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록빛
초록색
초록
풀빛
청색
푸르름
신선
d라이브러리
"
녹색
"(으)로 총 977건 검색되었습니다.
뛰어난 ‘사시’ 사냥꾼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사시’ 카멜레온은 가까이에서 들여다보면 연한 연두색부터 노란색, 풀색,
녹색
, 형광
녹색
까지 다양한 패션을 자랑한다. 게다가 주변 환경이나 기분에 따라 몸 색깔을 자유자재로 바꾼다. 빛의 세기가 강해지면 노란색을, 주변 온도가 낮아지면 검은색을 띤다. 번식기가 시작된 카멜레온 수컷은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색이 검고 윤기를 띠지만 먹이가 없는 겨울에는 나무껍질까지 갉아 먹은 탓에 회
녹색
을 띤다”고 덧붙였다.사실 보잘것없어 보이는 산양의 배설물에는 놀라운 능력이 숨어 있다. 산양은 독초를 빼고 거의 모든 식물을 먹는다. 물론 식물의 씨앗도 포함된다. 원래 헛개나무의 씨앗은종피(씨껍질)가 ... ...
첨단 바이오 자원으로 거듭나는 대나무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수 있다. 이 안에 밥을 넣고 찌거나 술을 담그면 대나무 특유의 향이 배면서 싱그러운
녹색
을 띤다. 대나무에 넣고 구운 소금은 죽염이라고 해서 건강식으로 많이 활용된다. 경상남도농업기술원에서는 대나무 수액으로 염분이 낮은 간장이나 된장을 만드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연구를 이끈 ... ...
세상을 바꾼 재료? 미래를 바꿀 재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전투복의 섬유에 이 유기 색소재료를 염색해 만들었다. 현재는 산에서 쓸 수 있는
녹색
과 사막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황토색만 낼 수 있다. 하지만 색상이 변하는 온도나 빛의 범위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기술이 개발 중이어서, 가까운 미래에는 다양한 환경에 맞게 여러색상으로 변하는 전투복이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저장용기, 시험장비 분야에서 기업과 협력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미국 역시
녹색
에너지 육성 프로젝트를, 미국 역사상 가장 성공한 과학 프로젝트로 유명한 ‘아폴로 프로젝트’에서 따온 ‘뉴 아폴로 프로젝트’로 명명했다”며 “세계 각국의 경쟁적인 기술개발은 곧 미래에너지의 ... ...
한국 최초 식물공장 가동 시작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넓이(약 150m2)의 식물공장에는 여러 단의 선반이 놓여 있고 그 위에 연두색에서 짙은
녹색
에 이르는 채소가 빽빽이 자라고 있다. 국내 최초로 상업생산을 시작하는 식물공장 ‘시티팜(citifarm)’의 ‘공장장’ 변승섭 실장은 반도체회사의 방진복 차림으로 채소를 수확하고 있다.“이곳에는 채소를 ... ...
태평양을 넘어 하와이를 향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직접 가서 살펴보니 변성 작용을 받은 화산암들이
녹색
의 변성광물을 갖고 있어 모래가
녹색
으로 반짝였다.갈라파고스의 섬들은 용암이 흘러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화산재가 쌓여서 만들어진 섬들이 많이 관찰되고 있다. 화산 폭발에 의해 섬 전체의 생물종이 죽었고, 그 ... ...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②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각각 짝지은 경우의 수와 같다. 즉 4종류의 자손이 생긴다. 순종 황색 완두콩 하나와 순종
녹색
완두콩 하나, 그리고 잡종 완두콩 두 개다. 황색 요소가 우성이므로 잡종 완두콩 두 개는 모두 황색으로 나타난다.따라서 서로 다른 순종 부모를 교배했을 때 생기는 자손의 모양은 우성과 열성의 비가 3: ... ...
GMO는 인류 식량 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역부족”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는 또 “과학자의 한 사람으로서 GMO가 ‘제2의
녹색
혁명’의 충분한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이기도 했다.*맬서스의 저주영국에서 산업혁명이 일어나기 전까지 인류는 이른바 ‘맬서스의 덫’에서 허우적대고 있었다. 1800년 이전만 해도 인류의 소득과 ... ...
볼리비아 우유니 소금사막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하지만 개발이 본격화되면 또 하나의 청정 지대가 사라질지도 모른다. 이른바 ‘저탄소
녹색
성장’을 핑계로 자연을 파괴하는 일이 벌어질 수도 있다. 또 볼리비아는 식민지 시절 참혹한 수탈을 겪은 나라다. 그들에게 외국 자본이 앞장선 리튬광 개발 시도가 달가울 리 없다. 결국 무조건 손을 내밀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