가 정말로 암흑전자기력을 만든다면 암흑광자를 찾는 것이 자연계 4대 힘 외
새로운
힘을 발견하는 첫 걸음일지도 모른다. 그 첫걸음을 위해 지난 4월 24일 미국 버지니아주의 토머스제퍼슨연구소(이하 제퍼슨연구소)가 암흑광자 사냥에 돌입했다.[암흑은 빛으로, 빛은 다시 전자로 ... ...
컴퓨터과학의 아버지, 알란 튜링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뿐이니까요.그래서 요즘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사람의 뇌처럼 작동하는
새로운
컴퓨터를 만들려고 합니다. 튜링의 꿈 또한 뇌와 같은 컴퓨터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아마 튜링이 오늘날 살아 있다면 뇌를 연구했을 겁니다.천재 수학자의 비극적인 최후튜링은 뛰어난 수학자가 모인 ... ...
[정보] 돌고 도는 정다면체 순환의 비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정다면체를 만들 수 있다. 수학자들은 아래와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각 정다면체가 품는
새로운
정다면체를 연구해, 17가지의 경우를 찾아냈다. 수학자들은 이런 정다면체의 순환 중에서 모든 경우의 수를 따져 하나의 흐름으로 서로를 연결할 수 있는 경로를 찾아냈다. 순서는 아래 그림과 같이 ... ...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만드는 단계에 이르렀다. 세포 컴퓨터의 집합인 인간은 컴퓨터를 만들었고, 컴퓨터는
새로운
생물을 만드는 계산을 한다. 앞으로는 컴퓨터와 생명체를 구분하기가 어려워질 것이다.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아버지로 불리는 컴퓨터 학자 마크 와이저는 “앞으로 조그만 컴퓨터를 도시 곳곳에 뿌려놓고, ... ...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상태”라며 “이에 대한 답이 나오면 은하와 블랙홀이 처음에 어떻게 형성됐는가에 대한
새로운
이론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우주에 질량이 태양의 수 배에서 수백억 배에 이르는 다양한 크기의 블랙홀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블랙홀에 대한 미스터리는 오히려 깊어지고 있다.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미국은 검출기를 아예 우주로 보내거나, 거울 대신 자유낙하하는 원자를 이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현재 라이고는 운영을 중단한 채 민감도를 10배 높이는 업그레이드 작업이 진행 중이다. 3차원 공간이기 때문에 실제 검출률은 1000배 높아질 예정이다.이름 레이저간섭중력파관측소(LIGO ... ...
전기정보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과학은 이미 존재하는 것을 규명하는 성격의 학문이지만 공학은 과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새로운
것을 창조해내는 학문으로 인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현대 사회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사람들이 사는 모습을 가장 크게 바꾼 전기와 정보 통신 기기 모두 전기정보공학을 기반으로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다발의 구조를 뇌를 해부하지 않고도 MRI(자기공명영상)만을 이용해서 관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냈다. 확산텐서영상(DTI)이라고 불리는 이 기술을 통해 MRI 기계에 30분 정도 누워있으면 개인의 뇌신경 회로도를 그릴 수 있게 됐다. 이 분야에서 우리나라 뇌공학자들은 이미 세계적인 수준에 ... ...
통신 오류 잡는 수학 ‘마술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평생 살 순 없습니다. 세상은 계속 변합니다. 항상
새로운
것이 나오면 그것을 이해하고
새로운
내용과 관련된 지식을 넓히고 거기에서 창의적인 생각을 해서 결과를 내는 능력을 키우라고 강조합니다.”이 때문에 노 교수는 최근에 나온 논문 중 좋은 것을 항상 학생들이 읽고 일주일에 두 번 ... ...
이전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