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마일
극소
방실거림
근소
빈약
티끌
웃는낯
d라이브러리
"
미소
"(으)로 총 560건 검색되었습니다.
별똥별을 온몸으로 맞은 21세기 어린왕자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하고 설명을 가슴 속 깊이 새겼던 순간이 떠오르는 것일까. 상기된 이교수 얼굴 사이로
미소
가 흐른다.이교수는 “지금 하고 있는 프로젝트나 어렸을 때의 놀이가 수준의 차이는 있겠지만 둘다 좋아서 매달렸고, 과제를 계속 찾아가고 있다는 점에선 같다”고 말한다. 어렸을 때 자신의 연구에 ... ...
전자상거래 시대 개척한 아마존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그러나 그 순간의 영광도 그에겐 큰 의미가 없었다. 새로운 인터넷 사업의 미래가 그에게
미소
를 짓는 순간 그는 기회를 알아차렸기 때문이다.열심히 일하라, 즐겨라, 역사를 바꿔라베조스는 유능한 인재들을 끌어 모으는데 많은 정력을 쏟았다. 아마존은 1997년 10월 월마트의 정보시스템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레이저포 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칩들 각각으로부터 레이저광이 나오는 구조다. 매질의 부피가 아주 작아졌기 때문에
미소
한 전류만 흘려도 레이저가 발생한다. 또 초대규모집적회로(VLSI)를 제조하는 것과 비슷한 방법을 통해 고밀도의 마이크로레이저 행렬을 손쉽게 얻을 수 있다. 지름 10㎛(1㎛=${10}^{-6}$m)이 채 안되는 소형 ... ...
3. 기상 버라이어티쇼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태풍을 만들다가 토네이도로 돌변하고 번개를 만들기도 한다. 그러다 어느 순간
미소
를 띠며 무지개를 만들어 보인다.만일 대기중에 수분이 없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여러 가지 상상이 가능하겠지만 피부로 느낄 수 있는 하나는 구름을 보기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면 푸른 하늘과 ...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어떻게 변할까. 한국인 입의 양 끝은 대개 수평보다 6도 정도 아래로 처져 있었다.
미소
짓는 느낌보다 시무룩한 표정에 가깝다. 그런데 최근에는 점차 입꼬리가 올라가고 있다. 즉 평소에도 입이 상냥하게 웃는 모습을 띤다는 말이다. 왜 그럴까.볼이 홀쭉해진 이유코가 길어짐에 따라 코와 입술 ... ...
99대한민국 과학축전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치더라도 초점에 놓인 미니 당구공이 다른 초점의 공을 맞추자 아버지와 딸의 얼굴에는
미소
가 흐른다. 이 순간 그들은 태양계 행성의 타원 운동과 초점을 수식없이 이해한다.전업주부에서 센토 박사까지올해로 3회를 맞는 99대한민국과학축전이 지난 8월 14일부터 20일까지 올림픽공원에서 열렸다. ... ...
1.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전쟁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무인탐사선을 보내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1969년 승리의 여신은 미국에게
미소
를 지었다. 미국은 3월에 아폴로 9호로 달착륙선을 시험했고, 5월에는 아폴로 10호로 달착륙을 제외한 모든 과정을 완벽히 점검했다. 남은 것은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뿐이었다.반면 러시아는 2월에 실시한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4. 환경공학자 황석환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홀대도 폐수로부터 만들어진 연료로 공장을 돌리게 되는 날이면 환대로 바뀔 거라며
미소
짓는다. 폐수로 메탄올 같은 연료를 만든다? 만화에서나 봄직한 이야기지만, 실제로 미국에 있는 한 치즈 공장에서는 유기폐수를 메탄으로 바꿔 공장 가동 동력의 40%를 충당하고 있다. 폐수라고 해서 다 연료를 ... ...
모나리자가 살아서
미소
짓는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미술은 어렵고 이해할 수 없는 것이라는 생각은 미술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됐다. 화가들의 생각의 바탕에는 자연의 질서와 본질을 구현하려는 과학자와 똑같은 욕구가 들어 있다. 그래서 미술은 과학과 떨어질 수 없다. 눈으로 보는 것과 머리로 생각하는 것을 덜 잘 표현하고자 했던 미술가들. 그 ... ...
97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 윌리엄 필립스 박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작은 나무조각들로 수평을 맞춰야 한다. 또 팽이의 무게도 조 절해야 한다. 이것을 시종
미소
와 함께 진지하게 보여준 필립스 박사는 "일반인들이나 어린 학생들을 위해 어려운 과학의 원리를 시범을 통해 쉽게 보여줄 수 있는 것이 기쁘다"면서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 시범이 그저 신기하고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