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라이온
사절
외교관
표범
호랑이
사망자
망인
d라이브러리
"
사자
"(으)로 총 49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자
자리 은하트리오 산책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이것은 타원은하이기 때문에 높은 표면 밝기를 갖지만 상세한 모습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사자
자리에 있는 다른 나선은하들에 비해 덜 인상적이다. 이것은 M95와 M96로부터 1백30kpc의 거리에 놓여 있다. 광시야의 아이피스를 사용하면 한 시야내에서 이 세개의 은하를 다 볼 수 있을 것이다 ... ...
목성의 줄무늬와 대적반에 초점을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일기 시작하여 1등성들로 수 놓아진 화려한 겨울철의 별자리들이 동쪽 하늘을 맹수의 왕,
사자
에게 양보하고 서쪽하늘로 물러나기 시작한다. 또 이 달의 보름달은 올해 볼 수 있는 가장 큰 달이므로 유난히 밝게 빛날 것이다.이달의 행성■거대 행성, 목성의 충 3월은 목성을 보기에 가장 좋은 ... ...
③ 말은 마음의 구조 밝히는 열쇠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반응을 보였다. 사람이 맨손으로
사자
에 맞선다면 그 결과는 거의 뻔하기 때문이다.
사자
뿐만 아니라 세상에는 사람보다 힘센 동물이 얼마든지 더 있다.「인간은 생각하는 갈대」그런데 이처럼 힘이 별로 세지 않은 사람이 만물의 영장으로 자처할 수 있는 것은 어떤 연유인가? 이는 강한 자가 ... ...
염색체 21Q·Y염색체 유전지도 완성됐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인류에게 식량 의약 에너지 환경 공업재료 등을 제공함으로써 21세기 복지사회 구현의
사자
로 등장했다.또한 유전공학기술이 등장한 이후 진행된 엄청난 생명과학기술의 발달은 생명과학자로 하여금 터무니없는 꿈을 꾸게 했다. 인체 게놈(human genome)에 담겨 있는 30억개 의 유전문자를 해독, '인간의 ... ...
(3) 한반도의 공룡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높다. 예를 들면 악어나 뱀의 경우에는 먹이의 양이 많이 필요하지 않은 데 비해
사자
나 호랑이의 경우에는 월등하게 많은 양의 먹이가 필요하다. 30㎝ 이하의 소형발자국 많아덕명리 해안의 발자국화석은 이족보행(二足步行)의 것이 약 75%, 사족(四足)보행의 것이 25% 정도다. 이족보행의 발자국은 ... ...
죽어서도 영원히 사는 미이라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투탄카멘(B.C.1358~1349)왕묘가 될 것이다. 이들 묘의 건립은 내세에서 영원한 삶을 누리려는
사자
의 개인적이고 종교적인 바람 때문이었다. 라메시드의 파피루스에서는 당시의 도굴범과 잡힌 도굴범에 대한 처벌이 기록돼 있다. 그러나 도굴범에 대한 피해가 매우 극심해 무덤을 만들 때마다 이들을 ... ...
지구상의 마지막 원시부족 힘바족의 고향 나미비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동식물도 함께 서식하고 있어 장관을 이룬다. 사막환경에 동화된 갖가지 곤충과 식물,
사자
와 물소, 코끼리와 기린을 함께 볼 수 있는 곳이기에 관광객들에게 호기심을 유발하고 있다. 또한 다이아몬드와 우라늄을 비롯한 각종 광물도 풍부하게 매장돼 있는데, 이로 인해 유럽 식민지로 전락되는 ... ...
고롱고로 분화구 안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포식자가 피식자 집단의 축소로 인해 절종위기를 맞는 경우도 종종 있다.이 분화구
사자
의 역사는 다른 많은 큰 척추동물을 위하여 어떤 암시를 살짝 나타내보이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아프리카의 자연공원 주위에서 인간들은 자신들의 주거지를 넓혀 나가고 있다. 이는 자연의 동물들이 감히 ... ...
7월의 밤하늘 탄생을 결정하는 행운의 별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이달 하순경에는 히아데스 성단과 플레이아데스 성단 사이에 놓이게 된다.목성여전히
사자
자리에 위차하며 밝기는 -1.3등급이다.토성0.5등급의 밝기로 염소자리에서 찾을 수 있다.7월로 들어서면서 밤하늘은 여름의 소리로 가득 차게 된다. 귀뚜라미 매미 그리고 밤새들이 하늘로부터 울려퍼지는 ... ...
태양의 영원한 라이벌 전갈자리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하늘을 수호하는 네 개의 황제별(royal star) 중 하나로도 불려졌다. 봄철의 레굴루스(
사자
자리), 가을철의 포말하우트(남쪽물고기자리), 그리고 겨울철의 알데바란(황소자리) 등이 이 황제별에 속하며 이들은 황도 근처에 위치하여 독특한 밝기로 각 계절마다 하늘을 수호한다고 전해진다.안타레스는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