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계산"(으)로 총 4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컴퓨터에도 뭐든지 할수있어!!! 컴퓨터도 할수있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자.기사 l20141119
- 시작을 누르시면 나오실 거에요. 그걸 누르시면 1+522=523 이런식으로 치시면 나올거에요. 기자님들도 해보셨나요? 컴퓨터에 있는 계산기도 생각보다 괜찮답니다. 빼기나 곱셈, 나눗셈도 할수있답니다. 이번에는 그림판도 알려드릴게요. 그림판에는 그림만 그릴수 있는게 아닙니다. 그림판에는 도형,글, 등으로 그림과 글을 꾸며서 프린트를 하거나 저 ...
- 1탄 컬투 김태균의 “그것을 알고 있다”를 보고나서...기사 l20140827
- 낮에 기온이 150도 까지 올라가는 데 필름사진기가 녹지 않고 어떻게 사진을 찍었겠어요?=> 이강환 박사님: 궤도는 손으로도 간단히 계산할 수 있는 것이지 꼭 복잡한 컴퓨터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요즘도 모든것을 전자동으로 하지 않고, 가장 중요한 것들은 수동으로 조절하도록 만들어서, 기계고장의 위험성을 사전에 막고 있습ㄴ다. 진공 ...
- 교대 초등수학 창의사고력 대회를 다녀와서 수학을 좋아하는 친구들에게 권하고 싶어요....기사 l20140420
- 봤어요. 시험성적과 상관없이 시험이 끝나고 나오면서 저도 모르게 콧노래가 나왔었어요. 문제가 너무 어렵지 않으면서도 복잡한 계산 보다는 많은 생각을 이끌어주는 수학문제들이 저를 행복하게 만들었었거든요. 작년에는 날씨가 다소 춥고 바람도 매서웠던 기억이 있는데, 오늘은 더운듯 따뜻한 날씨가 저를 기분좋게 만들었어요. 교대 앞에 도착하자, ...
- 토성의 신비한 ‘고리’ 무려 44억년 전 생성기사 l20140306
- 사스차 캠프 박사는 “고리 속의 물질이 평균 0.0000000000000000001g에 달할만큼 놀라울 정도로 작다” 면서 “이를 바탕으로 수학적으로 계산한 결과 고리의 나이가 44억년 전으로 추정돼 토성 생성시기와 비슷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 고리는 토성 생성 직후에 생긴 것으로 추측된다는 설명으로 연구팀은 향후 태양계 전체의 ...
- 美학자들 케플러망원경 분석결과, “우리 은하계 ‘제2의 지구’ 후보 200억 ~ 400억개”기사 l20140305
- 뉴욕타임스(NYT)는 4일자 기사에서 저자들의 추정치를 근거로 ‘제2의 지구’ 후보 별들의 숫자를 약 400억 개, 가디언은 약 200억 개로 계산했습니다. 주 저자인 페티구라는 언론 인터뷰에서 “밤하늘의 별들을 올려다보면서 ‘제2의 지구’가 엄청나게 많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것은 놀라운 일”이라면서 “특히 가장 가까운 ‘제2의 지 ...
- 판타스틱! 2009 첨단 농업 쇼(1)어린이과학동아 l20091013
- 해요. {tIMG_l10}"최근에는 자동 LED 스마트 전등을 개발하고 있어요. 스마트 전등은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에서부터 날짜와 시간을 계산해, 식물의 생장 과정에 알맞은 파장과 세기, 간격으로 빛을 쪼여 준답니다." 김상철(농업진흥청 생산자동화기계과) 농사짓는 로봇 출동! 그렇다면 일손이 부족할 때는? 걱정 마세요. 로봇 농민이 출동합니다~ ...
- 퍼져라~! 행복바이러스어린이과학동아 l20081231
- 수 있을까? 영국 워릭대학교 앤드류 오스발트 교수는 2002년 결혼 등 일상 생활이 주는 행복을 돈으로 대신할 경우 얼마의 돈이 들까를 계산하기 위해 1만 6000명의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했다. 그 결과 결혼이 주는 행복감을 돈으로 대신 느끼려면 1년에 1억 원 정도의 돈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 돈은 당시 영국의 1인당 국민소득 ...
- 백두대간 종단 열차를 타다!(2)어린이과학동아 l20081111
- 작은 강의 유역을 정확히 나타낼 수 있다. 위성 영상으로 만든 ‘수치고도모델’지도로 본 한반도(왼쪽). 이 영상을 분석하고 유역을 계산해 백두대간 지도를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산줄기 지도를 만들었다(오른쪽). {bIMG_c14}큰그림 ... ...
- 백두대간 종단 열차를 타다!(1)어린이과학동아 l20081111
- 작은 산줄기들이 모여 한반도의 산을 이루고 있지요. 지리학자들은 한반도가 세계에서도 보기 힘든 독특한 지형이라고 말합니다. 계산법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략 땅의 70%가 산지라 지평선을 볼 수 있는 곳이 거의 없습니다. 서해안 김제 등에 일부 넓은 평야가 있지만 사실 이 지역은 대부분 고려시대 말부터 바다를 조금씩 간척해서 만든 땅입니다. 즉 ...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1)어린이과학동아 l20081031
- 만들어진 우주선 안에서 우주복을 입고 있는 우주비행사가 받은 방사선은 그보다 훨씬 작다. 언뜻 들으면 그럴 듯해 보이지만, 실제로 계산해 보면 음모론자의 주장이 틀렸음을 알 수 있다. *렘 : 인체에 방사선을 쪼일 때 그 양을 측정하는 단위. 의혹2 NASA가 공개한 사진 속 하늘은 깜깜한데도 불구하고 별이 하나도 없다. 사진이 조작된 것이다!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