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뉴스
"
양
"(으)로 총 5,211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신경세포 실시간 관찰하는 바이오센서 ‘파도’ 개발
2016.04.06
치료 가능성도 열었다. 베이커 연구원은 “신경세포부터 면역세포에 이르기까지 다
양
한 형태 세포의 질병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며 “향후 파킨슨병과 같이 신경세포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뇌질환의 근본적 원인을 규명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 ...
반도체 마의 벽 넘은 삼성 “中, 따라와 봐”
동아일보
l
2016.04.06
삼성전자는 4년 반여 만에 10나노대 D램을
양
산하는 데 성공했다. 2004년 90나노급 D램을
양
산한 이래 매년 10나노 단위로 줄여오던 삼성전자가 10나노의 벽을 넘기까지 상대적으로 시간이 오래 걸린 이유는 그만큼 미세공정 기술이 고도화될수록 어렵기 때문이다. 중국 등 후발업체들이 아무리 물량 ... ...
“G5 몸체가 칼로 긁히는 플라스틱? 특수 알루미늄에 바른 도료입니다”
동아일보
l
2016.04.06
녹여서 만드는 주조 방식이다. 붕어빵을 틀에 넣고 찍어내는 것과 흡사하다. 버리는
양
이 거의 없기 때문에 훨씬 경제적이다. 대량생산하기에도 좋다. 하지만 틀에 넣고 부어서 굳히는 과정에서 메탈 특유의 느낌이 줄어들기 때문에 전자기기나 자동차 내장재 등에 많이 쓰인다. G5는 가볍고 내구성이 ... ...
착한 사람 제조 기술: 버튼 하나로 세계에서 가장 착한 사람이 될 수도 있다?
2016.04.06
다학제적 융합과 통섭이 요구되는 경험 디자인을 업으로 삼다보니 자연스레 국내외의 다
양
한 분야에서 공부와 현업을 통해 전문성을 쌓아왔다. 미국 실리콘 벨리에서 UI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국내에선 삼성전자와 KT에서 UX 연구와 개발을 하였고, 싱가포르에서 필립스 디자인(Philips Design)의 UX ... ...
동력 없이 바닷물을 민물로 만드는 기술 개발
2016.04.03
염소 음이온은 서로를 밀어낸다. 결국 소금 성분은
양
동이의 벽면으로만 몰리게 되므로
양
동이 한가운데에 민물만 남게 된다는 원리다. 연구팀 실험 결과 나노모세관 1L 부피가 있을 경우 민물 100mL를 얻는 데 하루가 걸린다. 김성재 교수는 “나노모세관의 개수를 늘리면 더 적은 부피의 ... ...
훨씬 정확한 ‘고릴라 게놈 지도’ 나왔다
2016.04.03
전체 게놈 중 어느 위치에 있던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소실한 ‘불량정보’의
양
을 96% 이상 줄일 수 있었다. 또 2012년 완성한 고릴라의 게놈에서 얻을 수 없었던 43만3861개의 염기서열 대부분을 확인하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번 분석에 이용한 기술을 다른 포유류는 물론 유인원에게도 ... ...
“온난화 지속되면 2100년엔 뉴욕, 홍콩, 상해 바다속에 잠겨”
2016.04.03
교수팀과 공동으로 지구 온난화가 현재 수준으로 지속될 경우 남극 얼음이 녹는
양
만으로도 금세기 말 해수면이 1m 넘게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연구진은 1월 9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위성 ‘랜드샛 8호’가 촬영한 남극 서쪽 아문제해에 있는 ‘스웨이트 빙하(Thwaites Glaciers)’의 ... ...
[토요판 커버스토리]실리콘밸리 입성한 ‘토익 315점’
동아일보
l
2016.04.02
격려금을 지급하기도 한다. 베네핏의 한국 지사와 미국 본사를 모두 경험한 이솔 씨는
양
측 근무환경의 뚜렷한 차이를 느꼈다. 그는 “미국 본사에선 주어진 일을 잘 해내는 게 평가 기준이어서 얼마나 오래 근무했는지를 따지지 않아 좋다”고 하면서도 “개인적인 문화가 강해 팀원이 다함께 공동 ... ...
여기서 나가고야 말겠어! 탈출을 꿈꾸는 새끼 판다
2016.04.02
먹어 그 큰 덩치를 유지하며 소화계를 활성화 시켜야 하니 판다가 하루 먹는 대나무의
양
만도 평균 9~14kg이나 됩니다. 판다는 번식률이 낮은데다가 인간의 산업화로 인한 서식지의 감소로 개체수가 점점 줄어들어 멸종위기동물이 된지 오래입니다. 그런 판다의 주요 서식지인 중국 ‘쓰촨 자인언트 ... ...
[과학동아 4월호] 명견(名犬) 복제 10년, 현장에 가보니
과학동아
l
2016.04.01
찔러 넣고 전기 충격을 가해 인위적으로 융합시킨다. 이렇게 만든 수정란을 4시간 배
양
한 뒤 대리모에게 착상시켜야 한다. 남윤석 국립축산과학원 연구원이 핵을 없앤 난자에 복제할 개의 체세포를 주입하고 있다 - 완주=우아영 기자 wooyoo@donga.com 제공 보통 대리모 한 마리에 수정란 10개를 ... ...
이전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