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2,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 (조범동 VM 대표)과학동아 l201311
- 별도의 인생 목표가 있느냐는 질문에 조 대표는 “개인적인 목표와 회사의 목표를 왜 구분해야 하느냐”고 반문했다. 어렸을 때부터 꿈꿔왔던 것을 이루기 위해 창업한 것이기 때문에 회사의 목표가 곧 개인의 목표라는 것이다. Visionary Mobility라는 회사 이름부터가 이미 꿈을 담은 이름이었다. ... ...
- 남들이 하지 않은 길을 찾아 희열 느낀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과학동아 l201311
- 앞으로는 여러 분야가 융합돼 시너지를 내는 분야들이 중요해지고 단과대나 학과 구분도 없어질걸요.” ‘우리나라 나노 과학의 대표주자가 누군가’라는 질문에 많은 사람들은 현택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를 꼽는다. 실제로 현 교수의 논문은 과학논문인용색인(SCI)을 발행하는 미 ... ...
- 보석 감정 현장 탐방 진짜 다이아몬드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311
- 이때 산화납이 금속원소이기 때문에 유리보다 크리스탈이 훨씬 무겁고, 그 무게 차이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보석은 여자들만의 관심사인 줄 알았는데, 진위여부를 감정할 때 수학과 과학을 이용한다니 놀랍고 흥미로웠다.김선희 기자의 첨삭 포인트두 기자 모두 취재한 내용을 정확하고 ...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과학동아 l201311
- 않게 알 수 있다. 침팬지 정도가 되면 입 모양으로 화난 모습과 즐거워하는 모습을 구분할 수 있다. 입이 이처럼 다양한 표정을 나타내는 건 얼굴 피부 바로 밑에 있는 표정근육 덕분이다. 이런 ‘피부밑근육’은 동물에게는 몸 전체에 있지만, 사람에게는 거의 유일하게 얼굴에만 남아 있다. ... ...
- 아이손이 다가온다과학동아 l201311
- 궤도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한다. 단주기 혜성을 목성형 혜성과 핼리형 혜성으로 구분해 공전주기가 20년보다 짧으면 목성형 혜성, 공전주기가 20년보다 길고 200년보다 짧으면 핼리형 혜성이라 한다. 단주기 혜성의 공전궤도면은 다른행성들의 공전궤도면과 거의 비슷하다. 반면 장주기 혜성은 20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11
- 수상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에 따라 노벨 화학상과 노벨 생리의학상의 구분 및 경계가 점점 옅어지고 있다. 두 분야의 최근 수상자 중 화학, 물리, 의학, 재료공학 등 다양한 학문을 결합한 연구로 성과를 거둔 사람들이 많다는 게 그 증거다. 심지어 두 분야의 수상자를 선정하기 전 ... ...
- [hot science] 지구의 중력에 감사하라!과학동아 l201311
- 중심을 향해 끌어당기는 힘인 중력 덕분입니다. 이 중력 덕분에 위아래, 앞뒤, 좌우가 구분이 되고 바닥에서 뛰어올라도 다시 내려올 수 있지요. 우주에 놓인 우주인은 혼자서는 아무것도 할 수가 없습니다. 바닥이 없기 때문에 박차고 올라갈 수도 없고, 공기가 없기 때문에 마치 수영을 하듯이 ... ...
- 70억 인류 정말 한가족일까과학동아 l201311
-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둘을 다른 종으로 구분하는 게 과연 옳을까요.인류는 정말 아프리카에서 홀로 기원했을까스트링거 박사와 월포프 교수의 논쟁은 끝났지만, 그 뿌리는 아직 완전히 끝난 것은 아닙니다. 단순히 누구를 인류에서 배제하느냐 마냐의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11
- 같은 고대 그리스 학자들도 연구했던 학문이다. 먹어도 되는 생물과 못 먹는 생물을 구분해야 했던 선사시대 사람들도 경험으로 터득하고 있는 분야기도 하다. 하지만 첨단 생명과학이 뜨면서 인기가 떨어진 분야기도 하다. “분류학은 국내에서 대학원 과정을 하기도 힘들었어요. 연구하는 분이 ...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11
- 문과와 이과의 의미가 많이 사라지고 있어요. 미국에서 학교를 다니면서 그런 구분이 의미가 없다는 것을 느꼈지요. 심리학 전공자가 프로그래밍을 잘 하고 수학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서 ‘왜 그러냐’고 물어보면 ‘왜 그러면 안 되냐’는 답이 돌아왔지요. 반대로 공학을 하는 사람인데 디자인 ...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