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환
병
병환
우환
병고
근심
걱정
d라이브러리
"
질병
"(으)로 총 2,388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스미디어] 의사 요한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또 CT 영상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만들어 진단에 도움을 주고 있다.수학은
질병
의 진단 및 치료뿐 아니라 의약품 개발에도 사용된다. 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수학 모형을 통해 신약 개발의 걸림돌이었던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했다. 신약을 개발할 때는 ... ...
독감 백신은 왜 매년 맞아야 할까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접종이 가능하다. 올해 신설된 임신부 대상 독감 예방접종은 10월 15일 시작된다.최연화
질병
관리본부 예방접종관리과 연구관은 “독감 백신은 사백신(죽은 바이러스로 만든 백신)이기 때문에 접종 후 부작용이 거의 없다”면서도 “몸이 아플 때는 접종을 피하고, 백신 접종 후 30분간 상태를 살피는 ... ...
[DGIST 신물질과학전공] 카테콜 작용기의 마술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있을 때 검사액 전체의 색을 변하게 만든다”며 “검사액이 담긴 용기의 어느 위치에
질병
인자가 존재하는지, 또 얼마나 존재하는지 구체적인 정보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접착성을 띤 발색 신소재를 개발하면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같은 유해 인자가 붙어있는 특정 공간만 색이 변하게 할 수 ... ...
“7만 종 ‘생명의 설계도’ 만들어요”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설명했다. “환경보다 목표에 집중하길”이 연구원은 사람의 표준유전체를 이용해
질병
과 연관된 유전자를 찾아내는 연구에도 참여하고 있다. 미국에 오기 전 서정선 서울대 의대 유전체의학연구소장과 함께 한국인의 표준유전체 ‘AK1’을 새롭게 분석했던 것이 많은 도움이 됐다. 분석 ... ...
통증은 고통스럽기만 한 걸까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긴장감이 고조된다.CIPA는 소위 ‘무통증’으로 불리는 질환으로, 희귀 유전성
질병
중 하나다. 통각뿐만 아니라 냉점과 온점 등 뜨겁고 차가운 감각도 느끼지 못한다. 이 때문에 칼에 찔리거나 불에 데어도 자신이 다친 사실을 알아차리지 못한다. CIPA는 NTRK1 유전자에 변이가 생겨 발병한다. 이로 ... ...
한국에서 가장 흔한 빨간집모기의 항변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기술들을 개발하고 있다고 한다. 이곳 사육실도 박멸까지는 아니지만, 우리가 옮기는
질병
을 자세히 알아내기 위해 우리를 사육하고 있다. 우리는 병원체가 섞인 피를 빨고 나면 그 병원체를 다른 동물에게 얼마나 많이 옮기는지 확인받아야 한다. 또 내 몸에 어떤 물질을 넣어 병원체를 옮기는지 안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모든 접촉은 흔적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정확한 사인 규명을 위해 부검을 진행했다. 부검의는 끈에 의한 경부 압박 외에는 다른
질병
이나 사망에 이를 만한 외상이 없다며 타살일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 하지만 아무리 현장과 검시 사진을 뚫어지게 쳐다봐도 다른 타살의 흔적을 찾을 수는 없었다. 이전에 경험했던 사건, 그리고 ... ...
[에디터노트] 모기와의 전쟁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말라리아, 뎅기열…. 모기가 옮기는 감염병들에 생각이 미치자 병원으로 달려갔다.
질병
관리본부가 올해 6월 발간한 ‘2018 감염병 감시연보’에 따르면 국내에서 말라리아는 2007년 이후 꾸준히 감소하다가 지난해 다시 11.8% 증가해 576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세계보건기구(WHO)의 ‘2018 말라리아 ... ...
설문조사│모기박멸, 해야 할까요?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분명하다. 모기가 한 해 70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모기가 매개하는
질병
중에서도 사망자 수가 가장 많은 건 말라리아다. 한 해 43만 명 이상이 말라리아로 목숨을 잃는다. 지속적으로 살충제를 살포하고 말라리아 치료제를 공급해왔지만 모기가 이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면서 ... ...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정크 단백질’을 분해하라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실험실에 들어서자 책상 위에 늘어서 있는 모형부터 눈에 들어왔다. 이병훈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교수는 “생명체 내에서 잘못 생성 ... 100개 이상 찾아내는 게 1차 목표”라며 “여기서 암이나 퇴행성 뇌질환 등 단백질 관련
질병
을 치료할 후보 물질이 발굴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