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뿔
모
모서리
귀퉁이
각도
호른
각성
d라이브러리
"
각
"(으)로 총 6,296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별기획] 시인을 꿈꾸던 고등학생 수학의 난제를 해결하다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따지는 문제다. ■평면 그래프를 활용하면 4색 정리 문제를 이해하는 데 편리하다.
각
나라를 점으로 표시하고 인접한 두 나라끼리 선을 긋는다. 이를 통해 지도마다 하나씩 그래프를 얻는다. 하나의 꼭짓점에 연결된 모든 꼭짓점을 다른 색으로 칠하는 데 4색이면 충분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론의 고전 문제, 그래프 색칠하기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칠하는 방법의 수를 나타낸 식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사
각
형 그래프 G를 하나 생
각
해 봅시다. 3가지 색을 써서 칠한다면 어떨까요? 꼭짓점 하나의 색을 정하고 나면 인접한 두 꼭짓점의 색이 같은 경우는 3×2×2=12 가지예요. 다른 경우는 3×2=6가지의 방법이 있으므로 18가지입니다. 이처럼 계속 ... ...
[킹앤포] 이론물리학과 현대수학의 만남 에드워드 위튼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함수를 도입해 어려움을 해결했어요. 디랙 방정식을 만족하는 함수는 시공간의 구조를
각
점에서 잘 ‘탐지’하고, 시공간의 경계에서 확인하려는 조건을 이끌어낼 수 있는 좋은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양의 에너지 정리를 간단하게 증명할 수 있었어요. 위튼 교수는 물리학에서 시공간의 휨, 즉 ... ...
[어덕행덕] 개미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이후로 개미에 관심을 두게 됐는데, 책에서 본 개미들이 일상 속에서 속속 드러났죠. 생
각
보다 우리 주변에는 개미가 많아요.”우리 주변에서 가장 손쉽게 찾아볼 수 있는 곤충이 바로 개미죠. 숲곰개미 님에게 이 점은 큰 매력이었습니다. 그는 “언제, 어느 나라, 어느 지역에 가든 개미를 만날 수 ... ...
달 토양에서 키운 첫 싹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때문이다. 가령 아폴로 11호가 착륙했던 장소는 유독 우주방사선 노출이 많은 지역이다.
각
식물을 키우는 데 쓰인 달 겉흙은 모두 1g 미만이었다. 한편 대조군으로는 지구의 화산재로 달 겉흙처럼 만든 모사 토양을 준비했다. 이 과정에서 연구팀은 달 겉흙이 물에 대한 반발(소수성)이 있다는 사실을 ... ...
논문 데이터로 보는 최신 연구 트렌드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대부분의 연구 분석에 이 데이터가 활용된다”고 말했습니다.라이덴대 클러스터는
각
논문의 인용 관계를 분석해 연구 분야를 분류해 놓은 데이터 세트입니다. 올해 라이덴대 연구팀은 총 5개의 대분야와 254개의 중분야(WOS 카테고리), 4159개의 소분야로 논문을 분류했습니다. 소분야 별로 2000년~202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눈 블록 위에서 살아남아라! 스플리프 게임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스플리프(spleef) 게임은 단순한 규칙과 넘치는 박진감으로 인기가 많죠. 게임에서
각
플레이어는 눈 블록 위에서 삽을 가지고 바닥을 없애 다른 플레이어를 떨어뜨려야 해요. 마지막까지 떨어지지 않고 살아남는 플레이어가 승리하지요. 그럼 스플리프 게임을 만들어 볼까요? 첫 번째 스플리프 ... ...
수콤달콤 연구소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7호
봄을 맞아 야외 봄 축제가 열렸어요. 수콤이 운영하는 ‘부채 만들기 체험 부스’에 달콤과 상콤이 찾아왔지요. 함께 부채를 만들면서 ‘
각
’과 ‘
각
도’에 대해 알 ... 보는 수학] 변 두 개와 꼭짓점 하나~
각
이 살아 있네!Part2. 수콤달콤 봄축제Part3 [놀이북] 부채 하나로
각
도가 자유자재 ... ...
수콤달콤 봄 축제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7호
무대에선 수콤의 노래 공연이 한창이에요. 의자에 앉아 공연을 감상하는 상콤도 보이네요. 달콤이 파는 아이스크림을 들고 축제를 둘러봐요. 곳곳에 숨은 여러 가지
각
을 찾아
각
도를 재 봐요. ...
미개방 동굴에서 박쥐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김선숙 연구원은 “국가 생물다양성은 지역에 있는 정보가 모여 시작된다. 따라서
각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먼저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도 지구사랑탐사대와 같은 시민과학자들이 더 늘어나면 좋겠다”고도 했다. 그는 “연구가 심화하려면 교차 검증과 토론이 있어야 하는데 박쥐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