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주장"(으)로 총 5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일제강점기 때의 숨겨진 영웅들기사 l20190302
- 그러던 중 관동 대지진이 일어나자, 관동 대학살(일본인들이 '관동 대지진이 일어난 이유는 조선인 때문이다'라는 터무니없는 주장을 핑계로 조선인들을 마구잡이로 학살한 사건)을 피해 도망쳤지만 결국엔 체포됬습니다. 박열 독립운동가께서는 재판 때도 남달랐습니다. 옷도 조선 옷을 입겠다 하여 연인과 같이 조선 옷을 입고, "우리는 일본인이 아니고 조 ...
- 초콜릿 뮤지엄에 다녀와서기사 l20190301
- 백성들도 동물성 기름을 먹어야겠죠! 그래서 사냥을 무려 아마존까지 다녀왔다네요..(존경) 그런데 신기하게 카카오를 동물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있는데,더 신기한 건 증거가 뚜렷하다는 거예요!! 여러분이 감기에 걸렸을 때 나무에 대고 기침하면 병이 옮지 않아요.즉 동물은 동물끼리,식물은 식물끼리 병이 옮는데 카카오 열매가 아파서(?)갈라봤더니 ...
- 천왕성과 해왕성의 신비로운 모습기사 l20190218
- 공전을 하지만, 천왕성은 공전할 때의 각이 무려 98도나 되어 공전할 때 북쪽만 태양의 빛을 받게 되어 구름이 생성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 사진은 해왕성의 사진입니다. 이 행성도 아름답기는 마찬가지인데요, 이 사진에도 놀라운 기상 현상이 담겨져 있습니다. 이번에도 위쪽에 하얀 부분을 주목해주세요, 이것도 마찬가지로 구름인데, 중요한 ...
- 악플과 선플에 대하여기사 l20190208
- 반감을 표현합니다. 악플을 막기 위해서는 인터넷 실명제와 같은 장치나, 사이버수사대를 통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연예인들은 악플로 인하여 자살을 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한마디의 말 때문에 자살을 하는경우도 있다는 것을 기억합시다! 그럼 이제 선플을 알아봅시다! 선플은 '착한인터넷 글' 을 뜻하는말 입니 ...
- 가족과 해남(우항리) 공룡박물관에 다녀오다기사 l20190104
- 많이 발견됩니다. 이리듐이란 물질은 지구에선 매우 희귀한 물질이므로 '소행성이 충돌해서 이리듐이 우주에서부터 왔다' 라는 주장이 가장 많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멕시코 칙술루브 지역에 유카탄 반도라는 곳에서 운석 충돌구가 발견됬는데 이 곳이 K-T 경계층이라고 합니다. 이 근거 때문에 공룡이 운석 충돌 때문에 멸종했다는 근거가 주목을 ...
- 대형크리스마스 트리가 빛공해 라구요?기사 l20181223
- 입니다. 2017년 고려대 의과대학 이은일 교수는 야간조명에 심하게 노출된 지역에 사는 여성의 경우 유방암 발생률이 24.4% 높다고 주장했습니다. 밤사이 체내에서 이뤄지는 멜라토닌의 생성을 빛이 억제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2016년 서울대병원 정신과 정기영 교수는 야간조명이 환한 곳에 거주하는 사람은 비만에 노출될 위험도가 높다는 연구결 ...
- 과천과학관 과학의 실패 전시에 다녀와서기사 l20181124
- 태양계의 중심이라는 것으로 프톨레마이오스 등이 주장했습니다. 지동설은 태양이 태양계의 중심이라는 것으로 코페르니쿠스 등이 주장했습니다. 그 외에도 요하네스 케플러의 케플러 법칙 등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두 가지만 설명드렸습니다. 당시 천동설은 사람들이 믿고 있던 우주관이었습니다. 종교에서도 태양이 지구를 중심으로 돈다고 했죠. 그 ...
- 선풍기를 틀고자면 위험하다?기사 l20180817
- 아무런 문제가 없으며, 선풍기와 순환하는 공기에는 문제가 없다"고 해요. 그리고 의외로 땀을 흘리며 자면 잠자는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했다고 합니다. 그러니 선풍기를 침대에서 적당한 거리에 선풍기를 두어 건강을 지킬 수 있다고 해요! 이상, 유정민 기자였습니다! ... ...
- 신비한 섬, 갈라파고스기사 l20180801
- 갈라파고스핀치 중 하나인 큰선인장 핀치 입니다. 이 외에도 딱따구리핀치, 가는부리핀치 등의 여러 핀치들이 있으며 진화론을 주장한 찰스 다윈이 이 핀치들을 보고 진화론을 생각해 냈다고 합니다. 이런 동물들 이외에도 갈라파고스에는 가마우지, 푸른발 부비새, 투칸, 군함조, 심지어는 팽귄과 강치까지 살 정도로 여러 종의 생물들이 살고 있습니다. 하지 ...
- 경주 첨성대는 왜 들판에 세워졌을까?기사 l20180718
- 경주 첨성대가 천문대가 아니라 하늘에 제사를 올리던 재단이다, 불교 건축물이다, 수학적 기념물이다와 같은 의견이 있습니다. 이 주장을 펴는 사람들은 경주 첨성대가 첨성대였다면 평평한 들판이 아닌 하늘과 가까운 산꼭대기에 세웠졌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래야 별의 움직임을 좀 더 정확히 관찰할 수 있지 않냐고 되묻습니다. 하지만 첨성대는 천문대뿐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