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d라이브러리
"
국제
"(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랙홀에 대한 결정적 증거 포착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막스플랑크연구소를 중심으로 한
국제
천문학자팀이 10년 동안 고생 끝에 거둔 성과다.
국제
천문학자팀은 10년간 우리은하 중심부에 있는 S2라는 별을 관측했다. 전세계에서 가장 큰 광학망원경이자 대기의 효과를 없애는 적응광학이 적용된 망원경인 VLT의 활약이 가장 컸다. 관측자료를 통해 S2별이 15. ... ...
한국인 SNP집합 지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구축으로 이어져 우리나라 게놈 연구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우리나라의
국제
일배체형지도 프로젝트 참여는 올해 11월 초 콜린스 박사와 더불어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있는 일본의 유수케 나카무라 박사의 방문과 함께 논의가 구체화될 전망이다 ... ...
최장수 여성 장관의 비결은 과학자 경력 김명자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보였다.김 장관이 환경분야와 인연을 맺은 것은 1988년 크리스찬아카데미가 주관한
국제
학술올림픽대회에서 논문을 발표한 것이 계기였다. 이후 환경정의시민연대, 국회환경포럼, 천주교환경위원 등에서 자문활동을 펼쳤다. 비단 환경단체뿐 아니라 과학계, 여성계, 관계 등 다방면에 걸친 정력적인 ... ...
북한 핵개발 의혹 6문 6답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증거가 된다. 그래서 고강도 알루미늄은 수출통제 품목으로 규정돼 있다. 수출입 때
국제
원자력기구(IAEA)에 신고하도록 돼 있다. 북한의 고강도 알루미늄 확보시도가 바로 핵개발과 관련된 확정적인 증거가 되는 셈이다. 한편 지난 8월에는 영국의 선데이 타임스가 파키스탄의 한고객이 46t의 고강도 ... ...
1. 급물살 타는 한국인 게놈 연구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의대 교수)이다.지난해 6월 마크로젠은 한국인 고유의 게놈지도를 완성했다고 발표했다.
국제
공동컨소시엄 HGP의 인간게놈지도 발표가 있은지 4개월만에 어떻게 국내 벤처기업이 한국인의 게놈지도를 완성할 수 있었을까.정확하게 말하면 당시 마크로젠이 발표한 게놈지도는 전체 30억쌍의 염기 중 ... ...
목소리는 제2의 주민등록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나타난 기본주파수의 변화나 파랑선으로 나타난 진폭의 변화는 거의 비슷하다.최근의 한
국제
학회에서는 이런 잡음의 특성을 파악하고 희미하지만 뚜렷하게 나타난 스펙트럼의 특징을 뽑아 재합성한 뒤 깨끗한 음성으로 들려주는 과정을 소개한 발표가 있었다. 먼지와 진흙에 뒤덮인 고대 유물을 ... ...
태양계 탄생 비밀 간직한 화석 혜성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나오는 지역도 포착됐다.한편 미국은 1978년에 발사한
국제
태양지구탐사선(ISEE-3)을
국제
혜성탐사선(ICE)으로 변경한 후 핼리혜성으로 급파했다. 이를 위해 1년 정도 걸린 복잡한 궤도계산에 따라 지구와 달 사이를 5회 스쳐가며 궤도를 수정, 먼저 쟈코비니-지너혜성에 시험적으로 접근시켜본 후 3월 2 ... ...
2. 미완성으로 막 내린 세계정상회담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1백6개국의 국가원수와 정부 대표단 등 정상급 대표를 비롯해 1백89개 유엔 회원국 및
국제
기구와 비정부기구에서 모두 6만여명이 참여했다. 이로써 규모면에서 리우 지구환경회의의 배를 넘는 사상 최대의 환경회의라는 기록을 남겼다.WSSD의 시초가 된 리우 지구환경회의는 1992년 6월 브라질의 ... ...
3. 이산화탄소 격리 기술의 허점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하나의 과제만 해결되면 그만인 것이다.이를 두고 영국 엑스터에 있는 그린피스
국제
본부 연구실험실장 폴 조스튼 박사는 “이들 기술 대부분이 공학자에 의해 계획되고 있다는 사실이 문제”라고 지적한다. 어떤 문제건 가능한 단순화시키고, 그리고 나서는 장기적인 해결책을 발견했다고 ... ...
기후 변화 기록한 화가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것입니다. 카날레토는 당시의 기상학자, 해양학자였던 것입니다. 스톡홀름에 본부를 둔
국제
암석권-생물권 프로그램의 전지구적 기상변이연구 책임자인 프랭크 올드필드 박사는 “비록 일부 지역에 한정된 것이기는 하지만 카무포 박사의 연구결과는 매우 신뢰할만한 것”으로 평가했습니다.최근 ... ...
이전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