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호"(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
-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있는 2차 신경세포 위 메라노코르틴(MC)4 수용체(식욕 억제)나 Y1 수용체(식욕 증진)로 신호를 보내면 식욕이 조절된다.식욕조절에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호르몬이 하나 더 있다. 장에서 합성되는 호르몬인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다. GLP-1은 혈당 조절에 중요한 호르몬 중 하나다. 혈당을 ... ...
-
- [과학동아 X 긱블] 동물의 숲 주파수 연주기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물리학에서 펄스는 전압이 들어왔다 안 들어왔다, 즉 온(ON)과 오프(OFF)를 반복하는 전기신호입니다. 그리고 이 ON/OFF의 횟수나 주기는 스텝 모터가 어떻게 돌아갈지를 결정합니다.ON/OFF 횟수가 많을수록 스텝 모터의 회전하는 각도는 커지고, ON/OFF 주기가 짧을수록 회전하는 속도가 빨라지죠.여기서 ... ...
-
- 나는 시각장애인 안내견 주미입니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횡단보도, 엘리베이터, 개찰구 등을 찾아내고 그 자리에 멈춘다. 앞에 장애물이 있다는 신호다. 우리가 멈추면 함께 걷던 사람이 장애물의 존재를 알아채고 둔턱을 오르거나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는 등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개찰구 찾아.”지하철역에 들어서자 함께 나온 훈련사가 미션을 ...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적외선, 상피세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다양한 기능을 수행해요. 코 점막에 있는 후각상피세포는 냄새 분자와 만나 후각 신호를 뇌로 보내요. 소화기관에 있는 상피세포는 음식물을 소화시키기 위해 소화효소를 분비하고, 우리 몸에 필요한 양분을 흡수하기도 한답니다.각자의 위치에서 활약하고 있는 상피세포는 손톱, 발톱, ... ...
-
- [매스미디어] 수학이 보이는 자칭 먹방 예능, 도레미마켓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방법, 즉 ‘언어 모형’을 활용해 인식의 정확도를 높인다는 겁니다. 음성 인식은 음성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해 단어를 알아내는데, 이때 언어 모형을 이용해 단어들이 서로 문법적으로 맞는지 혹은 문맥적으로 어울릴지를 확률로 계산해 가장 높은 값을 최종 선택합니다. 따라서 특정 단어를 ... ...
-
- [한페이지 뉴스] 페로브스카이트로 만든 반구형 인공 눈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특징을 동시에 가지는 하이브리드 소재로, 넓은 스펙트럼의 빛을 효율적으로 흡수해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인공 눈의 내부는 이온성 액체로 채웠다.연구팀은 이렇게 제작한 인공 눈을 이용해 알파벳 E, I, Y 모양의 이미지를 인식하는 데 성공했다. 인공 눈은 100픽셀로 구성돼 현재로선 해상도가 매우 ... ...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유발할 수 있다. 또 지방세포에서 분비돼 식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인 렙틴의 신호체계에 이상이 생길 경우 비정상적인 허기를 일으켜 비만을 일으킨다.이번에는 살이 늘어나는 현상을 집중적으로 설명했지만 살이 극도로 줄어드는 현상도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중요한 점은 살을 ... ...
-
- [집콕 과학] 스포츠 음료, 집에서 만든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아니라 이온화된 소듐, 포타슘, 염소 등의 성분도 포함돼 있죠.이런 이온은 체내에서 신경신호를 전달하는 등 세포 활동에 관여합니다. 운동 후 적절히 보충하지 않으면 혈중 이온 농도가 낮아져 몸에 이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강재헌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혈중 이온 농도가 갑자기 ... ...
-
- 인공 눈, 인공 팔, 인공 몸... 인체 개조 드라마 '루갈'과학동아 l2020년 05호
- doi: 10.1088/1741-2552/aa7493 김 교수는 “팔다리 등 말초신경에 신경 전극 칩을 심으면 신호의 간섭이 많이 발생해 뇌에 명령을 제대로 전달하기 어렵다”며 “환자의 뇌에 신경 전극 칩을 심고 이를 로봇 의수와 연결해 움직이게 하는 기술이 더 간단하다”고 말했다. 드라마 ┃ 강철 인공장기와 ... ...
-
- 드라마 ‘그 남자의 기억법’으로 살펴본 과잉기억증후군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결과 살아있는 쥐 머리에 손전등 강도의 빛(1mW/mm)을 비추는 것만으로 신경 세포 내 칼슘 신호를 조절할 수 있게 했다. 빛을 비추면 칼슘 농도가 증가하고 뇌의 공간 기억 능력도 향상됐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월 10일자에 실렸다. doi: 10.1038/s41467-019-14005- ...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