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시아"(으)로 총 1,76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기후 빙하기의 끝은 매머드의 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곳도, 먹을 것도 없어요~!털매머드는 약 1만 년 전 대부분 멸종했어요. 큰덩치로 유럽과 아시아 대륙 전체를 호령하던 털매머드들이 갑자기 멸종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과학자들이 꼽는 가장 큰 원인은 빙하기가 끝나고 기후가 따뜻해졌기 때문이에요.약 1만 4000년 전 빙하기가 끝나면서 지구의 ... ...
- [과학뉴스] ‘악마문 동굴人’ 유전체서 한국인 뿌리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도 일치했다.연구 책임자인 전성원 UNIST 게놈연구소 연구원은 “동아시아에서는 적어도 8000년간 외부유전자의 유입 없이 유전적 연속성이 이어졌다”고 말했다 ... ...
- Part 5. 복원 털매머드 되살리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원래의 털매머드와 똑같지는 않아요. 털매머드의 유전자를 조금 가지고 있는 아시아코끼리라고 할 수 있지요. 하지만 이 매머드들끼리 교배해 새끼를 낳게 하는 한편, 유전자를 계속 바꾸어 가는 과정을 반복하면 점점 털매머드에 가까운 동물이 만들어져요.연구팀은 이렇게 되살린 ‘매머드’를 ... ...
- [Issue] 과학·공학·의학 발달의 일등공신 ‘히든 피겨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논문(조아라, 박진희 ‘한국 여성 과학자의 ‘과학자 되기’에서 보이는 특징’, 아시아여성연구 제49권 2호)에 따르면, 1970년대 들어 정부출연연구소들이 늘어나면서 대학 이외에도 경력을 쌓을 수 있는 경로가 생겨났지만, 연구소의 문호는 여성에게 쉽게 개방되지 않았습니다.오늘날에도 여전히 ... ...
- [Origin] 겨울잠과 잠을 동시에 자는 여우원숭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잠을 가끔씩 자고 있었던 것이다.동물들의 신비로운 겨울잠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 아시아의 느림보원숭이도 짧지만(약 63시간) 몸을 가사 상태로 만들어 환경 변화에 버틸 수 있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 우리 사촌들의 재주의 끝은 도대체 어디까지일까 ... ...
- [DJ CHO의 롤링수톤] 뮤직비디오 속의 기하학수학동아 l2017년 02호
- 밴드 오케이 고는 한번 더 스타덤에 오릅니다. 미국과 유럽뿐 아니라 한국과 일본 같은 아시아 국가에도 알려지게 되지요.둥둥~ 무중력 상태에서 찍은 뮤비오케이 고 하면 떠오르는 또 다른 뮤직비디오는 바로 ‘Upside Down & Inside Out’입니다. 오케이 고 멤버와 승무원들, 그리고 주변에 있는 물건이 ... ...
- Part 3. 전염과 면역 사이 아슬아슬한 줄타기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등에서 전 해에 유행한 인플루엔자바이러스를 확보해 유전적으로 분석한다. 하지만 동남아시아나 아프리카처럼 의학 기술이 발달하지 않은 국가에서는 데이터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다. 또 인플루엔자는 워낙 변이가 많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인플루엔자가 새롭게 유행할 위험성은 늘 있다.실제로 ... ...
- [Issue]‘적정기술은 변신 중’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시간이 많이 들고 숙련된 전문가가 필요했다. 말라리아로 고통 받는 아프리카나 동남아시아 국가에서는 사실상 진단이 어려웠던 것이다. 이후 혈액과 용액만으로 진단하는 신속진단 방법이 도입됐지만 진단 정확도가 낮았다. 노을의 차세대 말라리아 진단 키트는 정확도 문제를 해결했고 2016년 6월 ... ...
- Part 2. 변신의 귀재, 인플루엔자의 똑똑한 생존전략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나타난 H1 바이러스의 먼 후손들이 지금까지도 매년 겨울마다 유행하고 있다.② 1957~1968년 아시아독감이전에는 H1 바이러스 독감만 있었는데, 유전자재편성으로 H2가 등장했다. 중국 남부에서 처음 나타나 영국까지 퍼졌다. 100만~400만 명이 사망했다.③ 1968~1969년 홍콩독감사람에서 유래하는 H2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수달연구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없는 1인자, 수달한국수달연구센터는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수달을 연구하고 보호하는 곳이에요. 천연기념물 제330호이자 멸종위기 1급인 수달의 멸종을 막기 위해 연구원분들은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어요. 수달의 흔적을 찾기 위해 전국을 돌아다니기도 하고, 수달의 번식을 돕기 위한 연구도 ...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