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호"(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용어 따라잡기] 적외선, 상피세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다양한 기능을 수행해요. 코 점막에 있는 후각상피세포는 냄새 분자와 만나 후각 신호를 뇌로 보내요. 소화기관에 있는 상피세포는 음식물을 소화시키기 위해 소화효소를 분비하고, 우리 몸에 필요한 양분을 흡수하기도 한답니다.각자의 위치에서 활약하고 있는 상피세포는 손톱, 발톱, ... ...
- [매스미디어] 수학이 보이는 자칭 먹방 예능, 도레미마켓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방법, 즉 ‘언어 모형’을 활용해 인식의 정확도를 높인다는 겁니다. 음성 인식은 음성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해 단어를 알아내는데, 이때 언어 모형을 이용해 단어들이 서로 문법적으로 맞는지 혹은 문맥적으로 어울릴지를 확률로 계산해 가장 높은 값을 최종 선택합니다. 따라서 특정 단어를 ... ...
- [한페이지 뉴스] 페로브스카이트로 만든 반구형 인공 눈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특징을 동시에 가지는 하이브리드 소재로, 넓은 스펙트럼의 빛을 효율적으로 흡수해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인공 눈의 내부는 이온성 액체로 채웠다.연구팀은 이렇게 제작한 인공 눈을 이용해 알파벳 E, I, Y 모양의 이미지를 인식하는 데 성공했다. 인공 눈은 100픽셀로 구성돼 현재로선 해상도가 매우 ... ...
- 나는 시각장애인 안내견 주미입니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횡단보도, 엘리베이터, 개찰구 등을 찾아내고 그 자리에 멈춘다. 앞에 장애물이 있다는 신호다. 우리가 멈추면 함께 걷던 사람이 장애물의 존재를 알아채고 둔턱을 오르거나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는 등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개찰구 찾아.”지하철역에 들어서자 함께 나온 훈련사가 미션을 ... ...
- [집콕 과학] 스포츠 음료, 집에서 만든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아니라 이온화된 소듐, 포타슘, 염소 등의 성분도 포함돼 있죠.이런 이온은 체내에서 신경신호를 전달하는 등 세포 활동에 관여합니다. 운동 후 적절히 보충하지 않으면 혈중 이온 농도가 낮아져 몸에 이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강재헌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혈중 이온 농도가 갑자기 ... ...
- 오가노이드, 로봇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거예요! Q2단계 로봇도 준비하고 있다고요?네. 1단계는 뇌 오가노이드가 만드는 신호를 로봇에 전달하는 것이었다면, 2단계는 로봇이 받는 자극을 뇌 오가노이드에 전달하는 거예요. 쉽게 말해 로봇이 뇌 오가노이드의 눈이자 귀가 되도록 만드는 셈이지요. Q어과동 친구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 ...
- [이달의 수학자] 이 시대의 진정한 폴리매스, 데이비드 멈퍼드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은퇴할 나이인 60대에 돌연 연구 분야를 응용수학으로 바꾸고 브라운대에서 음성인식, 신호처리, 인공신경망 구축을 가능하게 하는 ‘패턴 이론’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했습니다. 학교를 떠난 지금도 개인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수학과 사회, 역사, 그리고 철학에 대한 자신의 관심과 생각을 ... ...
-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있는 2차 신경세포 위 메라노코르틴(MC)4 수용체(식욕 억제)나 Y1 수용체(식욕 증진)로 신호를 보내면 식욕이 조절된다.식욕조절에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호르몬이 하나 더 있다. 장에서 합성되는 호르몬인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다. GLP-1은 혈당 조절에 중요한 호르몬 중 하나다. 혈당을 ... ...
- [한페이지 뉴스] 인공감미료와 설탕의 차이, 장기도 안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전달되는 신호를 받아들이는 영역이다. 연구팀은 추가 실험을 통해 장에서 느끼는 단맛 신호를 뇌까지 전달하는 단백질도 찾았다. 나트륨-포도당 공동수송체(SGLT)-1 단백질의 활동을 억제하자 포도당이 장 속에 들어와도 cNST 부위가 활성화되지 않았다. SGLT-1 단백질이 정상적으로 활동할 땐 ... ...
- 도심에서 발견된 여우, 너의 정체는?과학동아 l2020년 05호
- 통해 개체별 위치 확인이 가능하다. GPS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연구원들이 VHF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직접 들고 나가 여우의 위치를 추적한다. 야생에서 태어난 여우는 목걸이를 채울 수 없어 서식처 인근에 설치된 무인 센서 카메라와 헤어트랩 등 보조장비를 사용해 관찰한다. ...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