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뉴스
소식
정보
통지
보고서
매스컴
언론
d라이브러리
"
보도
"(으)로 총 1,236건 검색되었습니다.
Major eruption of Mt. Baekdu ‘possible’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한국인들에게 백두산은 영원히 일등 산으로 남아있을 것이다. 본고는 IBM에서 공개한
보도
자료와 기즈맥의 분석을 기초로 해 한국 학생들의 영어교육을 위해 문장과 내용을 새롭게 수정 및 편집한 글입니다 ... ...
Part1. 원전 사고 5가지 핵심 쟁점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일 국내 언론에서는 이 수치가 “울릉도 기준치의 2만 3000배를 넘었다”며 흥분한 어조로
보도
했다. 체르노빌 원전 사고 이후 유럽의 방사능 수치를 표시한 지도. 붉은색이 진할수록 방사능 농도가 높다.하지만 이 말은 이 방사선을 1시간 동안 가만히 서서 온몸에 쐬었을 경우 인체가 이 만큼을 ... ...
현장점검-구제역 지하수 3년 뒤 진짜 위기 온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침출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그렇다고 지금 침출수에 의해 지하수가 오염됐다는 일부
보도
가 잘못됐다는 것은 아니다. 남경필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지하수가 흐르는 대수층의 깊이는 깊게는 10m에서 얕게는 1~2m”라며 “만약 매몰지가 대수층까지 파고든다면 매몰지에서 샌 체액 등이 ... ...
우주까지 반백 년, 그리고 우주에 다다른 지 반백 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과학동아에 보내 온 글을 싣는다. [유리 가가린이 첫 우주비행에 성공했다는 소식을
보도
한 미국의 한 신문.] ‘찌알꼽스끼 역’이름도 생소한 이 전철역은 가가린 우주 인 훈련센터 정문 앞에 있다. 훈련센터에 도착하고 한달 뒤, 모스크바 시내로 가기 위해 전철을 타러 가는데, ‘왜 역 이름이 ... ...
IBM’s Next 5 in 5 List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식은 물은 폐쇄회로를 통해 다시 뜨거워진 프로세서로 돌아간다. 본고는 IBM에서 공개한
보도
자료와 기즈맥의 분석을 기초로 해 한국 학생들의 영어교육을 위해 문장과 내용을 새롭게 수정 및 편집한 글입니다. ... ...
파리는 어떻게 벽에 달라붙나?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전체가 닿았음을 보여준다.] [영국의 과학자 로버트 훅이 1665년 출간한 ‘현미경
보도
’에 실린 파리 발 스케치. 훅은 발의 미세한 털이 벽면에 얽혀 파리가 붙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털이 있든 없든 모든 다리는 젖어 있다이제 시간을 빨리 돌려 곤충의 부착에 대한 연구가 다시 부활한 된 ... ...
수학적인 구조를 갖는 물질이 있다?!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3개의 동그란 고리가 있다. 이 3개의 고리는 서로 연결돼 있는데, 이 중 하나를 자르면 어떻게 될까? 놀랍게도 나머지 고리가 모두 풀린다.이것은 수학에서 ‘브륀 연결(Brunian link)’이라 ... 될 것”이라고 밝혔다.이 연구는 영국의 과학주간지 ‘뉴사이언티스트’ 1월 8일자에
보도
됐다 ... ...
Part 2. 비소 박테리아는 진실인가 실수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네이처’는 지난해 12월 9일자에서 논문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여러 과학자들의 주장을
보도
했다. 생물지구화학을 연구하는 로저 서몬스 매사추세스공대(MIT) 교수는 “논문의 저자들은 이 박테리아가 비소를 흡수한다는 사실을 보여줬을 뿐 비소가 들어 있는 물질의 분자 구조를 확실히 보여주지 ... ...
과학동아, 2010년 올해의 생명과학
보도
상 수상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국내에서 가장 역사 깊은 과학잡지로 25년 동안 다양한 과학 뉴스를 깊이 있게
보도
해 과학 대중화에 앞장선 공로를 큰 업적으로 꼽았다.한편 허두영 이사는 한국과학저술인협회가 선정한 2010년 ‘올해의 한국과학저술인협회상’ 과학언론 부문에도 선정됐다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논문조차 언급하지 않았다. 이번 논란에서 김 교수의 이름을 처음 거론한 것은 논란을
보도
한 네이처였다.더 히에르 교수가 김 교수와 그의 논문을 언급하지 않은 것은 이상하다. 김 교수를 옹호하거나 추켜 세울 뜻이 없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내비친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 김 교수의 2005년 네이처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