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자
나무궤짝
궤
배
문고
d라이브러리
"
함
"(으)로 총 1,164건 검색되었습니다.
Ⅰ 디지털 르네상스 주도할 쌍두마차 ① 원자세계 신출귀몰한 조화 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따라서 0부터 1천23까지의 수 가운데 방정식의 해를 찾을 때 고전컴퓨터를 쓰면 1천24번
함
수값을 순차적으로 계산해야 하지만, 양자컴퓨터를 쓰면 10개의 비트(${2}^{10}$=1천24)를 몽땅 0과 1의 중첩상태로 만든 후 한번에 병렬계산하면 된다.액체 분자의 핵을 비트로 사용 양자 데이타검색 알고리듬도 ... ...
① '수능 프리즘'을 통해 본 과학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지난 11월 7일 전국적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졌다. 최근 3년간 치러진 수능 중에 가장 어렵다는 올해의 수능. 과연 공통과학 문제는 어떠했을까. 2002 ... 나온 문제에서 드러난 몇가지 허점들로 인해 1점에 희비가 엇갈리는 대학입시에서‘억울
함
’을 당하는 수험생이 있을까 우려된다 ... ...
인류 최초의 발명품 이쑤시개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그것이 이루어지기 위한 전제 조건이 반드시 필요한 법이다.특허법 제2조에 ‘발명이라
함
은 자연법칙을 이용한 기술적 사상의 창작으로서 고도의 것’을 의미한다. 발명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상당 수준의 ‘기술’이 따라야 한다는 뜻이지만, 일반적으로 이미 존재하는 기술의 20% 이상을 개량한 ... ...
01 암과의 전쟁 5세대 선두주자 유전자치료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분자(암 특이 항원 등)의 생성을 방해하고, 또 이 분자들이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함
으로써 T세포가 암세포 자신의 존재를 발견하지 못하게 한다. 둘째로 암세포가 면역시스템 전반을 흔들어 놓음으로써 이른바 면역억제상태를 유도한다. 셋째로 어떤 암세포는 점액성 단백질(mucoprotein, sialomucin)을 ... ...
자신의 팔목 묶어 혈액순환 증명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공격했다.그 해 10월 27일, 종교재판에 의해 세르베투스는 배포되지 못한 자신의 책과
함
께 화형에 처해지는 비참한 말로를 맞았다. 그러나 알려지지 않은 경로를 통해 그의 책 중 두권이 후세에 전해져 아주 희귀하고 가치 있는 책 중의 하나로 남게 됐다 ... ...
가난한 자의 핵무기 생화학전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바이러스는 핵산과 단백질로만 이뤄져 있는데, 리케차와 마찬가지로 비세포성 생물에 포
함
된다.| 미코플라즈마 |바이러스와 박테리아의 중간 정도의 위치에 있는 미생물. 세포벽은 없지만 3층으로된 세포막에 쌓여있는 것이 특징. 폐렴과 관절염 가운데는 미코플라즈마 때문인 경우가 있다 ... ...
하늘과 만나는 지혜의 경계면 지붕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무너져내리지 않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우리를 안전하게 덮어주는 지붕. 어떻게 발전돼 왔을까. 지붕에서 발견하는 인간의 숨은 지혜를 발견해보자. ... 더 아름다울 수 있는것은 비록 약한 재료로 지은 것일망정 자신의 몸무게를 줄여 생존하려는 절실
함
이 그 형태에 깃들어 있기 때문이다 ... ...
잃어버린 기억을 몸에 새기다 메멘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얘기다.새로운 기억을 가질 수 없는 사람의 두려움, 과거의 기억을 상실한 자가 느낄 황망
함
. 경험해보지 못한 사람은 짐작하기 힘든 고통일 것이다. 그러나 정신분석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기억상실증이 단지 뇌 손상에 의한 기능 장애가 아니라 자신이 평소 회피하고 싶은 기억이나 정신적인 충격을 ... ...
식물에 빗댄 속담풀이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혼인할 즈음엔 그 오동나무가 쓸만한 재목으로 자라게 된다. 그러면 오동나무를 베어
함
과 장롱을 만들어 딸을 시집보낸다는 것.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자연스럽게 전해 내려오는 옛말 하나하나에 묻어난다는 사실이 새삼 놀랍다. 대밭에서 쉴 때는 모자를 죽순 위에 걸어놓지 말라죽순의 빠른 ... ...
허준은 해부를 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벨기에에서 볼 때 베살리우스는 시체를 훔쳐간 도둑에 해당하며 훔친 시체에 칼질을
함
으로써 사람을 두번 죽인 죄인이지만 목숨을 건 그의 학문적 욕구는 오늘날 그가‘해부학의 아버지’라는 별명을 가지게 해주었다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