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대 동물 멸종 미스터리
100
00BC로떠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더 재미있었죠? 한 가지 더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줄게요. 바로 최근 개봉한 영화‘
100
00BC’를 과학으로 들여다보기! 영화 속 이야기가 모두 사실은 아니랍니다. 영화의 재미를 위해 상상력을 더한 것이지요. 어떤 것이 상상력으로 만들어진 것일까요?인간을 잡아먹는 무서운 식인새?영화에 등장하는 ... ...
갈릴레오 시스템용 두 번째 위성 발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자신이 만든 분비관 속에서 산다화석은 오르도비스기 이래로 알려져 있고, 전세계적으로
100
종 정도가 알려져 있다 전력의 송전계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계전방식의 일종으로 송전선에 단락(短絡)이나 접지(接地)의 사고가 일어났을 때 고장점(故障點)의 양끝에서 신속히 선로를 차단(고속도 ... ...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변형 프리온을 조사한 결과 타입마다 구조와 조성이 다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매년
100
만 명당 한두 명이 걸리는 sCJD는 정상 단백질 가운데 몇개가 우연히 변형돼 발병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음료수 캔을 던지면 대부분은 옆으로 눕지만 어쩌다 한 번은 똑바로 서는 것과 같은 이치다. 이렇게 정상 ... ...
NASA 우주비행사가 찍은 최고의 지구사진 10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쉽게 갈 수 없는 섬이라 더욱 아름다워 보인다.사우디아라비아의 화산 지구. 남북으로 약
100
km에 이르는 분화구들이 500만 년 동안 폭발을 반복하며 지금의 화산지대를 형성했다. 가장 최근의 화산폭발은 600년에서 700년 사이에 일어났다. 남아 있는 응회암을 보면 화산 활동이 있었던 시기에는 이 ... ...
걸리버 여행기 과학으로 들여다보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깨달음을 얻고 일반 독자를 위해 이 책을 썼다. 눈에 보이지도 않는 작은 박테리아에서
100
m가 넘게 자라는 세쿼이아에 이르기까지 천차만별의 크기인 지구상 생명체들은 어떻게 오늘날의 모습을 지니게 됐을까.저자는 먼저 ‘걸리버 여행기’의 삽화처럼 전체적인 모습은 그대로 유지한 채 크기만 ... ...
조류인플루엔자 10문10답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수용체에 달라붙어야 한다. 충북대 수의대 모인필 교수는 “조류의 분변가루 크기가
100
μm가 될 수준으로 마르면 바이러스는 이미 모두 죽어버릴 것”이며 “사람의 AI 수용체에 다량의 AI바이러스가 동시에 붙는 일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말했다.5 닭고기와 달걀을 먹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 ...
치매 해결의 열쇠 뇌혈관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말했다. 뇌신경세포 운명은 혈관이 좌우김 교수는 뇌혈관의 중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100
년 전에 그려진 한국화 한 폭을 꺼내들었다. 그림은 숭례문의 옛 모습이었다. 성곽 한 가운데 큰 숭례문이 있고 양 옆을 높은 벽이 둘러싸고 있다. 그는 성곽 주변의 생활모습에서 뇌혈관의 역할을 유추할 수 ... ...
유럽, 우주화물선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작용시키면 생성되는 화합물 1,3-디페닐트리아젠이라고도 한다녹는점 99~
100
℃의 담황색 결정으로 산에 의해 전위하여 4-아미노아조벤젠이 생성된다녹는점 이상으로 급속히 가열하면 폭발한다고무가 황제·중합개시제(重合開始劑)로 사용한다디아조기(N2=)를 가진 가장 간단한 화합물 결정을 얻는 ... ...
우주여행 꿈꾸는 사람들의 무한경쟁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한 일등공신이었다. 하지만 케로신을 사용하는 액체로켓은 엔진 한 대를 만드는데 보통
100
억 원이 넘는 비용이 드는데다가 한번 사용한 로켓은 다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미국의 항공우주시장에서는 액체로켓의 단점을 보완할 차세대 메탄로켓 개발이 화두로 등장했다.그동안 ... ...
5문 5답으로 푸는 전자여권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읽어오는 데 시간이 걸린다. 아직까지는 판독기가 전자여권을 읽는 속도가 초당
100
kb로 다소 느리기 때문에 전자여권으로 신원을 확인하는 데 약 10초가 걸린다. 현재 판독기의 속도를 높이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한편 여권에 전자칩을 심었다고 해서 무조건 전자여권으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 ...
이전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