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화
정신문명
물질문명
개화
교양
문화도
근대화
d라이브러리
"
문명
"(으)로 총 1,21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끝없는 달력의 도전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문명
인 마야와 아즈텍
문명
에서는 다른 곳보다 훨씬 복잡한 달력을 만들었습니다. 마야
문명
에는 일 년이 260일인 종교달력과 농사에 365일짜리 달력, 그리고 세상의 탄생과 종말을 나타내는 달력이 따로 있었습니다. 최근에는 마야의 달력에 따라 2012년에 세상이 끝난다는 내용을 담은 영화가 개봉해 ... ...
살아 있는 지구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기구를 말하는데 당시 중국의 나침반은 남쪽을 기준으로 하고 있었다. ‘중국의 과학과
문명
’을 저술한 영국의 과학자 조셉 니담은 11세기경 중국에서 매우 정교한 나침반이 사용됐음을 밝히고 있다. 14세기 무렵 중국의 나침반이 아랍을 통해 유럽으로 전해졌고, 이는 원양 항해를 가능케 해 ... ...
뉴욕에서 서울까지 아이 러브 지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태워야 하는지 생각해 보았어.도시가 사라진다고?!전시를 보면서 불과 100년 사이에 지구
문명
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는 걸 알 수 있었어. 1900년에 18억 명이었던 세계 인구는 이제 60억 명이 되었대! 게다가 1900년에 대량 생산되기 시작한 자동차가 이제는 매우 당연한 교통수단이 되었지. 편리한 생활을 ... ...
만화가와 천문학자가 만나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빠진다. 5만 년 전에 사람이 달에 갈 수 있었을까? 혹시 과거 지구에 우리가 모르는 고대
문명
이 있었던 걸까? 지난 5월 19~21 경상북도 영천시에 있는 보현산 천문대에서 ‘만화작가, 천문학자를 만나다’라는 워크숍이 열렸습니다. ‘어린이과학동아’에 ‘녹색전사 에코’를 연재하는 홍승우 ... ...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합리적인 측정 대상”이라고 강조했다.쇼스타크 박사에 따르면 인류는 1974년 지구의
문명
을 설명하는 메시지를 담은 전파를 헤르쿨레스자리에 있는 구상성단 ‘M13’에 보내기도 했다. 지구에서의 거리는 2만 5000광년. 전파를 받기만 하던 자세에서 보내는 쪽으로 능동적인 행동을 보인 것이다. ... ...
한국 과학계, ‘외계생명체 찾기’ 나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세티 연구소가 창립된 지 25년이 되는 해이다. 게다가 혹시 있을지 모를 외계인에게 지구
문명
의 요점을 날려 보낸 ‘아레시보 메시지’가 구상성단 ‘M13’으로 향한 지 35년이 되는 해이다. 무엇보다 세티앳홈 프로젝트가 시작된 지 10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하지만 세티 연구 분야에서 가장 특별한 ... ...
열 나는 반도체, DNA로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높이려면 선폭을 줄이는 것 외에 특별한 대안이 없는 게 실리콘 반도체다. 현대 기술
문명
을 지속하려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셈이다.황 교수는 바로 이 같은 반도체 분야의‘구원 투수’다. 그는 실리콘으로 만든 나노와이어에 DNA분자를 붙이는 방법을 연구 중이다. ‘땅(실리콘 나노와이어 ... ...
2014년 국제수학자대회 유치의 기적을 일구어 낸 수학자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증권사의 금융 상품도 수학이 없으면 만들 수 없어요.”박 교수는 수학이 이렇게 현대
문명
에 기여하고 있는 바를 알려 학생들이 수학을 공부하고, 수학자가 되는 것을 자연스럽게 여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이야기했다.“수학동아의 창간이 반가운 이유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입시 때문에 ... ...
Part 3. 수학을 알면 세상이 즐겁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사회는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발전을 이뤄 냈다. 그런데 역설적으로 이와 같은
문명
의 이기때문에 오히려 사람들의 수학 능력이 쇠퇴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인터넷이나 휴대전화처럼 빠른 속도로 이뤄지는 미디어 문화에 젖어 한 가지 문제를 깊게 생각하는 능력이 예전에 비해 ... ...
초고속 정보통신 사회 구현하는 광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그렇게 낙관적이지 않다. 1947년 반도체 소자인 트랜지스터가 발명되며 시작된 전자
문명
은 이미 그 한계에 도달했다.‘컴퓨터의 두뇌’인 중앙처리장치(CPU) 속도를 더 높이려면 반도체 소자의 회로 선폭을 계속 줄여야만 한다. 인텔사는 나노기술 발전에 힘입어 현재 반도체 회로의 선폭을 100nm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