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박스
케이스
상자
나무궤짝
프레스
press
box
d라이브러리
"
궤
"(으)로 총 480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성과의 충돌설로 세계의 관심 모은 슈메이커-레비 혜성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궤
도 예측 이론이 아직 완전히 확립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학자들에 따라 예상
궤
도의 계산간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밝혀 둔다.유멘스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혜성 슈메이커-레비는 현재 목성으로부터 약 5천만km 떨어져 있으며, 서서히 목성으로 다가가고 있다. 그리고 내년 ... ...
(1) 다목적 임무 수행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배치돼 있다. 이 시스템은 우주왕복선의 자세 제어에 사용되며 랑데부와 도킹 및
궤
도 변형 때 사용된다.우주왕복선의 자세한 구조는 다음페이지의 그림을 참조하기 바란다 ... ...
(2) 블랙홀·별들의 잔해가 어둠 속에 가득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있었던 것이다. 은하 외곽에 있는 별들은 정확히 뉴턴의 만유인력법칙에 따르는 공전
궤
도를 갖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 두번째 은하의 경우는 암흑물질이 존재하지 않고 있었으므로 뉴턴의 만유인력법칙이 정확히 맞았던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명백했다. 암흑물질을 가지고 있던 두개의 ... ...
3천개의 은하로 이루어진 처녀자리 초은하단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성도가 있어야 한다. 명왕성의
궤
도는 해왕성의
궤
도를 침범하고 있는데, 현재 해왕성
궤
도 안쪽에서 움직이고 있으므로 지금 상태로는 해왕성이 태양에서 가장 먼 천체가 된다.■ 새벽에 지는 목성봄철의 별자리에서 모든 별빛을 평정하며 영원히 지지 않을 것 같던 목성은 금성이 떠오르는 새벽에 ... ...
부란과 미르 앞세워 새 활로 찾는 옛소련 우주항공기술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정확성을 유지하며
궤
도비행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계기의 고장은 곧 우주정거장이
궤
도에서 이탈하는 것을 의미 한다. 다시 말해 우주정거장이 정거장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다는 것을 뜻한다.이럴 경우 우주정거장은 지구 대기권으로 추락하거나 지구를 벗어나 우주에서 떠돌아 다니는 운명을 ... ...
지각변동도 미리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간섭법의 2가지 방법이 있다. 직접법은 복수의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해 위성시간
궤
도요소 등의 항법정보를 해독함으로써 수신자의 절대위치를 직접 산출하게 된다. 수신기는 3개 이상의 GPS위성 항법신호를 수신해, 수신기에 내장된 간단한 수정시계에 의한 시간과 항법정보에서 얻어지는 ... ...
목성의 줄무늬와 대적반에 초점을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목성 정도의 크기가 될 것이다.■달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다달의
궤
도는 원이 아니라
궤
도 이심률이 0.0549인 타원이므로 지구까지의 거리는 항상 같지 않게 된다. 어떤 때의 달은 유난히 커 보이고 또 다른 때의 달은 이상히 작아보이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이 달의 보름달이 최접근(지구와의 거리 ... ...
6개의 별이 묶여 있는 카스토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어려운 행성이 있으니 그것이 바로 수성이다.태양계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수성은
궤
도 장반경이 약 0.387 AU정도 밖에 되지 않으므로 동방최대이각이나 서방최대이각일때도 태양과의 적경 차이가 2시간을 넘지 못한다. 그래서 수성은 동방최대이각일 때 해진 후 서쪽하늘에서 서방최대이각일 때 ... ...
지구외 또다른 생명체 존재 가능성 높다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펄사행성들도 태양계 행성들처럼 무거운 행성이 멀리서
궤
도 운동을 하는지,
궤
도가 원
궤
도에 가까운지, 혜성이 있는지 등의 연구도 가능할 것이다.PSR 1257+12 주위의 행성은 한가지 사실을 이미 알려주고 있다. 즉 천문학자들이 생각지도 못한 장소에서 행성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자연의 무한한 ... ...
스위프트-터털혜성 1백35년만에 지구 방문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좀더 상세한 사항을 들여다 보자. 91년과 92년의 유성우 관측 데이터와 스위프트-터털의
궤
도에서 구해지는 페르세우스 유성우의 극대 시각은 11.95일(세계시)로 우리나라 시각으로는 12일 08시 경이다. 이 무렵의 박명시각은 약 04시 정도이므로 극대시 보다 약 4시간 이전의 유성우 모습을 관측할 수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