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d라이브러리
"
인공
"(으)로 총 4,79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Ⅲ 레이저의 응용 산업 전분야에서 종횡무진 활약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 광컴퓨터흔히 미래의 컴퓨터로
인공
지능컴퓨터 생물(bio)컴퓨터 광컴퓨터를 꼽는다.
인공
지능은 소프트웨어적인 개념이고 생물컴퓨터와 광컴퓨터는 현재의 반도체칩을 바이오칩이나 광프로세서로 대체한다는 개념이다.지난해 3월 미국 AT&T 벨연구소는 초당 1백만 명령어를 처리하는 ... ...
차세대 전화기술혁명 무선시대를 연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약 4만㎞ 상공에 있어 송신측에서 전파를
인공
위성으로 보낼 때 고출력을 필요로 하고
인공
위성에서 보내온 전파를 수신할 때도 크고 좋은 안테나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위성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용 단말기는 만들기도 어렵고 또한 단말기의 가격도 비싸게 된다.이런 이유로 ... ...
2. PC에서 미디를 구현하려면 책상위의 작은 오케스트라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음악을 녹음해서 준다는 생각을 해보면 정말로 신나는 일이 아닐 수 없다.몇년후에는
인공
지능 컴퓨터의 등장으로 인간의 심정만 입력하게 되면 그 분위기에 맞는 악보를 자동으로 연주하는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음원선택시 유의할 점만일 자신이 이미 미디단자가 있는 신서사이저나 디지털 ... ...
PARTⅠ마이크로파에서 레이저과학으로 첨단과학에 빛을 더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바꿀 수가 있고, 여기에다 컴퓨터를 설치함으로써 지능이 있는
인공
지능을 가진 장비 곧
인공
지능 로봇이 탄생한다. 21세기에는 컴퓨터도 광컴퓨터로 대체될 전망이고, 이렇게 될 경우 현재의 컴퓨터보다 계산속도는 1만배이상, 기억용량은 1백만배이상이 될 전망이다.이 외에도 레이저는 응용분야가 ... ...
64㎏짜리 태양측후소 아직도 가동중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다시 돌아오지 않는 미아가 됐다. 60년 3월에 발사된 5호는 지구와 태양을 도는
인공
위성으로 계획됐으나 3개월만에 고장나고 말았다.파이어니어 계획이 시작된지 8년만에 쏘아진 6호는 최초의 성공작. 이 우주선을 직접 설계한 디자이너들도 '6개월을 버티면 성공'이라고 했을 정도다. 그런데 6 ... ...
풀어쓰는 컴퓨터역사① 셈의 기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는 컴퓨터의 탄생에서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역사를 올 한해동안 연재할 계획이다.
인공
지능 슈퍼컴퓨터 컴퓨터그래픽 컴퓨터언어 등을 추구했던 컴퓨터과학자들의 성공과 실패에 얽힌 재미있는 이야기들에 많은 기대를 바란다.셈을 할 수 있는 능력은 인간을 다른 동물과 구분하는 중요한 ... ...
신경망군과 퍼지양의 「결혼」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또는 패턴인식이란 인간이 눈을 통해 사물을 인식하는 것을 NN을 통해 또는 기존의
인공
지능(AI)방법을 이용해 구현하려는 학문의 한 분야다. 따라서 입력되는 대상이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정보자체도 시간에 따라 여러 형태를 갖게 된다.예를 들어 인간이 눈을 통해 '사과'를 인식하는 ... ...
활용분야 넓혀가는 클린룸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환경조건을 제어해야 하는 공업용 클린룸이다. 예를 들면 반도체 정밀전자 광학기기
인공
위성 등은 공업용 클린룸에 속한다.둘째로 생물학적 입자와 비생체 입자를 제어하며 실내의 온습도 및 압력을 필요에 따라 제어하는 생물용 클린룸이다. 예를 들면 병원의 수술실, 실험동물 사육시설, 의약품 ... ...
지진 예측의 새로운 가능성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이 시기는 지구 전지역에 걸쳐 지진이 매우 빈번히 일어났던 시기. 그후 메티올
인공
위성에서 똑같은 현상을 관측함으로써 이를 통한 지진 예측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대부분 반알렌대의 변화가 있은 후 3,4시간 내에 대규모의 지진이 있었음이 밝혀졌다.현재까지 밝혀진 지진과 반알렌대의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촛불을 켜서 내려보낸다. 촛불 대신 작은 새를 내려 보내기도 한다.또 자연 동굴이나
인공
터널 같은 땅굴을 탐험할 때 십자매가 든 새장을 들고 들어간다. 새가 못견디게 몸부림치거나 기운없이 쓰러지면 산소의 부족을 직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방금 한 얘기는 모두 새라는 생물을 이용, 비록 ... ...
이전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