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1,111건 검색되었습니다.
맛있는 세계 면류 총집합
과학동아
l
200909
쫄깃하다.스파게티 면의 쫄깃함은
우리
나라 면의 쫄깃함과는 차이가 있다.
우리
나라 사람들은 전체적으로 부드러우면서도 쫄깃한 식감을 좋아하지만, 이탈리아인들은 면의 가운데 부분인 심은 툭 하고 끊어지지만 씹을수록 쫀득한 느낌이 살아 있게 삶은 면을 ‘알덴테(al dente)’라고 해서 최고로 ... ...
“사슴벌레 기르는 SW로 아프리카 굶주림 해결”
과학동아
l
200909
강한 햇볕이 비치면 그늘로 이동하고, 습기가 많으면 마른 땅으로 기어갈 수 있지만
우리
에 갇혀서는 그럴 수 없기 때문이다. 사육 장비의 환경을 사슴벌레가 좋아할 수 있도록 수시로 관리하면 되지만 그런 사육 장비는 대개 조작법이 복잡할 수밖에 없다. 기술에 관한 지식이 없는 평범한 ... ...
얼굴 없는 범인 잡는 심리수사기법
과학동아
l
200909
프로파일링을 하는 권일용 경위다. 그는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초까지
우리
나라를 공포에 빠트렸던‘화성연쇄살인사건’ 수사가 실패한 일을 교훈 삼아 홀로 범죄심리학 책을 읽고 미국 FBI의 프로파일링 훈련교본을 공부했다.그는 두 번 다시 화성 연쇄살인사건 같은살인마의 광란을 방관하지 ... ...
절약의 고수되기
수학동아
l
200909
수학으로 가득 차 있어요.
우리
가 알든 알지 못하든 간에 말이지요.수학은 언제나 세상을 최고, 최적의 모습으로 이끌어 가요.수학으로 생각하면 여러분도 절약 고수가 될 수 있어요.상자에 물건을 꽉 채우는 방법에서 더 큰 과일을 고르는 비법까지수학동아가 공개하는 생활 속 수학의 원리를 함께 ... ...
0의 발견 숫자 가문의 영광
수학동아
l
200909
락사스6아유타스6사하스라9시아타7다샨6’이라고 읽었다. ‘36억 9466만 6976’이라고 읽는
우리
나라 방법보다 훨씬 복잡하다. 자릿값 기수법으로 이 수를 읽으려면 결국 0처럼 빈자리를 나타내는 말이 자연스럽게 필요했을 것이다.기호 ‘0’은 어디에서 처음 발견됐을까?인도보다 더 빨리 ‘0’을 ... ...
수학으로 하늘의 뜻을 알다
수학동아
l
200909
고대 바빌로니아의 사례로 알 수 있듯이 수학이 발달한 곳에서 천문학도 함께 발달했다.
우리
조상들도 뛰어난 수학 실력을 이용해 칠정산처럼 믿을 만한역법을 만들어 쓸 수 있었다. 이제 앞으로는 일식이나 월식과 같은 천문 현상을 관찰할 때도 신비로운 우주에 숨어 있는 명쾌한 수학의 원리를 ... ...
3. 오늘 바로 절약의 고수되기
수학동아
l
200909
원의 반지름이 줄어들지요. 즉 콘의 높이는 반지름과 같은 비율로 줄어든답니다.
우리
가 궁금한 콘의 양(부피)은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해요. 이 사실을 이용해 콘의 부피를 계산해 보면 콘의 높이가 약 16cm(15.874cm)일 때 콘의 양은 절반으로 줄어 버려요. 겨우 4cm를 먹은 셈인데 벌써 반을 먹은 거라니. ... ...
수학이 즐거워지는 마법퍼즐
수학동아
l
200909
그 곳은 종이와 연필 없이 머리가 아닌 몸으로 수학을 직접 느끼고 즐길 수 있어요.
우리
아이들도 놀면서 자연스레 수학과 친해질 수 있도록 수학놀이터를 만들어 주고 싶네요. 제가 가지고 있는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다른 수학 선생님과 힘을 모아 하루 빨리 수학박물관을 만들어 ...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0909
여기에는 '진법'이라는 비밀이 숨어 있습니다. 진법은 수를 표시하는 방법의 일종이지요.
우리
는 보통 0부터 9까지 10개의 숫자를 이용하는 10진법을 쓰고 있습니다. 진법을 다르게 하면 앨리스의 구구단도 맞는 게 된답니다. 앨리스가 말한 '4 곱하기 5는 12'에서 12를 18진법이라고 생각하고 10진법으로 ... ...
한국 과학, 아프리카에 희망을 심다
과학동아
l
200909
품종의 닭을 개발하고 있다. 아프리카는 여전히 미지의 땅이다. 그만큼 가능성이 크다.
우리
의 과학기술을 아프리카에 전수해주고 새로운 연구영역 확보, 농업과 축산업 해외진출, 다양한 가축 유전자원 개척 같은 이득을 얻을 수 있다면 서로 윈윈하는 셈이다. 아프리카로 눈을 돌린 과학자들이 ... ...
이전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