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서기
저널리스트
사무원
연예기자
연예
필자
뉴스
"
기자
"(으)로 총 45,76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천년 전 초강력 태양폭풍, 나무 나이테에 흔적 남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21
2012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 태양역학관측소(SDO)에서 촬영한 태양 플레어(flare). 플레어는 태양 표면에서 엄청난 양의 고에너지 입자와 빛이 뿜어져 나오는 폭발 현상을 말한다. 주로 태양 흑점에서 발생한다. NASA 제공 과학자들이 기원전에 있었던 초강력 태양 폭풍의 정확한 시기를 오래된 식물의 ... ...
정부 "의료계와 대화 포기 안해…섬 공보의 차출은 중단"
동아사이언스
l
2024.11.21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이 2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정부는 의료계와 소통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비상진료체계 유지 명목으로 섬 등 의료 취약지에 근무하는 공중보건의사(공보의)를 차 ... ...
시력교정 수술도 '개인맞춤형'으로…알콘 '퍼스널 아이즈' 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11.21
21일 밝혔다. 최준호 한국알콘 서지컬사업부 총괄은 이날 서울 중구 프라자호텔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고유한 광학 시스템과 눈의 구조를 고려해 개개인 눈에 꼭 맞는 시력교정이 가능하다"고 소개했다. 퍼스널 아이즈는 고에너지 자외선을 생성하는 엑시머 레이저를 사용한다. ... ...
과학
기자
협 '과학언론 40년, 과학이슈 60선' 발간
동아사이언스
l
2024.11.21
위한 일종의 보고서”라며 “많은 회원
기자
가 적극적으로 집필에 참여해 우리 과학
기자
들의 단합력과 집단지성이 집약된 사료이기 때문에 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40년사는 오는 29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개최하는 ‘2024 과학언론의 밤’에서 출판기념회를 통해 공개된다. 언론사, 정부 부처, ... ...
"내 것이 네 것"…친구끼리도 장내 미생물 공유
동아사이언스
l
2024.11.21
가까운 사람들은 장내 미생물을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oran13/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가깝게 어울리는 사람들은 장내 미생물 군집의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내 미생물 군집 중에는 고혈압, 우울증 등 질환과 연관성을 보이는 종류들이 있다. 이번 연구는 유해한 미생물 군집 또한 가 ... ...
[인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4.11.21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원장 박찬수 ...
하폐수 발생한 곳에서 바로 방류하는 처리 장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21
일반적인 하·폐수 처리장의 모습.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이 수중 유기물을 빠르게 분해하고 방류 수준까지 처리할 수 있는 하·폐수 처리 장치를 개발했다. 대규모 처리장으로 이송할 필요 없이 발생 현장에서 곧바로 처리할 수 있어 하·폐수 관리 효율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과학기 ... ...
신의료기기 시장 진입 490일→140일로 단축
동아사이언스
l
2024.11.21
한덕수 국무총리가 2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새로운 의료기기가 재빨리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정부는 신의료기기 시장 진입 기간을 최대 140일 이내로 단축하겠다고 밝혔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 ... ...
친환경 청록수소 상용화 앞당길 신개념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팀이 니켈(Ni)-코발트(Co) 합성 촉매로 메탄 열분해 반응을 실험하고 있다. 에너지연 제공 메탄(CH4) 같은 탄화수소를 분해해 수소와 고체 탄소를 생산하는 '청록수소'는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어 청정수소 생산 기술로 여겨진다. 국내 연구팀이 청록수소 생산성을 기존 공정 ... ...
그린수소·배터리 신소재, 빠르게 찾아내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24.11.21
왼쪽부터 정인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선임연구원, 오세은 KAIST 기계공학과 박사과정생, 이강택 교수. KA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전극·촉매 신소재를 효율적으로 설계하고 평가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 그린수소 같은 청정에너지의 전환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
이전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