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악영향
악독
폐
번역
판독
가해
불쾌
d라이브러리
"
해독
"(으)로 총 678건 검색되었습니다.
01. 행복을 알약으로 먹는다 해피드럭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각종 해피드럭이 속속 개발돼 쓰일 전망이다. 이같은 추세는 최근 진행 중인 인간 유전체
해독
과 더불어 그 속도가 더욱 빨라지리라고 예상된다. 곧 건강 연령이 30세인 70대 할머니나 할아버지를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게 되지 않을까.춘추전국시대 맞은 해피드럭 시장해피드럭은 이제 제약업계의 ... ...
보물단지로 떠오른 민간요법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많이 활용되던 소나무에서는 항알레르기 작용, 소염 진통 효과, 발모 효과, 니코틴
해독
효과 등 다양한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또 옻칠의 소재로만 알고 있던 옻나무의 항암 및 면역 증강효과, 생선요리에 향신료로 사용하던 배초향의 항동맥경화 효과, 흔히 차로 마시던 녹차의 항당뇨 및 혈전억제 ... ...
인간 19번 염색체 비밀 한국 과학자가 풀어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자체 개발한 실험방법이
해독
을 완료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염색체
해독
작업(인간게놈프로젝트)은 생로병사의 비밀을 담고 있는 인간 유전자의 30억개 염기서열을 규명하는 일이다. 이미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완성됐다고 알려졌지만 1%의 염기서열은 알아내지 못했다.그동안 ... ...
사무엘 모스, 유선 통신 시대를 열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잠시후 전신기의 종이 테이프가 움직이면서 부호가 찍히기 시작했다. 기록된 부호를
해독
한 모스는 위의 문구가 되돌아왔음을 확인했다. 전신기 제작에 매달린지 12년만에 마침내 원거리 통신에 성공한 것이다.이 시연이 있은 후 전신선은 이내 필라델피아와 뉴욕으로까지 뻗어갔다. 그 후 4년도 ... ...
문자 메시지 촉감으로 이해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연구팀이 4월 19-24일 사이에 열린 독일 하노버 산업박람회에서 소개한 촉각 단문 메시지
해독
기는 장갑 모양이다. 여기에 손을 얹으면 수mm 길이의 작은 바늘 8개가 오르락내리락 하면서 손가락을 자극한다. 만약 상대가 글로 된 문장을 보내면 PDA가 이를 바늘 신호로 바꿔 손가락에 전달할 수 있다. ... ...
수천종 미생물 게놈 한꺼번에 분석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개발해 인간게놈
해독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인 바 있다. 샷건은 전체 게놈을 조각내
해독
한 다음 개별 게놈 조각들에서 염기서열이 중복되는 부분들을 다시 결합시켜 이어붙이는 방법이다. 이번 연구에도 샷건방식이 이용됐다.최근 벤터 박사는 에너지문제 해결을 위해 수소를 생산하고 ... ...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Chromosome)의 합성어로 생물이 갖고 있는 전체 유전정보를 뜻한다 인간 유전체 정보가
해독
된 뒤 대량의 유전정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의미 있는 유전자를 발굴해 내는 연구 분야를 통틀어 '지노믹스'(Genomics)라고 부른다프로테옴, 즉 단백질체(Proteome)란 생물이 갖고 있는 모든 단백질을 말한다 좀더 ... ...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한장씩 찢어 각각을 동시에
해독
하고 다시 이들을 모아 사전을 만드는 형태다. 우선
해독
한 DNA 조각들은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이용해 증폭시켰다. 이들을 한데 반응시켜 중복되는 부분끼리 결합시킴으로써 조각들이 전체 게놈에서 어느 부분에 해당되는지를 확인하는 식이었다.이번에 ... ...
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돌연변이를 찾아냈다. 이 돌연변이를 ‘클락’이라고 이름을 붙였고, 그 유전자는 1997년
해독
됐다.생쥐는 다른 포유동물에 비해 유전적으로 인간과 유사하다. 이런 까닭에 클락 유전자의 발견 이후 포유류 생체시계연구의 주요 실험동물로 대접받고 있다. 현재까지 인간을 포함한 다양한 ... ...
알파벳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쐐기문자 판독의 선구자였다는 사실을 부인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쐐기문자를 완벽하게
해독
하려면 페르세폴리스에 있는 단문보다는 장문의 쐐기문헌이 필요했다. 이란 자그로스 산맥 서쪽 비시툰산의 지상 60m 높이에 있는 깎아지른 듯한 절벽에 ‘비시툰 비문’이 새겨져 있다. 쐐기문자의 로제타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