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d라이브러리
"
동물
"(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대장암에 걸릴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바르토셕 교수는 “잡식
동물
인 인간은 환경에 잘 적응하려면 독을 피해야 할 뿐 아니라 건강한 음식을 먹어야 한다”며 쓴맛에 대한 민감도가 다양한 현상을 설명했다. 패스트푸드가 미각 퇴화시켜그러나 유전자가 미각의 모든 것을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진행되고 있다. 연구단 역시 하나로 원자로 주변에 BNCT 실험장치를 설치하고 현재
동물
을 대상으로 임상실험 중이다.하나로는 방사성동위원소를 제조하는 생산공장 역할도 해왔다. 원소는 순수 자연 상태에서 92종에 불과하지만 하나의 원자번호안엔 무게가 다른 여러개의 다른 원소가 존재한다 ... ...
엘리베이터에서 방귀 뀌면 유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사막에서 낙타오줌으로 몰래 생수를 만들다 고소를 당한다. 결과는? 놀랍게도 무죄다.
동물
의 오줌은 95%가 물이기 때문에 노폐물을 제거하면 세상에서 가장 깨끗한 물을 얻을 수 있다는 이유다. 이 회사는 법정에서 오줌으로 생수를 만드는 비법을 공개하고 무죄 판결을 받는다. 다만 ‘낙타오줌으로 ... ...
매의 눈으로 세상을 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느끼기 위해 총이나 덫을 이용해 대량으로 살육을 하는 사람들 때문에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
이 많은 것이지요. 하지만 매사냥은 그런 살육이 아니라 생태계의 법칙을 그대로 존중하며 하는 사냥이라고 박용순 응사는 강조해서 말합니다. 그리고 사냥을 하던 매는 7∼8세가 되면 자연으로 날려 ... ...
매야, 다시 높이 날자꾸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약육강식의 냉철한 법칙이 펼쳐지는 야생의 한 순간이지요. 그런데 TV 프로그램‘
동물
의 왕국’에 나오는 장면이냐고요? 아니랍니다. 바로 우리나라에서 지금도 이뤄지고 있는 매사냥의 가장 멋진 순간이랍니다.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 온 매사냥혹시 매사냥을‘매를 사냥하는 행동’으로 이해하는 ... ...
포항공대, 결핵 DNA 백신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치료 후 재감염을 막는 길을 연 최초의 성과”라고 평가했다.한편 성 교수는 “
동물
실험 결과가 반드시 사람에게도 나타나는 것은 아니므로 철저한 임상연구가 있어야한다”고 조심스럽게 말했다 ... ...
연세대, 선충 수명 10배 늘려주는 물질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연구진이
동물
에서 수명을 연장시키는 물질을 발견했다.연세대 생화학과 백융기 교수는 2월 2일 “선충에서 수명을 최대 10배까지 연장시키는 노화 조절 물질 ‘다우몬’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물질을 분리 및 정제해 구조까지 규명했다. 백 교수와 함께 연세대 화학과 ... ...
면역 높여 암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국제 학술지 ‘이뮤니티’에 발표됐다.최 박사팀은 ‘VDUP1’이란 유전자를 발견한 후
동물
실험을 통해 이 유전자가 줄기세포에서 NK세포가 생성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유전자를 갖지 않은 생쥐는 정상 생쥐에 비해 NK세포의 수가 70% 이상 적고 그 기능이 떨어져 있으며 ... ...
지자기 북극과 남극 바뀔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이론적으로 지자기 역전은 지구에 평지풍파를 일으킬 수 있다. 우선 육해공을 막론하고
동물
들이 대혼란에 빠진다. 붉은 바다거북이는 대서양을 따라 1만2800km의 긴 여정을 떠날 때 지자기를 나침반으로 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어와 고래, 꿀벌과 두더지도 지자기로 방향을 확인한다. 비둘기의 ... ...
음식물쓰레기도 돈 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처리하고 이에 따른 2차 오염 가능성을 없애는 것도 중요하다.음식물쓰레기를
동물
사료로 재활용하려면 무엇보다 분리수거가 필수다. 연초에 거의 현실성이 없다시피 한 분류기준을 제시해 혼선을 겪은 환경부는 현재 분류기준을 4개 항목으로 단순화시켰다.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하는 것은 ... ...
이전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