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
제로
d라이브러리
"
0
"(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미있는 여러가지 차원이야기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차원이기 때문에 길이는 갖지 못한다. 길이가
0
이 되는 점들의 집합체이므로 언뜻 보기엔
0
차원으로 생각되는데 흥미롭게도 소수의 차원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곰곰히 생각해보면 칸토어 집합과 단순한 점들의 집합체는 서로 다를 것이라는 것은 당연하다.코흐곡선 (Koch curve)19
0
4년 헬게 폰 코흐에 ... ...
Ⅲ. 에너지와 정보 저장의 보고 박막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회로적으로 보상하는 방법을 취한다. 즉 회로 내에 두 곳의 정보 저장소를 만들어서 1 과
0
을 표시하는 것이다. 회로 내에 갇힌 정보는 다른 신호가 들어올 때까지는 정보를 계속 유지하기 때문에 전원이 없어도 정보의 저장이 가능하다. 단지 D램 보다 트랜지스터의 수가 세 개 더 많기 때문에 공정이 ... ...
Y2K 비상계엄 시나리오 5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2주일 분의 비상식량을 미리 비축하라고 당부하고 있다. 미국 적십자사도 국민들에게 2
000
년 1월에 있을지 모를 비상사태에 대해 준비할 사항을 공지하고 있다. 우리 정부 역시 Y2K를 해결할 수 없는 영역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국민에게 알려야 하지 않을까 ... ...
재미있는 수학의 패러독스들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frac{2}{3}$가 된다.왜냐하면,P(monB)=∑P(X)P(monB|X),X=A, B, C=$\frac{1}{3}$ X $\frac{1}{2}$+ $\frac{1}{3}$ X
0
+ $\frac{1}{3}$ X 1 = $\frac{1}{2}$결과적으로 처음 선택한 문보다는 몬티가 제외시키고 난 나머지 문을 선택하는게 더 유리하다. 만약 아 ...
열역학의 세계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흐트러져 있으면 엔트로피가 크다. 모든 것이 완벽하게 정돈돼 있으면 엔트로피가
0
이 된다는 것이 열역학 제3법칙이다. 하지만 이는 열역학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우주에서 일어나는 모든 자연적인 변화는 우주를 더욱 무질서하게 만들어서 엔트로피를 ... ...
집안에서 고드름과 종유석 만들기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과냉각이란 쉽게 말해 얼어야 할 때 얼지 않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물은
0
℃이하에서는 얼음으로 존재하는데 조건에 따라서는 액체상태로도 있을 수 있다. 이를 과냉각 물방울이라고 한다. 티오황산 나트륨은 이러한 과냉각이 물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일어난다. 그러므로 상온에서 쉽게 ... ...
Ⅳ. 미래의 문을 여는 바이오 칩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한다. 생체분자막의 두께는 구성 분자의 크기에 비례한다. 그 범위는 수 나노미터(1nm=1
0
억분의 1m)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흔히 생체분자박막이라고도 한다. 하지만 기능성 분자를 2차원적으로 배열시킨다고 해서 생체막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기능성을 갖는 특정 분자에 방향성을 ... ...
밀레니엄 버그 ABC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밀레니엄 버그가 세상을 무너뜨릴 기세지만, 사실 많은 사람들은 그것이 뭔지도 모른다. 그러기에 컴퓨터를 전혀 모르는 컴맹에게는 밀레니엄 ... 않는 저용량)뿐인데, 말이 업그레이드이지 거의 모든 부품을 새로 사야 한다. 아쉽지만 2
000
년이 되면 이런 컴퓨터들은 자연도태될 수밖에 없다 ... ...
하늘에서 가장 긴 별자리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머리로 그려지는 알파별은 4등성으로 어둡지만 사다리꼴을 이루는 다른 네 별은 2.6-3.
0
등급으로 스피카가 나타날 때까지 밝은 별이 없는 초봄에 볼 수 있는 밝은 별들이다.컵자리는 까마귀자리 오른쪽에 있는 보다 어두운 별자리로, 까마귀에게 물을 부어줄 듯이 왼쪽으로 기운 거대한 컵모양으로 ... ...
Ⅱ. 분자세계의 좁은문 분리막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방법이 발견된 지 1백년이 넘었다. 하지만 실제로 적용된 것은 195
0
년대부터 이므로 4
0
년 정도밖에 되지 않는 신기술이다. 그렇다면 분리막 연구의 출발점은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바로 소금물이라는 이유만으로 지표상의 2/3나 덮고 있으면서 활용되지 못한 바닷물을 이용하려고 하면서부터다. 또 ... ...
이전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