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체모방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물질이 발라져 있어 진짜 소금쟁이처럼 물 위에 뜰 수 있답니다.이 로봇이 주목받은 더 큰 이유는 물 위를 폴짝폴짝 뛰는 소금쟁이의 행동까지도 그대로 따라했기 때문이에요. 연구팀은 1초에 500장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카메라로 소금쟁이가 물 위에서 도약하는 과정을 관찰했어요. 그 결과 넓게 ... ...
- 새끼 남극물개가 엄마를 찾는 법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중 남극물개들은 주로 남극에 살며 95%는 사우스조지아섬에서 짝짓기를 해요. 덩치가 큰 수컷은 몸 길이가 2m 정도까지 자라며, 몸무게는 무려 215kg 정도랍니다. 수명은 수컷이 15년 정도, 암컷이 25년 정도지요.일반 물개와 털이 조금 달라 보이는 걸?우리 털은 두 종류로 이루어져 있어요. 바깥층엔 ... ...
- 달나라 옥토끼배 송편대첩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떡을 즐기고 있답니다.달을 닮은 떡 월병중국 중추절은 중국 3대 명절로 불릴 정도로 큰 명절이에요. 우리나라 추석과 마찬가지로 음력 8월 15일이지요. 중국에서는 농사가 잘 된 것이 달의 신이 달빛으로 변해 세상에 복을 내렸기 때문이라고 생각해, 중추절에 뜨는 보름달에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 ...
- 나보다 남이 먼저! 동물의 이타행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잘 모르는 사람보다 친동생을 먼저 도와 줄 거예요.이에 대해 현대 진화 이론 정리에 큰 공헌을 한 *홀데인은 이렇게 말했어요. “만약 내가 두 명의 내 형제를 구할 수 있다면 내가 희생되더라도 물에 뛰어들겠다. 마찬가지로 내가 여덟 명의 사촌을 구할 수 있다면 물에 뛰어들겠다. 나와 나의 ... ...
- 천적 불가사리 잡아먹는 나팔고둥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주기도 해요. 고둥 역시 불가사리에게 좋은 먹이가 되지요. 하지만 고둥 중에서도 몸집이 큰 나팔고둥만은 예외예요. 나팔고둥은 다 자라면 길이가 30cm에 달할 정도로 커져요. 나팔고둥은 다른 고둥과 달리 천적관계가 뒤바뀌어 오히려 불가사리를 잡아먹는답니다.이처럼 나팔고둥은 우리나라 ... ...
- 헤어 디자이너 ‘ 자르고 보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하기로 마음먹고 미용실로 향했다.“안녕하세요! 멋진 탐정 스타일로 부탁~해요!”큰 소리로 인사하며 미용실 문을 열고 들어간 썰렁홈즈. 그런데 이게 웬일? 의자가 뒤집어져 있고 미용실 문엔 총알 자국이 나 있는 게 아닌가!미션1 사라진 총알을 찾아라!맨 먼저 썰렁홈즈의 눈에 들어온 것은 닫힌 ... ...
- [교과연계수업] 곤충, 미래 식량이 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식량난이 생긴다고 하는 걸까요? 식량이 부족해지는 이유엔 여러 가지가 있어요. 가장 큰 이유는 늘어나는 인구! 유엔경제사회국은 지난 7월 29일 ‘2015 세계인구보고서’를 공개했어요. 이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73억 명인 전세계 인구 수가 꾸준히 늘어나 2030년엔 85억 명, 2050년엔 96억 명, 그리고 210 ... ...
- 곤충으로 삼시세끼? 미래식량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온도와 적은 강수량, pH9~10, 이 세 가지 조건을 갖춘 곳에서 잘 자라요.스피루리나의 가장 큰 특징은 세균이면서도 풍부한 단백질과 다양한 비타민, 미네랄까지 골고루 포함하고 있다는 거예요. 덕분에 ‘슈퍼푸드’라는 별명까지 얻었지요. 그래서 유엔 국제식량기구(FAO)에서 약 40년 전인 1974년에 ... ...
- 국립수목원과 함께한 여름 숲캠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수십년 된 나무에서 사는 딱정벌레들이에요.수목원에는 긴 더듬이를 갸웃대는 하늘소, 큰 뿔이 멋진 장수풍뎅이, 나무줄기 틈마다 쏙쏙 숨어 있는 사슴벌레 등 다양하고 진귀한 야간 딱정벌레들이 서식하고 있거든요.장이권 교수님은 “낮에 활동하는 곤충은 눈이 잘 발달돼 있지만, 야행성 곤충은 ... ...
- 10년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히드라, 케르베로스, 스틱스라는 5개의 위성이 돌고 있어요. 뉴호라이즌호는 이 중 가장 큰 위성인 카론의 표면을 촬영했어요. 카론의 사진에서 눈에 띄는 지형은 1000km 길이의 절벽과 5~10km의 깊이의 협곡이에요. 절벽과 협곡은 땅이 솟아오르는 지질활동의 결과로 생겨요. 따라서 카론에서도 ... ...
이전4234244254264274284294304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