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02 꿈의 에너지 가로막는 난적을 공략하라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첨단 기술이 개발돼 적용되고 있다. 이는 주로 전자를 가열해 플라스마의 전류를 한쪽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기술로 핵융합에 필요한 플라스마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이온 가열 방법과는 다르다. 물론 아직 핵융합로의 연속 운전이 가능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기 때문에 토카막의 큰 단점이다.이런 ... ...
- 한민족의 오랜 벗 한국개의 기원과학동아 l2001년 12호
- 등 한국·일본·중국개들은 서로 혈통적으로 분리됐다. 여기에서 한국개는 비교적 비슷한 방향성과 수치를 가지는 등 유전적으로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특기할 내용은 우리 토종개들이 북방견인 사할린개와 에스키모개들과 동일 그룹으로 묶인다는 것이다. 한편 일본개의 경우 다양한 ... ...
- 최고의 정보고속도로 펼치는 통신망 구현과학동아 l2001년 11호
- 1Mega=106), 상향방향으로 1백55Mbps 이상의데이터속도를 제공할 수 있는 파장분할다중방식 양방향 광통신망을 시연한 바 있다.광통신연구실에는 현재 연구교수 1명, 박사후 연구원 1명, 박사과정 8명, 석사과정 5명의 연구원이 멀티미디어 시대, 최고의 정보고속도로를 위한 광통신시스템을 구축하기 ... ...
- 하늘 창문으로 바라본 늦가을 별자리과학동아 l2001년 11호
- 1백10광년 거리에 있는 3.6등성 옆에서 4.2등성이 다정히 빛나는데, 실제로 두 별은 같은 방향에만 있을 뿐 멀리 떨어져 있다. 단지 우리가 보기에 짝별처럼 보인다.알게디 바로 아래의 베타(β)별 다비도 짝별로 3등성과 이보다 훨씬 어두운 6등성이 나란히 있다. 쌍안경으로 알게디와 함께 한 시야에 ...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물리학 - 제5의 물질 보즈-아인슈타인 응집상태과학동아 l2001년 11호
- 결합해 BEC를 얻는데 성공했다.우선 고진공 속에서 움직이는 기체 원자에 움직임과 반대방향으로 빛(레이저)을 쏘면 빛을 흡수한 원자는 속도가 점차 줄어 수십 μK(10-6K) 정도로 냉각되고 자기장이 걸린 포획장치에 포획된다. 밀집된 원자들은 열적 평형상태에 놓이는데, 이 가운데 가장 에너지가 높은 ... ...
- 건축문화유산의 보존과 복원과학동아 l2001년 11호
- 보존과 복원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 진행된 주요 사례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짚어보자.우리나라 유형문화재 가운데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건축문화재이다. 이러한 건축문화재는 탑을 제외하면 동아시아 건축의 특성상 대부분 목조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화재나 비, 바람에 ... ...
- 태양계는 우리은하 어디에 있을까?과학동아 l2001년 11호
-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름철 별자리인 궁수자리 방향이 바로 우리은하의 중심 방향과 일치한다. 즉 우리은하의 볼록한 중심 모습이 투영되는 여름철 은하수는 굵고 휘황찬란하다. 따라서 문제(1)의 정답은 ○가 되겠다.문제(2)도 논란의 여지가 많다. 이 문제는 단지 은하수는 한여름과 한겨울 ... ...
- 생생 화질, 입체 음향 디지털방송과학동아 l2001년 11호
- 보내주는 데이터를 받아보는 단방향성 데이터방송이 주가 될 것이지만, 2-3년 후에는 양방향성 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좀더 발전된 수준의 데이터방송 서비스가 이뤄질 것이다. 이를 위해 앞으로 나올 디지털 TV나 디지털 셋탑 박스의 뒷면에는 전화 모뎀 단자와 같은 통신 포트가 마련될 것이다 ... ...
- 하늘과 만나는 지혜의 경계면 지붕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지구 북반구라고 비유한다면 대략적으로 북위 40。 이하 적도까지의 부분에서는 위도 방향으로 인장력이 생긴다. 사발을 뒤집어놓고 밟으면 아가리 부분이 찢어지는 이치다.현대 같으면 강한 철재로 밑둥, 즉 적도 부분을 두르면 되겠지만(실내체육관 같은 곳에 쓰는 이것을 링빔(ring beam)이라 한다) ... ...
- 대규모 유성비 11월 19일 새벽에 쏟아진다과학동아 l2001년 11호
- 놓치면 앞으로 1백년 이후에나 대규모 유성우를 기대할 수 있다.사자자리 유성우는 어느 방향에서 볼 수 있을까? 흔히 사자자리 부근에 집중돼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유성은 전하늘을 뒤덮듯이 떨어진다. 그래도 사자자리 유성우의 복사점(유성우가 사방으로 ... ...
이전4254264274284294304314324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