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살
세전
d라이브러리
"
가는대
"(으)로 총 1,011건 검색되었습니다.
BT+IT+NT 삼박자 갖춘 '똑똑한 폰'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지난 4월 인기 댄스그룹인 거북이의 터틀맨(본명 임성훈, 38세)이 돌연 세상을 떠났다. 사망 원인은 심근경색. 관상동맥 안쪽 벽에 지방이 쌓여 심장으로 가는 혈관을 막았고 결국 심장근육세포가 파괴됐다.심장근육세포가 죽으면 가슴이 찢어지는 듯 통증이 심하다. 흉통이 생긴 뒤 얼마나 빨리 병 ... ...
'궁극의 회로선폭' 0.3nm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미래에는 속도가 모든 것을 좌우할 것이다. 한때 ‘미래’라고 불리던 일들이 ‘과거’로 기록되는 속도가 지금처럼 빨랐던 적은 없다. 이제 역사의 속도는 너무 빨라 우리가 위기를 분석하고 기회를 잡기도 전에 지나가 버린다.”미국의 저명한 미래학자 패트릭 딕슨은 2007년 펴낸 ‘퓨처와이즈 ... ...
민영 의료보험의 무서운 진실 식코 sicko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메디컬 평점 ★★★★★ 민영 의료보험의 폐해를 파헤친 영화판 PD수첩영화 줄거리애덤은 의료보험 혜택을 받지 못하는 5000만 명의 미국인 중 한 명이다. 애덤은 허벅지의 상처를 가정용 바늘로 직접 꿰맨다. 그는 왜 병원에 가지 않는 것일까?릭은 집에서 전기톱을 다루다가 손가락 2개가 절단되는 ... ...
색소폰과 클라리넷 부는 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공학자가 색소폰을 분다고?’관악산 자락에 있는 뉴미디어연구소를 찾아가자 흔한 공대 분위기와 사뭇 다른 광경이 펼쳐졌다. 한쪽에 오선지 악보와 황금빛 색소폰이 눈에 띄는 것이 아닌가.“클래식에서 가요, 팝송, 재즈, 그리고 교회음악까지 어떤 종류의 음악도 소화해낼 수 있는 악기가 ... ...
망태버섯의 화려한 외출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제주도 사람들이 좋아하는 식용버섯 중에 말똥버섯이라는 게 있다. 이 버섯은 이름처럼 섬에 많이 사는 말이 싸놓은 똥에서 자란다. 말똥버섯(큰갓버섯)에서 떨어져 나온 포자(씨앗)는 바람에 실려 날아다니다 풀잎 위에 떨어지고 소나 말이 이 풀잎을 먹을 때 동물의 몸속으로 들어간다. 포자는 ... ...
추억의 히트곡 '연' 만든 생명과학자 조진원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안녕하세요. CBS ‘꿈과 음악 사이에’ 조진원입니다. 오늘의 신청곡은 경기도 고양시에 사는 오수정 씨(가명)가 보내오셨습니다. 1982년 6월 4일 조진원, 홍종임의 ‘사랑하는 사람아’를 꼭 틀어달라고 하셨군요. 소중한 연인에게 들려주고 싶다는 사연 함께 적어주셨습니다.”커다란 LP판이 춤추 ... ...
행복의 기술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이상하게도 불행에 대한 영화는 행복의 조건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행복에 관한 영화는 대부분 인간이 불행할 수밖에 없는 이유로 마침표를 찍는다. 그렇다면 행복이란 불행하지 않은 상태를 포괄하는 감정인가? 과연 행복이란 무엇일까?▒ 윌 스미스 주연의 영화 ‘행복을 찾아서’는 불행에 관한 ... ...
내 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두근두근, 우리 가족이 처음으로 일본 여행을 가는 비행기 안. 일본엔 어떤 재미있는 것들이 가득할까? 이런저런 생각을 하다 보니 금세 일본에 도착했어. 일본으로 들어가기 위한 입국심사. 여권을 보여 주고 왜 일본에 간 것인지 알려 주는 절차야. 혹시 범죄자나 불법으로 체류하려는 사람이 일본 ... ...
노벨문학상 수상자 암 치료한 차가버섯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 겨울 산을 오르다 보면 낙엽이 지고 하늘을 찌를 듯이 솟아 있는 아름드리나무 군락이 나타난다. 여름 산행에서는 나뭇잎이 우거져 아무리 찾으려 해도 꼭꼭 숨어 있던 버섯들이 서너 길이 넘는 나무둥치나 가지 위에 바가지를 엎어 놓은 듯, 쪽박을 붙여 놓은 듯 말간 하늘 아래 나타난다. 우산 ... ...
돌연변이 생쥐로 뇌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KIST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경과학센터▒ 1350 : 1.사람과 생쥐의 뇌 무게(g)를 비교한 값이다. 두 주먹을 합친 크기의 사람 뇌와 콩알만 한 생쥐 뇌를 놓고 보면 사람이 만물의 영장인 이유를 실감할 수 있다.“물론 사람과 생쥐의 뇌는 다른 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의외로 비슷한 부분도 많습니다.”한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