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동키즈] 내가 남극으로 향한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줄기 빛이 번쩍였다. 현대 천문학은 첨단 기술 덕분에 관측 능력과 컴퓨터 연산 능력의
한계
를 극복하며 발전하고 있다. 이 분야로 뛰어들면 공학적인 취미를 충족시키면서 과학 연구까지 해나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 가능하다면 외국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으며 공부를 하고 싶었다 ... ...
DNA&RNA 백신_코로나19 백신 Covid-19-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직접 생산하게 해야 하기 때문이다. 핵산 백신의 개발 역사가 상대적으로 짧다는 점도
한계
다. 백신의 작동 원리만 보면 예상되는 부작용은 적지만, 예측하지 못한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럼에도 핵산 백신은 차세대 백신으로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다. 미국 제약회사 모더나, ... ...
소나기가 내리면 목숨을 걸고 튀어라! 호주 개구리 탐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를 발표한 시민은 FrogID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했습니다. 데이터 자체의
한계
로 온도와 습도를 고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지만, 학술지에 발표할 수 있을 정도의 분석이었습니다. 이는 연구자가 보기 좋게 처리한 데이터를 시민이 FrogID에서 받아볼 수 있어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1. 외계인은 진짜 있을까?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되지 않는 휑한 섬이었어요. 과학자들은 그 원인을 인구가 늘어나 환경이 지탱할 수 있는
한계
를 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어요.연구팀은 이스터섬의 사례를 토대로 문명이 발전하면 필연적으로 기온이 상승하는 데 문명이 이를 어떻게 대처할 지를 변수로 대입했어요. 그 결과 문명의 미래는 소멸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효과는 기대에 못 미쳤고 결국 실패로 결론 났다. 동물의 체내에서 배양된 바이러스의
한계
를 깨달은 과학자들은 시험관에서 바이러스 배양에 도전했다. 바이러스는 박테리아(세균)와 달리 인공적으로 번식시킬 수 없었다. 오직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만 증식하기 때문이다. 1948년 미국 ... ...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 Universal flu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생성되더라도 HA 줄기와 결합하지 못할 수 있고, 이 경우 면역력이 생기지 않는다는
한계
에 봉착해있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유행하면서 만능 백신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오늘날 개발되는 코로나19 백신은 대부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가 사람 세포에 결합해 ... ...
실험실 안에 성층권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일쑤였어요. 측정값을 보정하더라도 지상에서 성층권에 대한 정확한 수치를 알기엔
한계
가 있었지요. 이럴 때 고층기상모사시스템(UAS)이 빛을 발하는 거예요. UAS에 라디오존데를 넣어 사전 실험을 한 뒤, 직접 성층권으로 올려보내 관측하면 보다 정확한 수치를 얻을 수 있지요. 연구팀은 올해 초 ... ...
[수학뉴스] 마스크의
한계
, 수학으로 넘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코로나19로 어느덧 마스크가 ‘생활 필수템’이 됐습니다. 하지만 종일 썼다 벗기를 반복하면 마스크의 효율이 떨어진다고 하죠. 혹시 지금보다 조금 더 오래가는 마스크를 만들 수 없을까요? 이안 그리피스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수학연구소 교수팀이 그 답을 찾아 국제학술지 ‘IMA 응용수학저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문제를 푸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답니다. 저도 폴리매스 문제를 풀다 보면 아직은
한계
를 느낍니다. 그래도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지금까지 성장해온 것 또한 느끼고 있습니다. 계속 도전하다 보면 풀리지 않은 문제를 멋지게 풀 수 있지 않을까요 ... ...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수 없다는
한계
가 있다. 세포는 유전정보를 DNA 형태만으로 저장하고 있기 때문이다.이런
한계
를 극복한 가설이 ‘세포탈출설’이다. 세포탈출설은 세포의 유전물질 일부가 세포를 벗어난 뒤 특정 효소와 단백질을 얻으면서 바이러스가 됐다고 설명한다. 소아마비의 원인이 되는 폴리오바이러스,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