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이"(으)로 총 2,0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불가능한 것처럼 보였던 이 문제를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파고들었다. 그 결과 페렐만은 특이점을 잘라냈다가 다시 봉합하는 수술을 하면 된다는 기발한 아이디어로 문제를 해결했다. 위상수학에서는 모양을 바꾸지 않고 잘랐다가 다시 붙여도 상관이 없다. 결국 페렐만은 리치 흐름으로 기하화 ... ...
- [과학뉴스] 금붕어가 산소 없이 겨울 나는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상황에서도 금붕어를 포함한 붕어 속(Carassius ) 동물은 수개월간 생존한다. 척추동물로는 특이하게 무산소성 포도당 대사 산물인 젖산을 위험 농도가 되기 전에 에탄올로 바꿔 내보내기 때문인데, 최근 그 분자 메커니즘이 밝혀졌다. 괴란 닐손 노르웨이 오슬로대 생명과학과 교수와 스티안 엘르프센 ... ...
- Part 2. 5人 5色 인터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만들고 싶다”고 밝혔다. 사진 촬영을 위해 매무새를 만져주는데, 머리카락 색이 특이했다. 한창 유행인 ‘애쉬그린’이었다. 스트레스가 많이 쌓일 때 미용실에 가면 마음의 평안을 얻는다고. 그러고 보니 1992년생, 20대 중반 나이다. 대한민국 20대 여성의 삶의 고민은 뭘까. “나중에 결혼하고 ... ...
- Part 2. 소방서와 경찰서를 지어라!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소방서를 조금씩 옮기다 가장 먼 측지거리가 최소가 되는 지점이 측지중심입니다.이처럼 특이한 지형에서 측지중심을 찾는 건 계산량이 많아요. 안희갑 포스텍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2014년에 임의의 도형에서 측지중심을 찾는 컴퓨터 알고리즘을 만들었습니다. 도형의 꼭짓점이 N개면 N번만 ... ...
- [DJ CHO의 롤링수톤] NASA를 꿈꾸던 소녀, 우주를 노래하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그들의 음악을 주류로 만들어 버립니다. 앨라배마셰이크스가 대중적으로 알려진 방법도 특이합니다. 입소문을 타서 유명해진 밴드거든요.SF영화야, 뮤직비디오야?팬들이 인터넷에 올린 영상과 우연히 올라가게 된 무대에서 눈에 띄어 유명 가수가 됐습니다. 그렇게 이 동네 밴드는 곧 미국을 넘어 ... ...
- [Origin] 유전자, 게임을 하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매끄럽게 설명할 수 있게됐다. 그의 연구 성과는 1967년 학술지 ‘사이언스’에 ‘특이한 성비’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게재됐다. 해밀턴은 이 논문을 자신이 쓴 모든 논문 가운데 으뜸으로 꼽았다(이타성의 진화를 규명한 1964년 논문조차 뒷전으로 밀려나다니!).한 쪽 성에 치우친 성비를 해밀턴은 ... ...
- 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Corynebacterium ) 등의 세균들은 성별에 따라 비율이 달라진다. 고양이나 강아지가 특이적으로 가지고 있는 세균이 있고, 또 사람이나 반려동물 모두 실내에서 주로 생활하느냐 야외에서 주로 생활하느냐에 따라 그 비율이 다르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당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 따라 집 안에 사는 ... ...
- Part 4. 시체 없이도 살인을 증명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조직을 식별하는 연구에 DNA 메틸화가 본격적으로 사용된 예는 없다. 그렇지만 조직 특이적 DNA 메틸화를 이용해 범죄 현장에서 주로 발견되는 혈액, 타액, 정액, 질액, 생리혈 등의 체액을 식별하는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장에서 발견되는 이런 체액을 통해서도 사건 현장의 재구성이 ... ...
- [Career] 7년 사제가 만든 걸작, 초고속 거미집 센서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센서로 이동시킬 수 있을까’였다. 의학이 발달하면서 암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에서 특이 단백질, 호르몬 변화 등의 전조 증상들이 밝혀지고 있지만, 이들을 측정해 진단에 활용하는 기술은 아직 개발이 더디다. 2000년대 이후 나노기술의 발달로 관련 연구가 많이 이뤄지고 있지만, 혈액이나 소변에 ... ...
- [과학뉴스] 2004년 수마트라 대지진 원인 밝혔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퇴적물의 온도와 압력이 높아지는 섭입단층대의 지하 수백km 지점에서 발생한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2004년 수마트라 대지진(규모 9.15)은 지하 10~20km에서 발생했다. 국제공동해양탐사프로그램(IODP) 연구팀이 그 원인을 최초로 밝혀 ‘사이언스’ 5월 26일자에 발표했다.IODP에 참여한 송인선 ...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