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육
생식
증식
개량
산식
기르기
교육
d라이브러리
"
번식
"(으)로 총 1,311건 검색되었습니다.
응답하라~! 남극 세종과학기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No. 171 나레브스키포인트에는 주로 젠투펭귄과 턱끈펭귄이 여름철에 둥지를 틀고
번식
을 해요.하지만 이런 펭귄들은 특별보호대상이어서 일반인들이 직접 잡거나 만지면 안 된답니다. 그러나 멀리서 사진기나 휴대전화로 동물을 배경으로 셀카를 찍을 순 있어요.앞으로도 친구들이 ... ...
생물 피해로부터 천 년 문화재 지키기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학예연구관은 “환기만 잘 해도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말합니다. 해충과 미생물이
번식
할 환경을 없애주면 문제는 자연스럽게 예방된다는 것입니다. 목조건물 바닥에 많이 깔려 있는 비닐 장판 대신 한지 장판을 쓰고(절에 가도 비닐을 깐 곳이 많습니다. 따뜻하고 습한 비닐 아래는 해충과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경우 유전적으로 열성인 기형 자손이 태어나는 등 ‘근교퇴화’가 일어날 수 있다.
번식
능력이나 질병저항성 등이 떨어지는 것이다. 이런 근교퇴화는 근친결혼이 많았던 여러 고대 왕조의 멸망 원인으로도 꼽힌다.최연호 박사는 “2007년쯤부터 이런 문제점이 인식되고 근친교배를 줄이는 방향으로 ... ...
꿀벌이 새 집을 찾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여왕벌은 꿀벌 사회를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답니다. 바로 알을 낳아 종족을
번식
하고 ‘여왕 페로몬(Queen Mandibular Pheromone)’을 분비하는 일이지요. 여왕 페로몬은 여왕벌의 시중을 드는 일벌들에게 전해지고 점차 벌집 내의 모든 일벌들에게 전달돼요. 여왕 페로몬은 일벌들의 난소가 ... ...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번식
하기 힘들었을 거예요. 개미는 꽃으로부터 맛있는 수액을 얻고, 꽃은 개미를 통해
번식
하는 공생을 한답니다.”이어서 명예기자들은 개미 채집에 나서기로 했어요. 하지만 갑자기 쌀쌀해진 날씨 탓에 개미들이 땅 깊숙이 숨어 나오질 않았어요. 개미가 다치지 않게 조심조심 땅을 깊숙이 판 ... ...
[과학뉴스] 정액, 수컷의 치명적인 무기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정자를 운반하는 ‘셔틀’인 줄만 알았던 정액이 실제로는 자신의 유전자를 널리 퍼뜨리려는 수컷의 ‘무기’였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 이런 공격에 당하고만 있지는 않았다. 전문가들은 이런 성 갈등이 오늘날의 정교한
번식
시스템을 완성시켰다고 설명했다(관련 기사는 94쪽에) ... ...
[Knowledge] 정자 셔틀? No! 정액의 재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해석하지 않는 시선도 있다고 소개한다. 수컷과 암컷이 경쟁한 덕분에 정교한
번식
시스템을 완성해 나갈 수 있었다는 관점이다. 암컷이 수컷의 정자를 보관하는 것도 종 전체로 보면 이득일 수 있다. 적대적인 경쟁이 아니라 일종의 ‘공진화’를 한 셈이다. 또한 성 갈등은 생식계통을 변화시켜 종 ... ...
알쏭달쏭~ 귀화식물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계절마다, 그리고 해마다 식물 분포가 어떻게 바뀌는지 조사해요. 이를 통해 식물의
번식
속도와 생태를 아는 거지요. 국립수목원을 중심으로 귀화식물에 대한 올바르게 대처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답니다. 친구들도 우리 주변에 어떤 귀화식물이 있는지 찾아보는 것이 ...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2000m 이내예요. 야생에서 청개구리의 수명은 7~8년 정도 살 수 있고요. 알에서 태어난 뒤
번식
할 수 있는 어른이 되기까지 2년이면 충분해요. 즉, 자식이 멀리 떨어지지 않고 부모가 그 다음해에도 살아 있다면 서로 만날 수 있는 확률이 있지요. 알을 낳을 수 있는 환경이 제한됐다면 부모와 자식이 ... ...
바지락 VS 꼬막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먹으며 살지요.껍데기의 길이는 4㎝, 두께는 3㎝ 정도로 크기가 작지만 성장과
번식
이 빨라요. 또 이동을 거의 하지 않는 습성이라 양식으로 많이 길러져요. 여름철 산란을 대비해 3~4월에 크게 자라기 때문에 봄에 먹는 바지락의 살이 통통하고 맛이 좋지요.육식성 조개인 큰구슬우렁이는 바지락을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