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밀도
색도
밀집 상태
비중
효력
분자
d라이브러리
"
농도
"(으)로 총 1,70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바닷물 어떻게 마실 수 있는 물로 만들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불러요. 전세계 바닷물의 평균 염분
농도
는 3.5%랍니다.반면 우리 몸은 염분의
농도
를 0.9%로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어요. 그래서 바닷물을 마시면 염분을 몸 밖으로 내보내기 위해 마신 양보다 더 많은 양의 물을 소변으로 배출한답니다. 바닷물을 마셔도 목이 계속 마를 수밖에 없지요. 심하면 ... ...
[Career] 번개 구름 흉내 낸 나노발전기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전하 간 무게 차이로 인해 구름의 위아래가 양전하와 음전하를 띠게 된다. 임계 전하
농도
에 다다르면 순간적으로 출력이 매우 높은 번개가 발생한다.백 교수팀은 이를 인공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나노발전기를 만들었다. 번개 구름 속 얼음입자들이 부딪치는 것처럼 금속과 유전체(dielectric)를 서로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바닷물에 더해진다.김치영 태평염전 차장은 “바다에서 막 끌어온 바닷물의 염분
농도
는 2.5도(2.5%) 정도인데, 하루 정도 증발시키면 염도가 1~2도 높아진다”며 “하루에 한 번씩 증발지를 옮겨가며 염도를 조금씩 높인 뒤 결정지에 투입하기 직전에 23~25도가 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용매 속에 녹아 있다가 온도를 높여 줬을 때 스스로 결합하면서 형성된다. 이때 온도와
농도
등의 조건에 따라 결정의 크기와 그에 따른 색상이 결정된다.이렇게 만든 퀀텀닷은 다양한 용도로 쓰인다. 김성지 포스텍 화학과 교수팀은 퀀텀닷을 이용해서 암을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학술지 ‘ACS ... ...
[과학뉴스] 꽃가루는 얼마나 날아갈까?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풍부했다.현재 일부 국가는 알레르기 질환을 예방할 목적으로 인구 밀집 지역의 꽃가루
농도
를 측정해 공지한다. 그러나 꽃가루가 이동하는 경향을 몰라 값이 부정확하거나 조기 예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연구에 참여한 독일 뮌헨 헬름홀츠연구소 환경의학연구소 클라우디아 트레이들 ... ...
[과학뉴스] 지구 최강 생명체, 물곰의 비밀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270C° 이하는 물론 영상 150C° 이상의 온도에서 살 수 있다. 생명체에 치명적인 방사능
농도
에서도 생존한다. 물곰이 이런 극한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는 비밀이 일부 풀렸다.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생명과학연구소 토마스 부스비 박사팀은 물곰이 극저온에서 10년 이상 건조 상태를 유지해도 살아남을 ... ...
[Future] 꽁꽁 언 그곳의 생명 비결 ‘얼음 화학’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요즘 같은 봄철 남극 해빙 지역에서는 얼음에서 아이오딘이 나와 대기 중 아이오딘
농도
가 높아진다. 얼음이 물에 있는 아이오딘 성분을 얼려 활성이온으로 변환시킨 뒤, 녹을 때 대기로 방출하기 때문이다. 극지방의 대기 중 아이오딘 성분은 오존을 감소시킨다. 또 구름 생성을 촉진하는 ... ...
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너무 많아지면 당뇨병이나 암까지 만들 수 있다.IGF-1은 인슐린과 마찬가지로 혈중 포도당
농도
를 줄여주기 때문에, 과식을 자주 하게 되면 IGF-1의 분비량이 늘어난다. 칼로리 제한은 IGF-1의 양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왜소증인 사람은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IGF-1이 거의 생산되지 않으니, 소식을 한 ... ...
Part 3. 실내 공기는 깨끗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실내에서 생활해요. 하지만 실내 공기에 대한 관심은 그리 높지 않아요. 매일 미세먼지
농도
를 확인하고 마스크를 쓰면서도 실내 공기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은 별로 없을 거예요.실내 공기 상황은 생각보다 심각해요.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2012, WHO보고서) 공기오염(실내외 포함)에 의한 사망자 수는 ... ...
[Future] ‘ 노래하는 장미’ 나올까 전자 부품이 된 식물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수도 있다”고 말했다.가장 쉽게 상상할 수 있는 것이 센서 분야다. 방 안의 이산화탄소
농도
가 높아지면 식물이 감지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생체 반응을 늘리거나, 습도가 높아지면 물을 많이 흡수하는 생체 반응이 활발해지도록 할 수 있다. 남 교수는 “상상력을 더해보자면 축구장의 잔디가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