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언
말실수
d라이브러리
"
실어
"(으)로 총 617건 검색되었습니다.
2008년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만들어진 지름 20-30㎛의 백혈구 크기만한 라텍스 구슬은 암 조직으로 약품과 방사선을
실어
나를 수 있어 항암치료에 사용될 예정이다. 또 무중력과 우주방사선의 영향이 복합돼 일어나는 돌연변이 연구는 생명체의 진화나 암연구에 대한 단서도 제공할 것이다.그러나 우주실험에 유리한 점만 있는 ... ...
인간 로봇 혼성 축구팀 창단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상호작용을 파악하는 연구를 시작했다고 보도했다.연구팀은 세그웨이에 로봇을
실어
인간 크기의 축구로봇을 만들었다. 또 사람이 탑승한 세그웨이와 이 축구로봇이 축구경기를 할 수 있도록 경기 방식과 세부 규칙을 정했다. 세그웨이가 무게중심을 잡는 기술은 인체에 맞춰 고안됐기 때문에 이를 ... ...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공기보다 밀도가 줄어들어 가벼워진다. 열기구는 오랫동안 비행하기에 충분한 연료를
실어
야 하는 어려움과 화재의 위험이 있어 개발된지 얼마 지나지 않아 가스기구와의 경쟁에서 밀리고 말았다. 1960년대 프로판 가스가 본격적으로 연료로 쓰이면서 현재는 레저용으로 이용되고 있다.가스기구는 ... ...
근대화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스스로는 멀리 전파할 수 없기 때문에 높은 주파수를 갖는 반송자(carrier)에 음성신호를
실어
멀리까지 전파할 수 있도록 변경시켜 주는 것을 변조(modulation)라한다땅속에서 솟아나오는 샘물로서 가스상(狀) 혹은 고형물질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는 음료수어떤 종류의 결정판에 일정한 방향에서 ... ...
뇌 단백질 구조에 따라 기억력 차이나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는 유전의 영향으로 기억력에 차이가 나타난다는 가능성에 힘을
실어
줬다.뇌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을 감지하는 수용체 단백질 중 5-HT2a라는 종류가 있다. 이 수용체 단백질의 경우 약 9%의 사람은 이를 이루는 아미노산 중 하나가 티라민이다. 나머지 사람은 ... ...
1 태풍잡는 사나이로 변신한 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태풍이나 토네이도를 없앨 수 있다는 이스트런드 박사의 새로운 기상 제어 방법에 힘을
실어
줄 뿐만 아니라 생각보다 훨씬 적은 전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그렇다면 이스트런드 박사가 전자기파로 태풍이나 토네이도를 제압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근거는 과연 무엇일까.태풍이나 ... ...
바다의 올림픽 선수 고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미국의 비행선 ZPG-3W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조기경보 목적에 사용되었다기구 또는 로켓에
실어
고층 대기의 기상 데이터를 자동으로 측정하고 송신하는데 이용되는 전자장치 라디오존데에 의해 공중에 올려진 레이더 목표물의 거리·고도·방위각을 계측하기 위해 레이더 기술이 쓰이는 ... ...
4 태양 아래에서 자동 충전되는 입는 컴퓨터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광통신은 영화 수백만편을 수초만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양자의 특성상 정보에 암호를
실어
보낼 수 있다. 이 점에서 정보 보호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군사용이나 금융 데이터 전송, 전자 상거래에 활발히 이용될 전망이다.접거나 말 수 있는 디스플레이정보저장 기술 분야에는 나노 자기식 ... ...
잊혀진 컬럼비아호의 희생자 거미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쉬운 임무가 아니었다. 1948년 미국은 벵골원숭이 알버트를 독일에서 압수한 V-2 로켓에
실어
우주로 보냈다. 안타깝게 최초의 동물우주비행사 알버트는 우주선에서 사망한 최초의 생명체가 되고 말았다. 그후 1958년까지 10년 동안 미국은 동물우주비행을 7번이나 시도했지만, 어떤 동물도 산 채로 ... ...
태양에너지 무선전송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어떻게 이동시킬 수 있을까. 대용량 배터리에 담아 우주선으로
실어
나르는 방법은 너무나 비효율적이다. 그렇다고 우주태양광발전소와 지상을 잇는 전선을 설치하자니 너무 막막하다.이런 고민을 한번에 해결한 방법이 바로 ‘무선전력전송’ (Wireless Power Transmission) 기술이다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