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족
불충분
궁핍
모자람
가난
빈곤
결여
뉴스
"
결핍
"(으)로 총 661건 검색되었습니다.
허젠쿠이가 교정한 '유전자편집 아기' 또 다른 위험 초래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CCR5 유전자에 손을 댔다. 정상적인 CCR5 유전자는 에이즈를 일으키는 원인인 인간면역
결핍
바이러스(HIV)가 세포에 붙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CCR5 유전자를 제거하면 에이즈에 걸리지 않는다. 그 결과 쌍둥이 중 한 명인 ‘루루’는 CCR5 유전자 쌍이 모두 제거되면서 돌연변이 유전자가 생겼다. ... ...
트럼프 행정부 태아 조직 이용 연구 제동 결정에 과학계 반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06
등 사실상 연구가 제약을 받고 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SF)는 인간면역
결핍
바이러스(HIV) 감염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2013년부터 인간의 면역계와 비슷한 면역계를 지닌 쥐를 만드는 연구를 하고 있는데, 지나나해 12월 1차 연구가 끝나고 두 차례의 단기 연장을 거쳐 올 6월 초부터 새 ... ...
'게임의 긍정적 힘' 324명의 게이머가 세상에 없던 단백질 56개를 창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6
게임화하기 위해 2008년 개발됐다. 지금까지 후천성면역
결핍
증(AIDS)을 일으키는 인간면역
결핍
바이러스(HIV)의 단백질의 구조를 규명하고 단백질 효소 구조를 찾아내 활성 효율을 높이는 등 다양한 연구에 쓰였다. 하지만 세상에 이미 존재하는 단백질만 활용할 수 있고 새로운 단백질은 설계할 수 ... ...
에이즈 면역 위해 유전자 편집한 아기, 사망률 21%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신’에 발표했다. CCR5 유전자는 에이즈를 일으키는 인간면역
결핍
바이러스(HIV)가 세포에 침입하기 위해 붙을 수 있는 CCR5 수용체를 세포에 만든다. CCR5 유전자가 동작하지 않으면 에이즈에 걸리지 않게 된다. ‘CCR5 델타(Δ)32’ 돌연변이가 대표적 사례다. CCR5 유전자에서 3 ... ...
몸속 뼈 건강 유지하는 핵심 유전자 발견···골다공증 치료 새 길
동아사이언스
l
2019.05.28
분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다공증이 유발된 생쥐실험에서도 HIF-2α가
결핍
되면 골밀도가 증가되고 파골세포 형성이 감소했다. 류 교수는 “조골세포와 파골세포의 분화 및 활성에서 HIF-2α가 뼈 항상성을 유지하는 과정을 명확하게 밝힌 연구”라며 “비정상적인 골 흡수 및 골 생성 ... ...
게임몰입 청소년 10명中 6명 스스로 정상 되찾아…기대·간섭 많은 부모일수록 위험
과학동아
l
2019.05.27
‘단순 게임군(단순히 게임이 좋고 즐거워서 빠져있는 그룹)’ 128명과 ‘후천적주의력
결핍
증후군(ADHD) 동반 게임군(정신질환을 동반한 상태에서 게임을 즐기는 그룹)’ 127명 등 두 그룹으로 구분한 뒤 최근 3년간 행동 변화를 추적했다. 그 결과 ADHD 동반 게임군은 자체 회복률이 0.17로 단순 게임군( ... ...
'80년대초 첫 제기된 게임중독, 만장일치 질병 인정까지' 과학적 논쟁 아직 진행中
2019.05.26
서울대어린병원 소아정신과 교수는 “게임중독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 중에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등 정신질환을 동반한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김 교수팀이 한덕현 중앙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와 함께 게임중독인 그룹(128명)과 과잉행동장애(ADHD) 진단까지 받은 그룹(127)명을 3년간 ... ...
국내 연구진, 피부치료제로 B형간염 치료 가능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진균에 감염됐을 때 사용되는 시클로피록스는 2013년 면역
결핍
성바이러스 HIV를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도 보고된 바 있다. 국내 B형 간염 바이러스 보균자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30대 이상 보균율이 전체 인구의 4%를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래 방치하면 ... ...
‘돼지 몸에 인간 장기’ 현실화 성큼…국내 기관 생명윤리위 첫 통과
동아사이언스
l
2019.05.14
인간의 장기를 돼지에서 키우는 ‘사례’도 입증할 수 있다. 건국대 연구팀은 면역
결핍
돼지와 인간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활용해 인간면역체계를 가진 돼지를 연구할 계획이다. 이를 위한 실험이 최근 IRB 심사에 통과했다. 사진제공 건국대 IRB를 통과해 실제로 실험이 이뤄지게 됐지만, 여러 ... ...
돼지서 이식용 장기 생산 본격 추진…건국대 기관IRB 첫 승인
연합뉴스
l
2019.05.14
2014년 자체 생산에 성공한 면역
결핍
돼지를 연구에 이용한다는 계획이다. 이 면역
결핍
돼지는 면역세포 발달에 필수적인 재조합활성유전자(RAG2)와 인터류킨2 감마수용체 유전자가 동시에 제거됐다. 따라서 돼지의 면역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흉선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 김진회 교수 제공 만약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