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가로"(으)로 총 7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이종호 KIST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2019.02.06
- 결함이 발생을 줄이는 저온 열처리 기술을 최초로 개발했다. 이를 통해 상용화가 가능한 가로 세로 5cm 수준의 큰 전지를 기존의 10배 이상의 높은 성능을 발휘하도록 제조하는 새로운 공정 기술을 완성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해 8월 ‘네이처 에너지’에 발표됐다. 이 책임연구원은 “한 분야 연구를 ... ...
- 건강에 해로운 쇼핑센터가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9.02.06
- 고객은 꾸준히 쇼핑센터를 애용하는 이들이다. 건강에 좋지 않은 소매점의 비율(가로축)이 높은 쇼핑센터일수록 쇼핑센터를 방문한 손님의 고혈압 비율(세로축)이 높았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초록색 동그라미는 건강에 좋은 곳으로 분류된 쇼핑센터. 붉은색 동그라미는 건강에 좋지 않은 곳으로 ... ...
- 로봇의 다음 정복대상은 '젠가'동아사이언스 l2019.01.31
-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30일 밝혔다. 젠가는 54개의 직사각형 블록을 한 층당 3개씩 가로·세로로 쌓아 탑을 만든 후 아래에서 하나씩 조심스럽게 블록을 빼 위에 놓는 게임이다. 이 과정에서 탑이 무너지면 진다. 체스나 바둑과는 달리 젠가 게임을 하려면 블록을 조사하고, 밀고, 잡아당기고 ... ...
- ETRI, 우울증 검사하는 손목시계형 센서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9.01.29
- 등의 진단과 예측도 시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여러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가로 3.7cm, 세로 3.3cm 크기의 복합 센서를 개발했으며, 앞으로 크기를 더 줄여 손목에 착용할 수 있게 발전시키기로 했다. 연구책임자인 김승환 ETRI 바이오의료IT연구본부장은 “정신질환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 ...
- '천연색으로 본 구름속 한반도' 천리안 2A호 첫 영상 공개2019.01.29
- 천리안 1호에 비해 공간을 세밀하게 관측하는 능력(해상도)가 4배 향상됐다. 기존에는 가로세로 1km 공간을 구분할 수 있어 흐릿했지만, 이제는 500m 공간을 구분할 수 있다. 이렇게 자세한 영상을 지구 전체로는 10분, 한반도만은 2분 간격으로 관측할 수 있다. 집중호우 등을 일으키는 대류운처럼 ... ...
- 우울증 환자 상태 감지해 사고 예방…피부 센서 개발2019.01.29
- ETRI 연구진이 개발한 피부 전도도 복합 모듈 센서 [ETRI 제공=연합뉴스] 이를 바탕으로 가로 36.5㎜·세로 33㎜ 크기의 복합 모듈 센서를 제조했다. 측정 결과는 스마트폰에서 확인할 수 있게 했다. 연구진은 앞으로 손목에 찰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에 센서를 적용할 계획이다. 보호자가 환자 ... ...
- 1000배 정확한 조류인플루엔자 현장진단 기술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9.01.20
- 혈액 시료를 진단할 수 있는 유체진단 플랫폼을 결합했다. 그 뒤 이를 바탕으로 가로 12cm, 가로 9cm, 높이 5cm로 어른 주먹 크기보다 작은 검출기 키트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실험실에서 AI 바이러스와 아주 비슷하게 생긴 다른 바이러스(뉴캐슬바이러스)를 섞은 뒤, 새로 만든 기기가 오류 ... ...
- [표지로 읽는 과학] 초파리 뇌 속 깊은 곳까지 분자 단위로 본다동아사이언스 l2019.01.20
- 뇌 조직을 잘게 찢어 3일에 걸쳐 영상화하고 영상 조각을 다시 맞춘 결과 연구팀은 가로 60㎚, 세로 60㎚, 높이 90 ㎚ 분해능을 가진 뇌 전체의 영상을 확보할 수 있었다. 수상 돌기의 시냅스 단백질, 시냅스 옆 도파민활성 뉴런의 밀집도 등을 세세하게 관찰할 수 있는 전체 지도가 완성된 셈이다. ... ...
- 세계 첫 인공 유성우 2020년께 일본서 본다동아사이언스 l2019.01.18
- 4호기가 18일 오전 9시 50분(현지시간) 가고시마현 우주공간관측소에서 발사에 성공했다. 가로 60cm, 세로 80cm, 무게 68kg의 스카이 캔버스 위성은 세계 최초로 인공 유성우 현상을 만든다. ALE가 개발 계획을 발표한 지 7년만에 제작을 완료한 스카이 캔버스 위성에는 유성우 입자가 될 작은 알갱이들이 ... ...
- 배터리 충전 없이 체온으로 웨어러블 기기 24시간 작동한다동아사이언스 l2019.01.15
- ETRI)은 피부에 붙여 체온으로 2~3㎽(밀리와트) 수준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가로 5㎝, 세로 11㎝ 크기의 패치형 열전소자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진은 이 패치로 ‘ETRI’라고 쓰인 소형 발광다이오드(LED) 전광판을 작동하는 데도 성공했다. 기존에도 비슷한 기술이 개발된 적이 있지만 ...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