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동차
차량
탈것
카
승용차
수레
티
d라이브러리
"
차
"(으)로 총 5,43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미·소 탐험 경쟁서 미국 주도로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활용을 들 수 있다. 1967년 아폴로 4호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새턴 5형 로켓은 그 뒤 여러
차
례의 성공적인 비행을 통해 달 탐험에 충분히 이용될 수 있는 훌륭한 초대형 로켓임이 증명됐다.한편 러시아의 소유즈계획도 1967년 소유즈 1호가 발사됨으로써 시작된다. 그런데 소유즈 1호는 발사한 지 ... ...
원자로 기술자립의 표본 한국형 경수로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가동을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자연적 물리현상이란 중력이나 자기력 또는 밀도의
차
이 등으로 어떠한 상황에서도 자연적으로 냉각되고 정지할 수 밖에 없게끔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이 방법은 2천년초에 가서야 실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북한이 한국형원자로를 선택하는데 주저하는 이유는 과거 ... ...
(1) 생체합성의 사슬 아미노산 세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구조를 갖게 된다(그림 4).네번째의 폴리펩티드가 만드는 단백질 구조는 단백질의 4
차
구조라고 한다. 이는 이미 완성된 입체구조의 단백질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진 더 복잡한 모양의 단백질로서 생체에서 기능 단백질로 역할하기 위해 한개의 큰 구조를 갖게 된 경우다. 유전암호 전달하는 ... ...
달착륙 4반세기 새로운 도전 NASA 우주센터를 가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우주비행사가 되는 꿈을 실천에 옮기고 있었다.스페이스포트는 일반인 관람객들로 가득
차
있었다. 달 착륙의 영광을 되새기기 위해 미국 전역에서 몰려온 이들은 "글로리! 글로리!"를 외치며 언제라도 다시 시작만 하면 발은 물론이고 화성이라도 갈 수 있을 것같은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었다. ... ...
(4) 의약·산업분야 대변혁 예고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많은 의견을 교환 했다. 그런데 유럽과 미국에서 온 연구자들 사이에 꽤 큰 의견
차
가 있었다.유럽 연구자들은 하나같이 단백질은 단백질마다 독특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공통점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견인데 비해, 미국 연구자들은 단백질마다 독특한 성질은 있지만 공통점도 있다는 주장이었다 ... ...
현대과학이 밝혀낸 5천년전 알프스 '얼음인간'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추위로부터 보호했다. 이 신발 안쪽에는 바깥의 냉기를
차
단하기 위한 마른 풀이 가득
차
있었다.의상을 세밀하게 조사해 보면 분명히 자급 자족했을 '얼음 인간'이 가지고 있던 여러가지 기술들이 드러난다. 특히 그는 동물가죽들을 다루고 그것을 무두질하는데 능숙했다. 연구자들은 옷의 재질이 ... ...
술 마신 여성, 혈액중 남성호르몬 증가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있다. 테스토스테론은 원래 남성호르몬으로 고환에서 만들어져 목소리를 변화시키는 2
차
성징을 일으키는 물질이다.'네이처'지에 따르면 일본의 알코올 의학자인 후쿠나가 박사와 핀랜드의 에릭손 박사는 여성 체중 1kg당 34g의 알코올을 투여하고 혈액중의 테스토스테론의 농도 변화를 살폈다. ... ...
(2) 유전공학 이용 생체설계 꿈꾼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헤모글로빈 단백질, 근육 단백질, 달걀 단백질 등 단백질마다 제각기 독특한 고
차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마디로 단백질의 모습은 자연이 창조해낸 섬세한 예술작품 바로 그것이다. 어떻게 이렇게 복잡하고 저마다 특유한 살아있는 분자 구조가 만들어졌을까. 대답은 간단하다. 살아있는 ... ...
놀라운 식물의 방어전략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길러진 말벌은 테르페노이즈에 의해 잘 유인되지 않는다는 점이다.이들과 야생 말벌과의
차
이는 무엇일까? 야생에서 풀쐐기로부터 새로 태어난 말벌은 숙주가 씹어먹을 때 방출되는 테르페노이즈의 냄새를 즉각 맡을 수 있다. 그래서 말벌은 그 화학물질과 풀쐐기를 관련시키고 풀쐐기를 발견하기 ... ...
3 인간 오감, 컴퓨터로 재현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각종 인터페이스를 부착함으로 가능해진다. 하지만 후각과 미각은 생리학적인 연구조
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어서 사정이 사뭇 다르다. 후각과 미각은 코와 입이라는 '수신기'를 통해 매우 복잡한 시그널을 뇌에 전달한다.그러나 첨단을 자랑하는 현재의 기술도 뇌와 같은 후각, 미각 ... ...
이전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