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각"(으)로 총 2,50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우리 기술로 만든 천리안2A호 발사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12월 4일, 오전 5시 37분(현지 시각)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에서 아리안-5ECA 발사체에 실린 천리안2A호가 발사됐어요. 발사 약 34분 후, 발사체에서 분리됐고 5분 뒤에는 호주 동가라 지상국과 첫 교신에 성공했지요. 천리안2A호는 2010년 6월에 발사한 천리안1호에 이어 우리나라가 두 번째로 쏘아올린 기상 ... ...
- Part 3. 변신 3- 누가 돼지를 둔하다고 했나 감각적인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선정도 픽카소가 직접 하나요? 돼지는 우리와 다르게 색깔을 인지해요. 색깔을 감지하는 시각세포인 원뿔세포를 두 종류만 갖고 있어서 파란색과 초록색만 잘 인지하지요. 그래서 그림을 그리는 환경에 맞춰서 제가 색깔을 정해주는 편이랍니다. Q 픽카소와 함께 이루고 싶은 꿈이 있나요 ... ...
- [에디터노트] 더 넓은 창으로 보는 과학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담았다. 컬처(CULTURE) 섹션은 영화, 드라마 등 대중문화를 움직이는 힘을 과학기술의 시각으로 해석했다. 과학동아가 33년간 매달 한 차례도 빠지지 않고 꾸준히 잡지를 발행할 수 있었던 것은 독자 여러분의 관심과 사랑, 질책이 있었기 때문이다. 판형 변경은 그 사랑에 보답하려는 시도다. 더 넓은 ... ...
- 슬기로운 진로 탐구생활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컨셉, 철학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비주얼 콘셉트 기획-감독, 연출가와 장면마다의 시각적 요소(인물, 사물, 조명, 의상 등) 배치 총괄-그래픽 디자인을 기본으로 사진, 스타일링 등 전체 비주얼 스토리 생성 비주얼 디렉터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다면? 추천 영상 : 다큐멘터리 ‘제작자에게 직접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있어요. 대신 색깔을 구분하는 능력은 떨어지죠. 원뿔세포는 좀 더 강한 빛에 반응하는 시각 세포로, 색깔을 인식할 수 있어요. 인식할 수 있는 색깔의 종류에 따라 세 가지 종류로 나뉘죠. 셋 중 어느 한 종류의 원뿔세포에 이상이 생기면 색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색각 이상을 겪게 된답니다 ... ...
- [과학뉴스] NASA ‘인사이트호’ 화성 착륙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11월 26일 오후 2시 54분(현지 시각),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에서 환호성이 울렸어요. 지난 5월 5일 발사한 인사이트호가 발사 206일 만에 화성 착륙에 성공했기 때문이지요. 화성의 대기 두께는 지구의 1%로 매우 얇아서 속도를 줄이기가 무척 어려워요. 속도를 줄이지 못하면 화성 표면에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매리는 색깔을 맞힐 수 있을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노랑의 느낌을 알 수 없어요. 직접 빨강이나 노랑을 보지 않고서는 말이에요. 즉, 매리는 시각세포를 통해 빛을 받아들이는 과정과 색깔을 보았을 때의 느낌을 연결할 수 없는 거예요. 색깔이 주는 느낌은 위치, 길이, 면적, 부피, 질량과 같은 용어로 나타낼 수 없어요. 여러분이 소금을 먹었을 때를 ... ...
- [지구사랑탐사대] 뜨거운 도시의 비밀을 밝혀라! 매미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교수님! 탈피하는 매미를 찾았어요!”소나기가 그친 밤 8시, 도시에 어둠이 내려앉은 시각. 지사탐 대원의 목소리가 고요한 서울숲을 흔들었어요. 장이권 교수님과 대원들이 습한 공기를 헤치고 낮은 덤불로 모여들자, 잎 뒤편에 탈피각에서 반쯤 빠져나온 푸르스름한 색깔의 매미가 보였어요. 아직 ... ...
- 게임으로 충격을 치료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2015년부터 난민과 함께 테트리스를 이용하는 PTSD 치료법을 연구하고 있어요. 끔찍한 시각적 기억이 불현듯 떠올라 마치 현장으로 되돌아간 것처럼 생생한 공포가 느껴지는 증상을 낫게 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지요. 공포스러운 사건은 평균 6시간이 지나면 뇌에 새겨져 오랫동안 남는 단단한 기억이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몰리뉴의 물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것도 알 수 있지요. 이때 바지와 양말, 신발, 사탕 등이 어떻게 생겼는지에 대한 시각 정보는 없지만 ‘길다’, ‘둥글다’, ‘크다’, ‘작다’와 같은 개념은 머릿속에 가질 수 있지요. 라이프니츠의 생각처럼 지식은 경험만으로 생길 수 없고 이성에 의해 얻어진다는 사고방식을 ‘합리주의’라 ...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