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그래. 수처럼 조화로운 것은 없을 거야. 모든 숫자는 조화롭고 소중해. 아무리
작은
숫자라도 그것을 무시하고 빼버리면 계산이 틀려 버리지. 생명이 있는 사람에게조차 양반이니, 상것이니 하며 무시하고 천시하는 인간 세상과는 달라. 세상이 셈법과 같다면 얼마나 좋을까? 더하는 만큼 늘어나는 ... ...
클럭에 매달린 프로세서에는 미래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크게 줄어든다. 캐쉬 메모리는 CPU와 메모리의 속도 차를 극복하고자 중간에 둔,
작은
메모리다. 자주 쓰는 정보를 담아두기 때문에 빠르게 읽어 들일 수 있다.멀티코어는 2001년 IBM에서 만든 ‘파워4(Power4)’에서부터 서막을 열었다. 마지막까지 클럭 향상을 고집하던 인텔도 새로운 코어 구조를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켜둔다. 이 때 바닷속에 있는 생물들이 물과 함께 선박 안으로 다량 들어간다. 크고
작은
생물종들이 선박을 따라 본의 아니게 ‘밀항’을 하게 되는 셈. 이를 뒷받침하듯 외래종이 가장 많은 지중해와 대서양, 발틱해는 모두 오래 전부터 선박의 이동이 잦았던 해역이다. 또 양식을 위해 인위적으로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광화문에 쓰인 돌은 인왕산 등지에서 캔 화강석이다. 아래쪽 선단석의 무게는 하나에 10t.
작은
것들도 보통 1t이 넘는다. 이러다보니 전통방식으로 석조 건축물을 지을 때는 특징이 있다. 석재끼리 맞닿아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해 좌우로 3mm 정도의 간격을 띄운다. 위아래로 쌓을 때는 충격 완화를 ... ...
헬륨 부족하면 첨단 연구도 STOP! 헬륨 위기가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산소통에 들어 있는 기체는 헬륨과 산소를 혼합한 것이다. 헬륨은 분자가 작아 매우
작은
구멍도 통과할 수 있어 배관이 새는지 알아내는 비파괴 검사에도 쓰인다. 행사나 이벤트에서 날려 보내는 알록달록하고 예쁜 풍선에 들어가는 헬륨의 수요도 의외로 많다. 헬륨은 불에 타는 수소보다 안전하기 ... ...
덩치 큰 슈퍼컴퓨터, 소프트웨어로 다이어트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검색 엔진에서 큰 효과를 발휘한다. 이곳에서 필요한 작업은 동시 다발적으로 유입되는
작은
크기의 일을 수초 내로 처리하는 것이다. 굳이 시스템을 전력 질주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가상화 기술은 가상 노드를 옮길 실제 기계를 넉넉하게 준비해둬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만일 하루 동안 가장 ... ...
도시의 미래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했다.호르크스 박사는 “도시는 계획한다고 무조건 그대로 만들어지지 않고 아주
작은
변화에도 민감하게 움직이는 유기체”라면서 “크고 넓은 시야로 최소 20년 이상의 장기 목표를 세우고 이를 매년 수정하면서 방향을 조금씩 개선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이어 “도시는 규모가 ... ...
‘자연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손톱처럼 섬유성 단백질인 케라틴으로 돼 있다. 손으로 끊을 수 있는 머리카락이나
작은
힘으로도 부러뜨릴 수 있는 손톱과 달리 코뿔소의 뿔이 강한 이유는 무엇일까. 코뿔을 이루는 케라틴의 구조가 특별하기 때문이다.저자는 가장 효율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을 동물에게 배우라고 말한다. 인류는 ... ...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마음만 먹으면 개인도 충분히 위력적인 무기를 만들 수 있다. 목표까지 스스로 날아가는
작은
무인항공기에 폭탄만 달아도 멀리서 안전하게 공격할 수 있다. 이런 특성은 부대끼리 맞붙는 정규전보다는 테러 분야에서 더욱 유용하다. 로봇은 대테러 전투에도 새로운 국면을 가져올 전망이다. 로봇 ... ...
세상에서 가장 성스러운 강 2510km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구멍 속에 앉는다)으로 이동했다.하루에 10시간 정도 노를 저어 갈 수 있는 거리는 30~40km.
작은
마을조차 없어서 늘 나무그늘 아래에 텐트를 치고, 음식을 구하지 못해 수박으로 한 달을 견뎌야 할 만큼 탐험은 가혹했다. 그렇지만 자연 속의 야생동물을 만났을 때의 감동은 피곤함을 잠시 잊게 했다. ... ...
이전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