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질량의 기원은 밝혀질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힉스는 현대 물리학의 기본 모델을 완성하기 위해 반드시 찾아야하는 궁극적인 입자인
셈
이다.박교수는 “힉스는 매우 높은 에너지 상태에서 존재하기 때문에 일상에서 확인할 수 없다”며 “거대한 가속기를 이용해 양성자를 빠른 속도로 충돌시켜 태초의 환경을 재현하는 것이 힉스를 찾는 ... ...
2. 과학분야 노벨상 궁금증 이모저모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그의 연구업적은 이미 1931년에 이루어진 것으로, 업적이 인정되는데 무려 55년이 걸린
셈
이다. 그는 1988년에 사망했으니 조금만 더 늦었으면 아예 못받을 뻔했다. 또 1983년 생리의학상을 받은 바바라 맥클린톡도 유동하는 유전자를 발견한 업적이 인정되는데 무려 49년을 기다려야 했으니 루스카를 ... ...
2. 불로불사의 꿈, 영생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이 학설에 따른다면 사람의 수명은 성숙기를 20세로 잡을 경우 1백-1백20세가 되는
셈
이다. 현대 의학 역시 인간의 수명이 1백20세를 넘기지 못한다고 전망한다. 심각한 유전적 문제가 없고 필요한 영양소를 적절하게 섭취할 경우를 전제한 가장 낙관적인 견해다.인간은 왜 1백20세 이상을 살 수 없을까? ... ...
18일 새벽 사자자리 별똥 축제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않은 시기라면 매일 밤 한시간에 3-4개의 유성을 볼 수 있다. 20여분만에 하나씩 떨어지는
셈
이니 하나를 놓쳤다면 다음 유성까지 조금 기다리면 된다. 천문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전 지구적으로 하루 동안 떨어지는 유성의 수는 약 25만개에 이른다고 한다.유성의 근원이 되는 유성체들은 대부분은 ... ...
1. 한국인은 노벨상에 도전할 수 있는가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마련할 계획이다. 위축된 경제 상황 속에서 첨단을 추구하는 'IMF형 기초과학 전략'인
셈
이다.그러나 고등과학원이 추구하는 것은 노벨상 자체가 아니다. 노벨상이 기초과학의 상징인 만큼 한국의 기초과학 수준을 높이는 것이 목적일 뿐이다. 그래서 김정욱 원장은 "고등과학원이 마치 노벨과학상 ... ...
나무는 베어서 써야한다.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숲 가꾸기가 오히려 산사태를 예방할 수 있다는 좋은 증거인
셈
이다.우리나라에 내리는 강수량은 매년 1천2백67억t이나 된다. 이 중 숲에 떨어지는 물의 양은 8백23억t이다. 숲은 강수량의 14%인 1백80억t을 저장하지만, 지금처럼 청년기의 나무들이 많이 서 있으면 증발산량이 ... ...
3. 생명현상 조절하는 생체전지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흐를 수가 없다. 즉 일렉트로플락스의 양편에 있는 체액은 전기적으로 서로 격리돼 있는
셈
이다. 전기기관에 연결된 신경돌기들이 동시에 자극을 받으면 신경돌기가 닿아있는 일렉트로플락스의 면들은 탈분극을 일으킨다. 세포의 안쪽은 등전위이기 때문에 일렉트로플락스의 양편에 있는 체액 ... ...
수학의 난제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4칙연산과 그들 사이의 귀납법적 관계만으로 무수히 많은 작도가능한 수들을 얻은
셈
이다. 사실 이것은 매우 놀라운 일이다.다시 $\sqrt{a}\를 살펴보자. 물론 a 가 유리수이면 위에서 보다시피 $\sqrt{a}\도 작도 가능한 수가 되는데, 이때 $\sqrt{a}\를 x 라 놓으면 x 는 x² = a 라는 2차식을 만족시키는 그 어떤 ... ...
북한 로켓 미스터리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미치지 못하지만, 기존 노동미사일에 비해 사거리를 2배 이상 향상시킨 신형 미사일인
셈
이다.북한은 이미 대륙간탄도미사일에 준하는 대포동2호를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추력이 1백톤에 이르고 사거리는 5천km 이상으로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대포동2호가 완벽한 ICBM이 되려면 ... ...
천재과학자들의 엉뚱한 행동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생겼다. 손가락으로 누르면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는 형태였다. 일종의 ‘위 뚜껑’인
셈
이었다.보먼트 박사는 이 ‘위 뚜껑’을 보고 재미있는 생각을 떠올렸다. 만일 이곳에 음식을 넣고 들여다보면 위의 소화작용을 알 수 있지 않겠는가.1825년 8월 1일 보먼트 박사는 몇가지 음식을 명주실에 매달아 ... ...
이전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